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선낙동농악(2011청소년,강원도)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52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18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참여지역 강원도
분야 농악
참여단체 정선중고등학교
수상(단체상) 동상 (국립국악원장상)

종목소개

‘정선낙동농악’은 강원도 정선군 남면 낙동리에 전하는 전형적인 농촌 마을의 농악으로, 마을 주민들이 합심해 전승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매년 정월 초 서낭굿을 할 때는 고려 말 충신7분(거칠현)의 혼령을 함께 모시는 색다른 전통이 전해지고 있다.

강원도 낙동농악은 악기, 편성, 가락, 판굿의 구성이 영동 지방 농악과 일부 유사하나, 멍석말이가 좌편돌이로 시작해 중간에 우편돌이로 바뀌는 것은 다른 지방에서 찾아볼 수 없는 향토적 특색이다. 쇳가락은 산악 지역을 중심으로 발달해온바, 그 흐름이 빠르면서도 강하고 경쾌해 옛날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지금은 가락 7~8종을 주로 사용하며, 놀이 과장은 대체로 12과장이다. 이는 마을마다 조금씩 다르고 장소와 시간에 따라 생략되기도 한다. 치배의 수를 짝수로 편성하는 것은 음과 양의 조화를 위한 것이며, 소고, 법구, 무동도 음양의 조화를 위해 짝수로 편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정선중고등학교는 학생 40여 명이 함께 농악대를 구성, 정선낙동농악 등 정선의 문화와 전통이 녹아있는 농악을 계승하고 있다. 전국의 여러 예술제에 참가해 입상하는 등 지역 전통문화를 계승하고 보존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 또한 농악뿐만 아니라 전교생에게 정선아리랑을 가르치는 등 지역의 문화유산을 직접 익히고 경험할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의 문화 감수성을 일깨우고 있다.

정선중고등학교 학생들이 전수한 낙동농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입장굿(시작굿) 모임채가락으로, 전 대원이 모여 4채가락에 맞춰 호흡을 맞춘다.

  2. 12채질꼬내기 낙동농악에만 있는 특별한 가락으로, 굿거리와 비슷하나 가락과 맛이 전혀 다르다.

  3. 인사굿 원형으로 둘러서서 관객에서 먼저 인사하고, 특이하게 대원 간에도 인사를 나눈다.

  4. 4채멍석말이 민 멍석말이라고도 하는데, 빠른 4채가락으로만 멍석말이를 한다.

  5. 서낭굿 서낭신을 모시고 서낭굿가락을 치면서 마을의 안녕과 무병장수, 풍년농사 들을 기원한다.

  6. 3채멍석말이 3채, 5채, 2채의 가락을 화려하게 사용하며, 법구잽이의 삼심일사 채상놀이는 다른 지방에는 없는 특수한 놀이로, 낙동농악에만 전해지고 있다.

  7. 잽이놀이 큰 원안에 작은 원을 만들어 소고, 법구, 무동, 풍물 순으로 잽이 기량을 선보인다.

  8. 농사놀이 원래 가래질, 풀썰기, 논갈기, 씨뿌리기, 모찌기, 모심기, 낫갈기, 김매기, 벼베기, 타작하기, 볏가마나르기, 낫가리가리기 등 12장면이 있으나, 대표적인 몇 가지만 선보인다.

  9. 황덕굿 농사를 마치고 마을 주민이 한데 모여, 황덕불을 피워놓고 동고리를 받으며 풍년을 자축한다.

  10. 12발상모놀이 닥지를 12발로 길게 이어 붙인 상모를 쓰고, 개구리 마당뛰기, 사사, 양사, 일사 등의 기량을 선보인다.

  11. 12채멍석말이 4채로 멍석을 말고 나서 12채가락을 치면서 흥겹게 춤을 춘다. 하늘에 감사하고 풍년의 기쁨을 한껏 누리는 것으로, 이 또한 낙동 농악에만 있는 특색 있는 장면이다.

  12. 마침굿 모든 굿을 마치고 관객과 잽이들이 서로 인사를 나누고 퇴장한다.

    정선중고등학교 학생들이 전승하는 낙동농악은 서낭굿의 전통과 농사풀이의 전통을 온전히 간직하고 있는 강원도 지역 농악의 특징을 담고 있다. 특히 학교에서 강원 지역 민속문화에 대한 전승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면서 학생들이 스스로 지역에 자부심을 가질 기회를 제공하고 있어 자신들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청소년기 학생들에게 매우 특별한 경험이 될 것으로 보인다.

문화재 지정 현황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농악 (2014.11등재)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동영상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