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릉빗내농악(1983,경상북도)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24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참여지역 경상북도
분야 농악

종목소개

빗내농악은 김천시의 동쪽에 위치한 전형적인 농촌인 빗내마을에 전승되는 농악이다. 빗내마을에서는 감문국의 ‘나랏제사’와 잣은 수해를 면하려는 풍년제가 동제형태로 전승되어 왔다. 동제는 음력 1월 6일인데 동제에 이어 ‘풍물놀이’와 ‘줄당기기’ 두 가지 진놀이가 행해진다. 빗내농악은 이때의 풍물놀이로 단순한 농악이 아니라 ‘빗신(別神)’과 전쟁에 유래하는 진굿으로 전승되어 온 것이다. 빗내농악은 순수 경상도의 내륙 농촌에서 전승된 풍물로서 상쇠의 전승계보가 5대째 분명하며, 농사굿이 아닌 진굿(진풀이)으로 12가락의 굿판이 명확한 차이를 가지면서 마치(잔가락)의 종류도 대단히 다양하다. 음력 1월 6일 동제에 이어 무당과 빗내마을 농악이 합쳐서 각 가정을 방문, 빗신(別神)과 밀착된 풍물놀이를 재미있게 한다. 놀이의 주축을 이루는 인원은 30여명 정도였으며 紅․黃․靑 3색의 복색을 하고, 머리에는 흰꽃이나 고깔을 쓰고, 상쇠는 등에 금빛 표지가 달린 특이한 복색을 하고 꽃을 앞 이마에 달아 표시하였다. 질굿은 행진하는 가락으로 쇠에 맞추어 모든 풍물꾼이 덩실덩실 춤을 추며 행진할 때 치는 가락이다. 문굿은 알리는 신호격으로 상쇠가 입장할 때 또는 대문 앞에서 ‘주인 나그네 들어가요’하면서 알리는 순서이고, 마당굿은 입장하여 놀이과정(훈련) 준비로서 원형을 그리며 정렬, 쇠에 따라 전 풍물꾼이 관중에 인사하는 것이다. 반죽굿은 상쇠와 종쇠의 가락에 따라 전 풍물꾼이 놀이 훈련에 들어가는 가락인데 상쇠와 종쇠가 서로 이동하면서 전대원을 훈련(놀이)시키는 것이고, 도드레기는 상쇠와 종쇠가 노래에 맞추어 쇠를 치면 전 풍물꾼은 쇠가락에 맞추어 노는 가락으로 각 배역마다 점검을 하는 의미이며 북, 장구, 소고가 신나게 뛰어 논다. 영풍굿은 상쇠와 종쇠가 영풍대를 치면 소고는 두 번 엎드려 자기의 장비가 이상 없음을 자랑하고 이때 쇠를 그치면(이때 징도 치지않음) 북과 장구만 신나게 치며 자기의 장비가 이상이 없음을 과시한다. 허허굿에서 상쇠가 가락을 치다가 ‘허허’하며 간투사를 소리 지르면 전 풍물꾼이 따라서 이상 없음을 답한다. 기러기굿에서 이상 유무를 확인한 상쇠는 흥이 나서 기러기 가락을 치면 전 풍물꾼은 옆으로 뛰며 장구, 소고는 복색을 추켜잡고 기러기 모양으로 덩실덩실 춤을 춘다. 이어 상쇠와 종쇠도 중앙에서 무술춤을 춘다. 판굿은 상쇠가 쌍둥이 가락을 치면 전 풍물꾼은 2인 1조가 되어 노는 가락으로 진격준비를 하는 놀이이다. 채굿은 상쇠와 종쇠가 젯북가락을 치면 전 풍물꾼은 ᄃ자 형으로 서서 쇠에 맞추어 자기의 기술을 발휘하고 이 때 12발 상모가 나와 기술을 자랑하고 소고도 두 사람이 나와 수박(手拍)치기를 한다. 맹렬히 싸우는 모습을 형상화 한 것이다. 진굿은 적을 포위하여 섬멸하는 놀이로서 상쇠와 종쇠가 각각 대장이 되어 두 편으로 나누어 진을 치다가 한데 합쳐 적장에게 항복을 받고 상쇠가 진을 푼다. 놀이가(전쟁이) 끝났으므로 각기 집으로 돌아가는 지신굿을 친다.

문화재 지정 현황

-국가무형문화재 김천금릉빗내농악 (2019.09지정)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농악 (2014.11등재)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의 민속예술 50년사』
  • 발행연도 : 2009.12.31
  • 발행 : 제50회 한국민속예술축제 추진위원회

문서자료

파일명 요약
DOC_1983_제24회_전국_민속예술_경연대회_김천빗내농악_프로그램북.pdf 제24회 전국 민속예술 경연대회 김천빗내농악 프로그램북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