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복궁지경다지기(2011,서울시)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52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18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참여지역 서울시
분야 민속놀이
참여단체 경복궁지경닺이기보존회
수상(단체상) 아리랑상 (한국민속예술축제추진위원장상) / 입장상

종목소개

‘지경닺이’란 집을 지을 때 집터를 단단하게 다지는 것을 말한다. 문헌에 의하면 지경닺이는 인간이 집을 짓고 살기 시작하면서부터 유래했다고 한다. 땅을 단단히 다지는 작업은 단순노동을 길게 반복하는 것이므로 힘듦과 지루함을 잊기 위해 소리에 맞춰 진행했다. 땅을 다지는 도구로 둥그런 큰 돌을 굵은 동아줄로 얽어매어 여러 가락의 당김줄을 느린 것을 지경돌이라고 하는데, 줄 하나에 여러 지경꾼이 매달려 모갑이의 선소리에 맞춰 후렴을 받으며 당겼다 놓았다 하면서 지반을 다진다. 연행 순서는 다음과 같다.

제1과장 ‘궁, 집터고르기’ 대기와 영기를 선두로, 오방기, 용기, 구기, 각 동리의 농악대 지경꾼 순서로 (지경닺이의 모든 제구를 들고) 농악을 치며 입장해 각 방위에 맞는 5방기(청기, 황기, 적기, 백기, 흑기)를 세우고, 가래질꾼들이 집터 고르는 작업을 시작한다. 이때 가래질소리가 이어지며 궁터를 고르는 작업으로 제1과장이 시작된다.

<궁터 고르는 소리> 오험차 다루세 이씨한양 등국시에
오험차다루세 삼각산 내린 줄기 오험차다루세 학의 등에 터를 닦아 험차다루세 경복궁을 이룩하세

제2과장 ‘지경줄 디리기’ 전원이 석가래를 세 개씩 묶어 세워 놓고 그 위에 긴 석가래를 얹어놓은 후 동아줄을 디리며 소리를 한다.

<지경줄 디리는 소리> 디리세 디리세 동아줄을 디리세
강남은 홍씨마마 우리나라는 이씨마마 디리세 디리세 동아줄을 디리세 강남은 대한국이요 우리나라도 대한국이요

제3과장 ‘초지경닺이’ 역꾼들이 지경돌을 중심으로 모여선 후 선소리꾼이 선창하면 일제히 후렴을 받으며 장단에 맞춰 지경돌을 올렸다 내렸다 하며 지경닺이를 하는데, 그 사이 흥을 돋우기 위해 발림춤을 추고 지경꾼과 소리가 한데 어우러져 절정에 달한다.

<초지경 소리> 1. 에여라저어 관동은 에여라저어 오백리요 에여라저어 낙양산 에여라저어 삼천리요 에여라저어 강남은 에여라저어 오백리요 에여라저어 요동은 에여라저어 칠백리요 에여라저어 칠백리길을 에여라저어 얼른지나 에여라저어 의주가 에여라저어 초입이요 에여라저어 노정리 에여라저어 뛰어보자 에여라저어 의주용천 에여라저어

  1. 에여라 지경이요 먼데사람은 듣기도 좋게 에여라 지경이요 가까운데 사람은 보기도 좋게 에여라 지경이요 지경소리를 하여보세 에여라 지경이요 경복궁을 이룩을 할제 에여라 지경이요 어떤나무를 디렸더냐 에여라 지경이요 붕붕울려라 붕나무용 에여라지경이요 십니절반에 오리나무 에여라지경이요

제4과장 ‘마당놀이’ 초지경이 끝난 다음 아낙네들이 술동이를 이고 나와 일꾼들이 술을 마시고 농악을 치며 마당놀이를 시작한다. 이 장면 역시 선소리꾼이 선창하면 모든 역꾼이 후렴을 제창으로 부르며 흥겹게 노는데, 여기에서 부르는 노래는 ‘양산도’와 ‘방아타령(토속민요)’이며, 출연자 전원이 춤을 추며 신명 나게 논다.

<마당놀이 소리> - 양산도 에헤에 에헤 에헤헤이어리 도아

  1. 양덕맹산 흐르는 물 감돌아든다고 부벽루 하로다

  2. 세월아 멈춰라 오고가지 말아라 장안의 호걸이 다 늙어 가누나

  • 방아타령 에-헤 에헤야 ~ 에라 우겨라 방아로구나 너니가 나노 나니가 네노 늬나노 방아 좋다
  1. 모두아차 좋구나 이방아가 왼 방아냐 여주 이천에 잦채 방아 김포, 통진 밀다리요 날로 장차 찧어도 헛방아 뿐이로구나

  2. 모두아차 좋구나 이방아가 왼 방아냐 찧기 좋은 나락방아 원수 끝에 보리방아 날로 장차 찧어도 풍년방아가 좋구나

제5과장 ‘잦은 지경닺이’ 마당놀이의 뒤를 이어 잦은 지경닺이가 진행되는데, 동작은 점점 빨라지며 잦은 지경소리가 계속된다. 잦은 방아타령과 이엿차로 넘어간 후 잦은 지경소리에 이어 경복궁타령이 나오고, 그 뒤를 이어 출연진 전원이 춤을 추며 풍물놀이로 한껏 흥을 돋우는데, 풍물패와 깃발이 조화를 이루고 화려한 뒤풀이로 장관을 이룬 다음 퇴장한다.

<잦은 지경닺이 소리> - 후렴 떳다 떳다 새 새소리떳다 ~에~에헤요 에헤요 에이에에 에헤야~어야~어허야 에헤리떳다

  1. 떳다 떳다 정월이라 십오일에 액액이연이 떳다 떳다 떳다 새 새소리 떳다~에~에헤요 에헤요 에이에에 에헤야~어야~어허야 에헤리떳다

  2. 떳다 떳다 이월이라 한식날 종다리 한 쌍이 떳다 떳다 떳다 새 새소리떳다 ~에~에헤요 에헤요 에이에에 에헤야~어야~어허야 에헤리떳다

    지경다지기는 마을 사람들이 모여 함께하는 ‘협동’ 노동이며, 재앙을 쫓고 축복한다는 의미가 있다. 특히 경복궁 지경닺이에서 불리는 소리는 서울 경기 지방에서 전승되고 있는 ‘노작요’의 하나로, 임진왜란 당시 소실된 경복궁을 1800년대 중반 대원군이 중건할 때(1865년 영건도감[營建都監]을 둠) 불렸으나 지금은 사라졌다. 당시 대원군은 공사 진행에 힘을 북돋우기 위해 역꾼들에게 위로금을 지급하고, 무중대[舞重隊], 농악대, 남사당패 등을 동원해 격려했다고 한다. 당시 대원군이 하사한 농기를 경기도 시흥군 수암면 와리(지금의 안산시 와동)에서 받아 갔다고 한다. 이러한 연유로 경복궁 지경닺이는 옛날 경복궁 복원 대역사의 애환과 함께 면면히 이어져 내려오고 있었다.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동영상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