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 정보
서도잡가(1976,평안남도)
종목 개요
구 분 | 내 용 |
---|---|
참여대회 | 제17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
참여지역 | 평안남도 |
분야 | 민요 |
수상(단체상) | 장려상 |
종목소개
선소리타령은 잡가의 하나로 7,8명이 일렬로 늘어서서 장구를 멘 한 사람이 앞소리를 메기면 소고를 든 나머지 사람들이 뒷소리를 받아주는 입창(선소리) 형식으로, 정해진 여러 곡을 접속으로 부른다. 좁은 의미로는 산타령만을 가리키나 넓은 의미로는 산타령 뒤에 이어 부르는 보렴․화초사거리․양산도․방아타령․경복궁타령 등 민요도 포함된다.
선소리산타령은 본래 사당패 소리이고, 각 지방으로 분산되어서 그 지방에 맞는 형식과 특징을 가지고 전해지고 있다. 서울지방 선소리는 한강․서강․마포․서호․용산 등 5강의 소리에 의해 발전되었다. 즉 좌창인 서울의 긴잡가가 사계축(지금의 청파동 일대)에 중심이 되어 발달하였는데, 선소리는 5강 상이들에 의해서 발달한 것이다. 이 소리꾼들은 5강의 장마당을 찾았던 사당패 소리꾼의 영향을 받았던 것으로 보인다.
서울 선소리는 조선 말기에 의택이란 선소리꾼이 이름났고, 의택 다음에 종대가 나서 선소리 명창으로 이름을 떨쳤다. 이 뒤로 서울 근교에는 많은 선소리꾼들이 났다. 이들 선소리꾼이 가장 많이 불렀던 시기는 음력 정월 보름날이다. 이날은 다리밟기를 하면 다리병이 없어진다는 풍속에 따라 남녀노소가 모여 답교놀이를 할 때 산타령을 소리꾼들이 불렀다고 한다. 이 선소리는 마당소리로 매우 활기있고 씩씩하며 민중의 잔치에서 환영받았다.
이 같은 선소리타령의 특징은 모두 8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1) 서도소리의 놀량, 앞산타령, 뒷산타령, 경발림(경사거리)은 서울 선소리의 놀량, 앞산타령, 뒷산타령, 도라지타령(자진산타령)에서 각각 변형된 것이다. (2) 서도의 경발림과 도라지타령은 뒷산타령에서 변형된 것이다. (3) 서도나 서울 선소리의 뒷산타령은 걸립승의 소릿조가 섞여있다. (4) 서울 선소리의 리듬은 서도 선소리에 비해서 다소 불규칙하다. (5) 서도 선소리는 서울 선소리보다 속도가 빠르고 경쾌하고 동적이어서 명쾌하다. (6) 서도와 서울의 선소리는 그 선율에 있어서 3도 진행이 많다. (7) 서도 선소리는 서울 선소리에 비하여 그 음고가 높다. (8) 남도의 화초사거리는 서울과 서도의 그것에 비해 완전4도와 장2도 선율진행을 보여주고 있다.
내용
서울의 선소리 산타령은 (1) 놀량, (2) 앞산타령, (3) 뒷산타령, (4) 자진산타령, (5) 청개구리타령․방아타령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장 먼저 판소고라 하여 소리꾼들이 모두 발림하며 소고를 구성지게 한바탕 합주하고 나서 놀량으로 합창하고, 모갑이는 장구를 치며 소리를 메기고 소리꾼들은 소고를 치고 발림하며 소리를 받는다. 놀량은 통절형식으로 되어 있어 느린 불규칙 장단으로 내려 불러간다. 사설은 산천겅계 구경가는 내용이다. 선율은 경토리로 되어 있고 높은 소리로 질러 내어 매우 씩씩하게 들린다. 다음에 앞산타령은 경토리로 부르는 율절형식이지만 불규칙장단으로 되어 있다. 뒷산타령은 앞산타령 뒤에 부르는 산타령으로 앞산타령과 비슷하다. 자진산타령은 빠른 산타령이란 뜻으로 뒷산타령과 비슷하나 한 배가 좀 빠르다. 자진산타령 다음에는 청개구리타령․방아타령 등 짧은 장절형식으로 된 민요를 덧붙여 부르기도 한다.
문화재 지정 현황
-국가무형문화재 서도소리 (1969.09지정)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의 민속예술 50년사』
- 발행연도 : 2009.12.31
- 발행 : 제50회 한국민속예술축제 추진위원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