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성옥평농악(1983,전라남도)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24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참여지역 전라남도
분야 농악
수상(단체상) 장려상

종목소개

보성옥평농악은 매년 풍년과 소원성취를 기원하는 제천의식인 ‘당굿’에서 비롯된 마당놀이로 우도농악의 특징을 고루 갖추고 있다. 화려하고 박진감 있는 호남 우도농악의 율동과 가락, 사계절마다 변화하는 고깔과 삼색띠를 두른 복색은 웅장한 북놀이의 특성을 가진다. 500여 년의 전통을 이어온 마당밟이굿은 매년 정월대보름과 8월 한가위 그리고 마을의 경축사가 있을 때 항상 놀이되며, 화합의 기틀을 튼튼히 하여 마을의 일체감을 조성하는데 크게 기여해왔다. 오늘의 행사를 알리고 흥을 돋구어 사람들을 모이게 하기 위하여 골목을 돌며 들당굿을 치는 질굿(길굿), “주인네 문 열어 주시오. 이 집안의 못된 잡귀와 액운을 몰아내고 재앙을 없애드리겠습니다”하며 치는 문굿이 끝나면 마당굿이 이어진다. 마당굿은 전체 농악대가 진을 쳐서 모든 잡귀와 액을 쫓아버리고 장수와 복을 불러들이는 진굿놀이, 상쇠놀이․장고놀이․북놀이․버꾸놀이․소고놀이․잡색놀이 등이 이루어진다. 상쇠놀이는 농악대원이 둘러선 가운데 상쇠가 마당의 중앙으로 나와서 쇠가락을 치면서 여러 가지 부포놀이의 기예를 발휘하는데, 우도농악의 부포놀이는 상모물채를 빳빳하게 만들어 세워서 기예를 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어서 상장고가 대원 한 가운데로 나와서 여러 가지 발림을 하며 장고놀이를 하고, 상쇠와 함께 북과 장고가 묘기를 부리며 흥을 돋우는 북놀이, 버꾸(법고)를 가지고 여러 가지 발림을 하면서 노는 버꾸놀이, 소고수가 채상모를 쓰고 여러 가지 기예를 발휘하는 소고놀이에 이어 조리중․왜장녀․양반․포수 등이 나와서 재담을 하며 한바탕 노는 잡색놀이가 펼쳐진다. 놀이를 다 마치면 상쇠가 주인에게 잘 놀고 간다는 인사를 하고 다른 집으로 간다.

문화재 지정 현황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농악 (2014.11등재)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의 민속예술 50년사』
  • 발행연도 : 2009.12.31
  • 발행 : 제50회 한국민속예술축제 추진위원회

문서자료

파일명 요약
DOC_1983_제24회_전국_민속예술_경연대회_보성옥평농악_프로그램북.pdf 제24회 전국 민속예술 경연대회 보성옥평농악 프로그램북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