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 정보
완주부동농악(1983,전라북도)
종목 개요
구 분 | 내 용 |
---|---|
참여대회 | 제24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
참여지역 | 전라북도 |
분야 | 농악 |
수상(단체상) | 문공부장관상 |
종목소개
우리나라의 곡창이라고 일컬어지는 전라북도는 일찍이 찬란한 마한․백제문화를 꽃피웠던 곳이며 조선조에 이르러서는 유교문화의 발상지로도 유명했던 곳이다. 완주지방은 광활한 평야와 산악지대가 뒤섞여 있는 곳으로 예부터 이 지역 고유의 민속과 민요, 굿놀이가 다양하게 전개되어왔다. 완주부동농악은 호남 우도농악의 멋을 고스란히 안고 있는 농악으로 전립(부포)과 화관(고깔)을 함께 쓰고 농민복에 어깨띠를 두른, 매우 화려한 의상이 특징적이다. 농악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된다. 상쇠의 뒤를 따라 마을을 돌며 군중을 모으는 모군굿, 농악대가 본격적인 놀이를 시작한다는 인사로 상쇠가 벙어리삼채를 치는 인사굿, 우로 돌며 치는 가락으로 징이 다섯 점 들어간다고 해서 우길굿 또는 오채굿이라고도 부르며, 호남 우도농악의 판굿에 단지 한 번만 쓰는 오채질굿을 친다. 징이 세 번 들어가며 3분박의 보통 빠른 3박자로 된 노진굿을 치고, 노진삼채와 마찬가지로 징이 세 점 들어가며 3분박의 좀 빠른 4박자로 이루어진 된삼채, 외마치굿을 행진에 치지 않고 판굿 또는 고사굿에서 칠 때 부르는 풍류굿(풍년굿)을 진행한다. 이어 치는 양산도가락은 원래 판굿에서 오채질굿(오채길굿)의 다음에 치는 가락으로 경기민요 양산도와 같은 장단으로 되었다고 해서 양산도가락이라고 부른다. 오방진굿은 동․서․남․북․중악의 오방에 여러 가지 진을 만들어가며 노는 굿이며, 호호굿은 매우 빠른 2박과 3박이 다양하게 혼합된 가락을 치면서 상쇠가 쇠를 두들기며 농악대를 끌어갈 때 ‘호호’하는 신나고도 빠른 구호를 넣고 받는 까닭에 호호굿이라는 명칭이 생겼다. 호호굿을 마치고 상쇠가 삼채가락을 치면서 쇠채를 좌우로 흔들면 쇠와 징, 장구와 북, 법고 등은 원을 그리며 영기와 함께 어우러져 다러치기를 하면서 춤판을 벌인다. 놀이가 끝나면 한바탕 신나게 놀고 파한다.
문화재 지정 현황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농악 (2014.11등재)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의 민속예술 50년사』
- 발행연도 : 2009.12.31
- 발행 : 제50회 한국민속예술축제 추진위원회
문서자료
파일명 | 요약 |
---|---|
DOC_1983_제24회_전국_민속예술_경연대회-완주_부동농악_프로그램북.pdf | 제24회 전국 민속예술 경연대회-완주 부동농악 프로그램북 |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