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석농악(2011,광주시)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52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18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참여지역 광주시
분야 농악
참여단체 한국문화원연합회 광주광역시지회
수상(단체상) 장려상 (여수시장상)

종목소개

광주광역시 남구 칠석[漆石]마을은 죽령산 서쪽에 자리한 마을로, 뒷산에 검은 돌이 많아 ‘옻돌마을’이라고도 부른다. 풍수지리설로 와우상[臥牛相], 즉 황소가 쪼그리고 앉아 있는 형국이라 그 터가 무척 거셌다고 한다. 이 황소가 일어나 뛰어다니면 전답[田畓]의 농사를 망치게 되므로, 일어서지 못하도록 황소의 입에 해당하는 곳에 구수(‘구유’의 전라도 사투리)를 상징하는 연못을 파 놓았고, 또 고삐는 할머니 당산인 은행나무에 묶어 놓았으며, 꼬리에 해당하는 곳에는 일곱 개의 돌로 눌러 놓았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 거센 터를 누르기 위해 고싸움놀이를 했는데, 놀이 과정에서 칠석농악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한다. 칠석동에서는 매년 정월대보름(음력 1월 14일)에 마을 수호신인 할아버지당과 할머니당에 풍요와 평안을 기원하는 당산굿을 지낸다. 할아버지당은 마을 뒷산의 700년 된 노송이고, 할머니당은 마을 앞 800년 된 은행나무다. 할아버지 당산을 먼저 모시고 할머니 당산제를 지내는데, 할아버지 당산은 시끄러운 것을 싫어해 농악대는 참여하지 않지만, 할머니 당산제는 농악을 울리며 지낸다. 칠석(옻돌)농악은 마을의 수호신이 좌정하는 당산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년, 그리고 재복을 비는 당산굿으로부터 시작해 지신[地神]을 달래는 마당밟이를 한다. 마당밟이를 마치면 놀이판에서 흥을 돋우기 위해 한바탕 농악을 친다. 이후 편을 갈라 고싸움놀이를 하는데, 그해 풍년과 평안을 기원하며 마을 사람의 협동과 단결을 도모했다고 한다. 고싸움놀이가 끝나면 그 여흥을 이어가면서 본격적으로 판굿을 한다. 판굿은 고싸움놀이를 하는 과정에서 나뉘어 있던 서부 농악과 동부 농악이 하나 되어 어우러지는 대동굿으로, 단체놀이와 개인놀이로 구성된다.

  1. 입장: 굿머리, 입장, 인사굿
  2. 당산굿: 오방진굿, 개인놀이(소고놀이, 쇠놀이, 장구놀이)
  3. 마당밟이: 문굿-마당굿-철륭굿
  4. 고싸움놀이: 편가르기-대전
  5. 판굿: 합굿-어울림한마당

    칠석농악은 마을에서 정월대보름에 지냈던 당산제와 지신밟기, 그리고 고싸움놀이에서 주요한 역할을 했던 농악을 판굿으로 종합한 것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고싸움놀이 보존 단체(광주칠석고싸움놀이보존회)가 별도로 존재하며, 농악으로만 놀이를 표현하기에는 부담스러운 점이 많을 것으로 보인다. 당산제와 지신밟기는 농악대 중심으로 진행됐으나 그 표현에 무리가 없어 보이므로, 판굿의 내용과 형식을 효과적으로 구성하는 것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문화재 지정 현황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농악 (2014.11등재)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동영상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