성남오리뜰농악(2023청소년,경기도)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64회 한국민속예술제
참여지역 경기도
분야 농악
참여인원 29명
참여단체 분당아람고등학교, 성남문화원
수상(단체상) 전승상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이사장상)

종목소개

본문

경기도 중동부의 성남시는 서울의 위성도시 중 하나로 도심과 가까이 위치한, 우리나라에서 가장 먼저 특수한 목적에 따라 정책적으로 개발된 인공 도시다. 근대화에 발맞춰 빠르게 변화하고 1980년대 들어 급격하게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주목받기 시작했고, 1989년부터 42만 명 인구를 수용하는 분당 신도시 건설 계획이 추진되며 대단위 아파트 단지로 채워진 현재 모습이 됐다. 급격한 변화로 인해 사람들의 생활은 편리해졌지만, 당연히 그에 따른 부작용도 있었다. 드넓은 평야 지역을 중심으로 이어지던 농악이 자취를 감춘 것이다.

성남오리뜰농악은 과거 ‘오리뜰’ 또는 ‘부평’이라 불리던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광주군 낙생면 구미리)에서 전승되던 농악을 일컫는다. 이 마을 앞에 있던 큰 웅덩이는 겨울에도 쉽게 얼지 않아 오리가 많이 모여들었는데, 여기서 이름이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또 주변 하천을 따라 오리나무로 방풍림을 조성하기도 했는데, 이 마을의 흔적은 수인분당선 오리역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

수도권의 대부분 농악과 마찬가지로 두레농악·두레풍장의 특성을 띠며, 대전을 중심으로 전승되는 웃다리농악의 흔적도 보인다. 두레는 농촌 사회의 핵심 역할을 하는 자발적 공동체였다. 어려운 일이 있을 때는 서로 돕고, 일손이 필요할 때는 함께 일하며, 마을의 질서를 깨뜨리거나 어지럽히는 일을 막고 마을마다 두레를 표시하는 깃발도 존재했다.

성남오리뜰농악은 노동과 놀이가 결합한 두레농악으로, 시민의 화합과 만복을 기원하는 대동놀이로 이어지고 있다. 옛 시절에는 주로 쇠·징·제금·북·장구·호적으로 연주하는 육띠기나 제금·장구·호적만으로 간소하게 굿거리가락을 연주하는 삼잽이 형태였고, 건달춤으로 불리는 잡색놀음을 펼쳤다. 평야가 발달하고 농업이 성행한 지역이었기에 마을에는 김매기두레·풀베기두레·길쌈두레 등 다양한 두레가 조직됐다. 그중에서도 김매기두레에 농악이 연행됐고, 풍농을 위한 굿만 아니라 김매러 나가는 날의 행악으로도 널리 울려 퍼졌다.

두레농악과 두레풍장은 정월에 진행되는 마을굿과 마찬가지로 우리 농악의 대표 주자이자 그 시절 없어서는 안 되는 생활의 동반자였다. 여름철 농사일에는 두레패의 농악이 빠질 수 없었고, 두레의 활동에도 농악은 중요한 역할을 했다. 성남오리뜰농악에는 이렇듯 농사풀이에 드러나는 놀이 형태가 잘 나타난다. 가래질·써레질·볍씨 뿌리기·모찌기·모심기·논매기·벼 베기 등 농사 과정이 모두 놀이로 고스란히 남아 있다. 경기 농악에서 쉽게 볼 수 없는 사채 가락이나 대(大) 자 진 같은 과장은 성남오리뜰농악만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오리뜰농악은 1940년대부터 1970년대 말까지 한 해 농사의 풍년을 기원하는 뜻에서 농번기와 농한기를 가리지 않고 전성기를 누리다가 1989년 분당 신도시 개발로 한때 자취를 감췄다. 이후 성남문화원과 성남농악보존협회의 노력으로 2007년 문화체육관광부 전통예술복원사업으로 선정, 꾸준한 복원과 전승 작업 끝에 2017년 성남시 향토문화재로 지정됐다.

과장 구성

  1. 입장 : 이채를 시작으로 사채와 이채를 번갈아 치며 입장을 알린다. 판에 들어서면 크게 원을 만들어 인사를 올린다.

  2. 칠채 : 칠채-육채-마당삼채로 장단을 이어가며 흥을 돋운다. 마지막은 시작과 마찬가지로 이채로 마무리한다.

  3. 앞당산 : 대진을 바꿔 단체놀이를 진행한다. 당산벌림을 시작으로 까치버꾸·피조리놀이·버꾸놀이 등 다양한 재주가 펼쳐진다. 재주 사이에는 탈곡 장면을 보여준다.

  4. 십자진 : 악기잽이와 버꾸재비가 십(十) 자 진을 만들어 재주를 즐긴다.

  5. 달맞이진 : 대보름 날 만월을 보고 소원을 빌거나 농사의 풍흉을 점치듯 달맞이진을 펼친다.

  6. 대자진 : 악기잽이와 버꾸재비가 대(大) 자 진을 만들어 재주를 즐긴다.

  7. 쩍쩍이 : 쩍쩍이가락에 발을 맞춰가며 장단을 친다. 두레풍장에서 파생된 가락으로, ‘딱따구리가락’이라고도 불린다. 이후 가운데 원을 그리며 노는 버꾸재비를 중심으로 나머지 풍물이 둘러싸며 돌림버꾸가 펼쳐진다.

  8. 벌놀이 : 대진을 바꿔 벌놀이를 보여준다.

  9. 뒷당산 : 버꾸놀이에 이어 개인놀이와 무동놀이가 진행된다.

  10. 퇴장 :

인사굿을 올린 뒤 사채 가락에 맞춰 차례로 퇴장한다.## 문화재 지정 현황성남시 향토문화재(2017년 지정)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제64회 한국민속예술제』 종목소개서 * 발행일 : 2023년 9월 22일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