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 정보
날뫼북춤(1983,대구시)
종목 개요
구 분 | 내 용 |
---|---|
참여대회 | 제24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
참여지역 | 대구시 |
분야 | 무용 |
수상(단체상) | 문공부장관상 |
종목소개
대구직할시 서구 비산동 일대에서 행해지던 날뫼북춤은 비산농악과 함께 오랜 기간에 걸쳐 두드러지게 발달한 북춤이다. 비산동의 옛 이름인 날뫼라는 지명에는 전설이 전하는데, 아득한 옛날 달내(금호강)의 냇가에서 빨래를 하고 있던 여인이 서쪽하늘에서 요란한 풍악소리가 나서 하늘을 바라보니 산 모양의 구름이 날아오고 있었다. 이를 보고 여인이 깜짝 놀라 ‘동산이 떠온다’라고 비명을 지르자 날아오던 산이 땅에 떨어졌다 한다. 그 후 사람들은 이 지역을 날아온 산이라 하여 날뫼라 불렀다. 이 지역에 있는 날뫼의 원고개는 달성과 달내(금호강)사이에 퍼진 넓은 들을 가로지르는 나들이 길로 대구의 관도였다. 옛날 고을의 원이 부임해 올 때에는 날뫼의 원고개에서 행차가 쉬어 갔는데 이 부임행차 때마다 백성들이 풍악을 울리고 춤을 추면서 맞이했다고 한다. 날뫼북춤의 유래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전한다. 옛날에 백성들의 추앙을 받던 이 고을의 한 원님이 정사를 돌보다가 순직하였다. 그 후 사람들은 원님의 외로운 혼을 달래주기 위하여 춘추의 제향 때마다 북을 울리면서 춤을 추었는데 이것이 오늘날까지 날뫼북춤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한다. 날뫼북춤의 구성은 비산농악과 유사하여 모의 군사굿의 특징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쇠가락은 마당마다 변화가 다양하며 대표적인 춤의 기조는 경상도 특유의 덧베기가락의 춤사위로 되어있다. 일사불란한 단체무악을 이루고 있어 힘이 있고 보는 이로 하여금 협동심과 단결력을 느끼게 한다. 날뫼북춤의 춤사위를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정적궁’은 상쇠가 치는 단마치에 대원들이 자신의 보폭으로 쇠가락에 맞추어 허리춤, 어깨춤을 추면서 원형으로 돌다가, 상쇠가 2채, 7채의 가락으로 정적궁을 치면 전원이 허리춤과 어깨춤으로 돌면서 넘어가는 것이다. ‘자반득이(반짓굿)’는 상쇠의 다양한 쇠가락에 맞추어 군무의 묘를 살리면서 덩실거리는 덧베기춤으로 마당굿이라고도 한다. 2채, 3채, 4채, 8채, 12채 순으로 단체무악을 이루며 마지막에는 덧베기가락으로 전원이 돌면서 어깨춤과 허리춤을 흥겹게 춘다. ‘엎어빼기’는 상쇠가 2채로 시작하여 4채로 넘어가고 설북이 2채와 3채를 치면 전 단원이 동시에 한바퀴 돌면서 세 번, 네 번 엎어빼고 돌아가면서 춤을 춘다. ‘다드래기’는 처음 3채로 시작하여 단모리 7채 가락으로 넘어가며 이때 전 단원은 몸을 뒤집어 엎어빼고 빠른 사위로 돌면서 춤을 추는 것이다. ‘허허굿’은 설북이 2채에서 4채로 넘어가면서 갈지자 뜀으로 이끌어가면 이에 따라 뛰놀다가 호호딱딱하는 허허굿을 하는 것이고, ‘모듬굿’은 설북이 단마치로 1채, 2채, 3채를 치면서 원을 그리며 모였다 흩어지는 형태를 3번 거듭하고 나서 설북의 장단에 맞춰어 4채, 8채, 12채로 친 다음 대북을 높이 뒤집으면서 춤을 추는 것이다. ‘살풀이’는 한해 동안의 농사과정을 상징하는 춤으로 풍년을 기원하는 흥겨운 장단과 우렁찬 북소리에 맞추어 전원이 어깨춤을 추면서 돌아가는 것이고, ‘덧베기’는 덧베기 들놀이가락으로 대북이 3채, 6채를 몰아치고 흥겨운 굿거리장단으로 한데 모여 춤을 추는 것이다.
문화재 지정 현황
-대구광역시 무형문화재 날뫼북춤 (1984.07지정)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의 민속예술 50년사』
- 발행연도 : 2009.12.31
- 발행 : 제50회 한국민속예술축제 추진위원회
문서자료
파일명 | 요약 |
---|---|
DOC_1983_제24회_전국_민속예술_경연대회-대구_날뫼북춤_프로그램북.pdf | 제24회 전국 민속예술 경연대회-대구 날뫼북춤 프로그램북 |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