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산삼기농요(1977,전라북도)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18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참여지역 전라북도
분야 민요
수상(단체상) 국무총리상

종목소개

익산삼기농요는 예부터 농업이 발달한 전북 익산군 삼기면 오룡리 검지부락에서 전승되는 농요다. 익산군의 지형은 동으로는 천호산이 가로 놓여 있고 서쪽으로 금강이, 남쪽으로는 만경강의 지류가 흘러 곡창지대로서 알맞은 여건을 형성하고 있다. 자연 농업이 크게 발달하였고 힘든 농사일의 피로를 잊고 일의 능률을 올리기 위해 농요가 성행하였다.

삼기농요의 가락은 육자배기토리, 경토리, 메나리토리 등으로 불려지며 느리고 빠른 여러 장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노래의 수가 많은데, 산타령․작대기타령․상사소리는 모두 처음에 앞소리가 긴 사설을 독창하고 끝에 한 장단 정도 합창하는 독특한 방법을 쓰는 것 또한 특징으로 삼을 수 있다. 더욱이 타작소리의 경우 발음구가 규칙적으로 4구가 4종인 것이 특색인데, ①어이, ②에야하행, ③어허허어하, ④헤헤 헤이헤 헤이헤이헤헤이 헤이헤 헤이 이히이나아헤 등이 그것이다. 이 중 ①․②․③은 선율이 한마디씩인데, ④는 6마디로 메김선율보다 더 애조를 띠는 특징을 보인다.

내용

익산삼기농요는 농사짓는 순서대로 동작을 연출하며 부른다.

(1) 농부가 (2) 방아타령(긴방아타령, 자진방아타령)_ 김맬 때 부른다. (3) 만물산야_ 만두레 때 부른다. (4) 벼베는 산야_ 나락(벼)을 벨 때 부른다. (5) 질꼬냉이_ 하루의 일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가면서 부르는 노래다. (6) 등짐노래_ 나락 등짐을 나르며 주인집 문 앞에서 한 상 잘 차려 내라고 요구하며 부르는 노래다. (7) 개상질소리_ 나무통이나 절구를 쓰러뜨려 놓고, 나락을 내리치며 타작할 때 부른다. (8) 방아소리_ 개상질하여 말린 낟알을 절구통에 넣고 방아찧을 때 부르는 노래다. (9) 모음곡들_ 산타령, 등짐노래, 지게목발노래, 작대기타령, 등당개타령, 상사소리 등 일상의 노동현장에서 부르는 노래들로 지게에 짐을 나르며 오갈 때 주로 부른다. 이 노래들은 작대기로 장단을 맞추며 부른다.

문화재 지정 현황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익산목발노래 (1973.06지정)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의 민속예술 50년사』
  • 발행연도 : 2009.12.31
  • 발행 : 제50회 한국민속예술축제 추진위원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