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도풍각농요(1983,경상북도)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24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참여지역 경상북도
분야 민요
수상(단체상) 문공부장관상

종목소개

청도풍각농요는 경북 청도군 풍각면 차산리의 바랏들 일대에 전승되는 민요이다. 차산리를 비롯한 바랏들 일대는 순수한 논농사에 의존하며 벼와 보리를 생산하는 농촌지역으로, 마을 주민들은 모두가 직접 농사에 종사하고 있어 자연 농요와 농악에 익숙해 있다. 풍각농요는 일년농사의 시화연풍을 축원하는 지신밟기를 비롯하여 생업력에 의한 농사일의 순서에 따른 노래들로 이루어져 있다. 농요로서는 봄철의 보 가래질에서부터 세벌 논매기를 마칠 때까지, 그리고 그 뒤에 농악대를 거느리고 들판에서 마을로 돌아가는 깽이 말타기까지 농업력에 따라 부르던, 풍부한 변화를 가진 노래들이 전승되고 있다. 이 밖에도 이 고을에는 전통적인 촌락생활에서 자생한 목돈래, 망궤노래, 풀베기노래(어사용) 등 많은 노동요가 보존되어 있다. 청도풍각농요는 단순한 농요라기보다는 노래가락과 춤사위와 몸짓이 어우러지는 종합예술적인 민속유희라고 할 수 있다. 매구, 징, 대북 등의 악기를 치며 장기․도리깨․우장․갈구리 등 농기구를 손에 들고 부르는 모든 노래에 춤사위와 몸짓이 따르고 있으며, 특히 갱이 말타기(꾕이말타기)때 개지나칭칭, 방에타령을 부르며 춤추면서 들판을 누비다 마을로 돌아오는 광경은 극적이기까지 하다. 그리고 노래의 종류마다 가락에 분명한 차이가 있으며 화려한 소도구와 의상을 곁들이고 있다. 상머슴, 중머슴이 함께 소(꾕이말)를 타고 흥겹게 춤추는 행렬도 다른 지방에서는 볼 수 없는 두드러진 특징이다.

보 가래질노래는 가래의 자루를 잡고 흙을 떠 넘기는 사람이 메기고 양쪽에서 가래줄을 잡고 당기는 사람들이 받는 가창방식이 기본형식이다. 메김소리에 대하여 받는소리 ‘오호가래야’로 받는데 끝나기 전에 메김소리가 들어간다.

(메김소리)(받는소리) 오호호 가래야오호호 가래야 조금(쪼곰산) 나린 줄기 오호호 가래야 골골마다 보 생겼네오호호 가래야 이가래 저가래 보가래에오호호 가래야 보면뇌면 물나온다오호호 가래야 이때 저때 어느때고오호호 가래야 춘삼월 호시절에오호호 가래야 잎은 되어 청산되고오호호 가래야 꽃은 피어 화초로다오호호 가래야

모찌기노래는 모심기 전에 모판에서 모를 찌면서 부르는 노래로 앞소리가 독창으로 메기고 뒷소리는 제창으로 받는다.

바다야 같은 이 못자라 장기판만큼 남았구나 장기판도 좋다마는 도울이 없어 못 찌겠네 모야 모야 노랑모야 너 언제커서 열매열래 이달커고 훗달커서 칠팔원에 열매열지

이어 모내기노래는 다음과 같다.

(앞소리) 서마지기 이 논뺌들 모를 심어서 장할래가(영활래라) (뒷소리) 우리야 부모님 산소등에 솔을 심어 정자로다 (앞소리) 해 다졌네 해 다졌네 양산땅에 해 다졌네 (뒷소리) 해 다지고 다 저문날에 우연한 행상이 지나가네 (앞소리) 이산아 저산아 양산중에 울고 가는 두견새야 (뒷소리) 가지야 봉산은 어데 두고 야산중에 슬피우노 (앞소리) 소주야 물고 약주 꽂고 곧은 저자에 놀러 가자 (뒷소리) 우리는 언제나 한량이 되어 누캉 정자에 놀러 갈고

모내기가 끝나고 이어지는 논매기노래는 받는소리 ‘에이요홍 옹해야’의 가락이 대표적인 노래이며 다른 지역의 ‘상사디야’와 같은 소리이다.

(앞소리)(뒷소리) 애이오홍 오홍해야애이오홍 오홍해야 이때가 어느땡고애이오홍 오홍해야 배는 고파서 등에붙고 애이오홍 오홍해야 구실같은 땀이 흘러애이오홍 오홍해야 어떤사람 팔자좋아 애이오홍 오홍해야 논을매는 농부들아애이오홍 오홍해야 오뉴월 삼복더위 애이오홍 오홍해야 등은 굽어 배에붙고애이오홍 오홍해야 목이 말라서 못매겠다 애이오홍 오홍해야

논매기의 마무리(군짐) 단계에 논 가운데로 몰려가면서 신명나게 몸을 푸는 일종의 유희요이다. 논가장자리부터 차츰 한가운데를 향하여 원형으로 모여들면서 분위기를 상승시키고 논 가운데서 어울려 ‘이히히 이 후후후’하는 함성으로 ‘노지는’노래이다.

