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두계놀이(2011,평안남도)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52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18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참여지역 평안남도
분야 민속놀이
참여단체 향두계놀이보존회
수상(단체상) 아리랑상 (한국민속예술축제추진위원장상)

종목소개

평안도 향도(항두)계 놀이는 <씨앗 고르기>, <씨뿌리기>, <모심기>, <김매기>, <계놀이>, <추수와 방아 찧기>로 구성된다. 무의식적인 전통춤과 더불어 수심가·엮음수심가 등의 평안도 대표 민요가 불리며, 긴아리, 자진아리, 호미타령 풍구소리 등 평안도의 향토적 특색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토속민요를 중심으로 한 일종의 음악극(소리극)이다. 그 밖에 양산도, 사설난봉가, 개타령, 자진방아타령 등 서도민요 어법인 수심가토리로 이뤄진 노래로 구성된다. 연행 순서는 다음과 같다.

제1장 ‘씨앗고르기’ 파종할 때가 되어 시어머니가 제석항아리 속에서 씨앗을 꺼내 며느리들과 함께 고르는 연기를 하고, 시어머니가 단골을 불러 풍년을 빌면 무당들이 상수에서 나와 고사상 앞에서 노래한다.

제2장 ‘씨앗뿌리기’ 긴아리와 자진아리를 흥겹게 부르면서 씨앗을 뿌리는 춤을 춘다.

제3장 ‘모심기’ 모내기소리를 부르고 모내기 동작을 하면서 춤을 춘다.

제4장 ‘김매기’ 계수, 공수, 조수가 나오고, 김매기를 위해 긴급동원을 한다. 마을 농군들이 급히 모여 점검을 받는다. 지각자는 처벌을 받는 것의 연기 및 호미타령을 부르면서 김을 매는 동작과 함께 춤을 추며 노래를 부른다.

제5장 ‘계놀이’ 김매기를 하던 향도들이 논두렁에 모여앉아 참밥을 먹고 나서 계놀이를 벌린다. 개인기를 펼쳐 보이며 취흥이 도도해 온갖 노래와 춤을 춘다. 빠른 호미타령을 부르면서 나머지 논을 다시 맨다.

제6장 ‘추수와 방아 찧기’ 추수하면서 풍요를 구가하며 재담과 함께 춤을 춘다.

향두계놀이는 농사와 관련한 집단민속놀이의 전형적 양식과 전통연희 형식을 고루 잘 갖추고 있는 놀이다. 특히 제4장 김매기와 제5장 계놀이 과장은 두레놀이의 본질을 잘 표현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조선 후기 군역(軍役)에 관한 향두계의 특성까지 잘 나타내고 있다. 평안도 향두계놀이는 향두계의 사회적 역할, 언어와 생활 의식, 문화적 실태 등 민속학 측면에서 연구 가치가 있으며, 음악학 측면에서 평안도 토속민요의 음악 구조를 연구하는 데 가치가 매우 높은 민속놀이라고 할 수 있다.

문화재 지정 현황

-평안남도 무형문화재 평안도 향두계놀이 (2009.08지정)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동영상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