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산농악(1976,충청북도)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17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참여지역 충청북도
분야 농악
수상(개인상) 개인상 (이종안)

종목소개

괴산은 충청도와 전라도로 교차되었던 지역이며, 소백산맥에서 뻗어나온 차령산맥의 산악지대에 위치한 농경고을이다. 우리 역사 속에서 상고시대부터 있었다고 여겨지는 농악은 우리 민족의 애환을 담고 있는 향토색 짙은 농민악으로 전국 방방곡곡에 뿌리내리고 있다. 농경민족인 우리 조상들은 봄에 씨를 뿌리고 가을에 거두는 생활을 되풀이 하면서, 그 힘들고 고달픈 과정을 노래와 농악으로서 덜고자 했다. 괴산농악은 전라좌도, 괴산, 진산, 무주, 용담, 진안, 장수, 운봉, 구례 등지에 뿌리내린 좌도굿으로 지맥을 따라 남북으로 전승되어 왔다. 이것이 다시 호남좌도, 영남 등지로 파급되면서 세월이 흐름에 따라 그 가락과 가림새가 변형되어 각 지방마다 특성을 가지게 되었다. 괴산농악은 반농반군의 농군들로부터 창출된 가락이단. 전원이 전립을 쓰고 비교적 간소한 복장에다 빠른 가락과 동작으로 대중의 행진음악과 축원, 그리고 민중들의 애환이 승화되어서 표현되었다. 특히 윗놀이의 기교가 뛰어나며 밑놀이의 굿가락이 담백한 것이 특징적이다.

내용

괴산농악을 일련의 판굿으로 구성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온 동리가 가을 농사를 끝내고 장원머슴을 뽑아 잔치를 베풀면서 한마당 굿이 벌어지면서 한판의 굿이 벌어진다.

(1) 외마치풍년길굿_ 장원모슴을 소 또는 사다리에 태우고 용단기와 농기, 나팔, 무동 등을 앞세우고 좌도 특유의 길군앙(행진굿)에 맞추어 덩실덩실 춤을 추면서 소고가 앞을 서고 쇠가 뒤를 따르는 역진(逆進) 방법으로 주인집에 들어간다. (2) 문굿_ 역진에서 정상으로 돌아가 쇠가 앞장을 서서 마당에 들어가 판굿을 한다. (3) 외마치_ 자진머리에 해당되는 박자로서 좌도굿에서만 볼 수 있으며 가락이 경쾌하고 흥겹다. (4) 두마치_ 휘몰이에 해당되는 가락으로 아주 빠르며 우도의 두마치와는 판이하게 다르다. 마치굿의 맺음가락으로도 활용한다. (5) 세마치~여섯마치_ 연속적으로 변화를 일으키며 차분하고 무게있는 가락이 이어진다. (6) 일곱마치_ 한 장단에 징을 일곱 번 치며 좌도 농악에서만 갖고 있는 특유한 가락이다. (7) 여덟마치~열두마치_ 여덟마치는 일곱마치의 변형으로 된 가락이며 한박자에 일곱 번의 징을 친다. 마치가 더해짐에 따라 변화무쌍한 가락으로 빠르게 이어지는데 열두마치는 징을 열두 번 친다. (8) 품앗이굿_ 꽹과리를 서로 번갈아치며 창고와 쇠군들이 서로 밀고 당긴다. 이것은 농사에서 품앗이를 상징한다. (9) 오방진굿_ 청․백․적․흑․황색 깃발을 중심으로 동서남북으로 나누어 잡귀를 몰아내는 굿이다. 마지막에는 중앙으로 모여 멍석말이를 하고 다시 풀어나온다. (10) 호호굿, 자진호호굿_ 진영에서 전군을 점검하는데 서로 부르고 대답한다. 부르는 소리는 ‘호호’ 대답하는 소리는 ‘허허’로 단결심을 다짐하는 진풀이다. (11) 갈림굿_ 호명을 마친 후 쇠와 북, 장고가 서로 갈라지며 진을 다듬는다. (12) 각정굿, 자진각정굿_ 상쇠와 수장고가 마주보며 만났다가 헤어지며 각기 반대방향으로 서로 만나서 헤어지는 것을 반복하는 진풀이다. (13) 홑영상, 겹영상_ 쇠잡이 둘이 번갈아 치며 놀다가 장고와 마주치면서 흥을 돕는다. 좌도의 특수가락이다. (14) 개인놀이_ 채상노리, 장고노리, 열두발 채상 등 순차적으로 놀이마당이 펼쳐진다. 윗노리의 발랄이 특이하고 장고가락은 담백한 것이 특색이다. (15) 파송굿_ 적진을 섬멸하고 끝을 알리는 굿이다. 덕석말이를 하면서 판굿 전체가 끝난다.

문화재 지정 현황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농악 (2014.11등재)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의 민속예술 50년사』
  • 발행연도 : 2009.12.31
  • 발행 : 제50회 한국민속예술축제 추진위원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