(앞소리)(뒷소리)(앞소리)(뒷소리) 옹해야옹해야우리부락옹해야 지화자자옹해야좋을시구옹해야 적송자는옹해야학을타고옹해야 맹호연은옹해야소를타고옹해야 이태백은옹해야고래타고옹해야 대국천자는옹해야코끼리타고옹해야 일본대왕은옹해야말을타고옹해야 일등신사는옹해야인력거타고옹해야 삐걱삐걱옹해야나오실 때옹해야 이도령은옹해야탈것없어 옹해야 춘향이배를옹해야타고놀다옹해야 어화둥둥옹해야내사릉(사랑)아옹해야 앞을봐도옹해야내사릉아옹해야 뒤를봐도옹해야내사릉아옹해야

보리타작노래는 급한 템포로 주고 받는 교창형식으로 ‘에화’가 받는 소리인데 다른 지방에서는 ‘옹헤야’가 일반적이다.

(앞소리)(뒷소리)(앞소리)(뒷소리) 애화애화애화애화 이 보리가애화무슨보린가애화 양반의 보린가애화수염도 길다애화 상놈의 보린가애화수염도 짧다애화 얼씨고애화절씨고애화 지화자애화좋을시고 애화 (후략)

방애(방아)타령은 길군악 대형으로 논길을 따라 마을로 돌아올 때 부르는 노래로 조짐노래와 꾕이말타기 때 부른다. 노래의 사설은 얼마든지 선소리꾼이 연장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뒷소리가 받아서 제창한다.

(앞소리)(뒷소리) 아 오호호 방애야 아 오호호 방애야 방아방아방아로다 아호 방애야 혼자찧는 도구방아 아호 방애야 둘이찧는 비딜방아 아호 방애야 뱅뱅도는 돌방안가 아호 방애야 녹수상천 물방아요 아호 방애야 알케등달캐등 찍는방아 아호 방애야 언제나 마실갔고 아호 방애야 방아찧는 처자네들 아호 방애야 방애속이나 알고 찧나 아호 방애야 (후략)

풀베기노래, 어사용, 어사랭이, 나무하는 노래 등으로 일컬어지는 들노래는 산에 나무를 하러 가거나 풀을 베러 갈 때 지개묵 발장단에 맞춰 부르는 구슬픈 가락이다.

열아홉살 먹은 과부가 스물아홉살 술은 딸을 잃고 딸 찾아 갈라 하이 꽃바구니 옆에끼고 앞은 따여 입에 물고 꽃은 꺾어 머리꽂고 굽높은 나막신신고 음달로 갈라캐도 허실허실 양달로 갈라캐도 허실허실 반양달 반바이 들어가니 굽높은 나막신 신고 송지 꺾어 작지하고 내 딸 봉덕이 찾아가는 내딸 봉덕아 어더로 갔고 어디로 갔노 봉덕이 내딸 봉덕이 얼씨고 이후후-이후후 (후략)

큰 나무를 어깨에 메고 운반할 때나 무거운 돌을 줄로 묶어서 메고 옮길 때 부르는 목도노래는 선소리꾼의 사설 뒤에 ‘어영차 어영차’하는 뒷소리로 받으면서 운반한다.

어여차 들어간다 발을 마차 들어간다 이 나무가 무슨 나무소 가는 남는 사목두요 꿔은 남은 팔목도로 어여차 어여차 어여차 들어간다 이 보가 어데 보고 대궐 지는 궁실 보로 어여차 들어간다

망깨노래는 주로 집터나 주춧돌을 놓을 땅이나 못뚝을 다질 때 부르는 노래다. 선소리꾼의 메김소리에 이어 ‘어이 여로차’하는 뒷소리로 받으면서 땅을 다진다.

(앞소리)(뒷소리)(앞소리)(뒷소리) 어엿차어엿차얼씨구나 어엿차 저기가는어엿차저할마씨 어엿차 딸있거든어엿차사우삼지 어엿차 딸이사어엿차있다마는 어엿차 어려서어엿차못치우겠다어엿차 어머님요어엿차그말마소어엿차 뱃새가어엿차작아도 어엿차 알을낳고어엿차얼씨구나 어엿차 절씨구나어엿차지화자자 어엿차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의 민속예술 50년사』
  • 발행연도 : 2009.12.31
  • 발행 : 제50회 한국민속예술축제 추진위원회

문서자료

파일명 요약
DOC_1983_제24회_전국_민속예술_경연대회_청도풍각농요_프로그램북.pdf 제24회 전국 민속예술 경연대회 청도풍각농요 프로그램북
DOC_1983_제24회_전국_민속예술_경연대회-청도풍각농요_프로그램북.pdf 제24회 전국 민속예술 경연대회-청도풍각농요 프로그램북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