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안농요(2012,경상남도)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53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19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참여지역 경상남도
분야 민요
참여단체 함안농요보존회
수상(단체상) 대상 (대통령상) / 입장상
수상(개인상) 연기상 (홍복남)

종목소개

‘함안농요’는 경상남도 함안군에서 전승되고 있는 보리농사소리와 벼농사소리를 엮은 작품이다. 총 네 개 마당으로 구성되는데, 뻣뻣한 보리를 타작하는 보리타작소리, 모찌기소리, 모심기소리, 논매기 과정을 표현한 아시(초벌)논매기와 논매기 상사소리, 그리고 함안군의 전래놀이인 '거북줄땡기기 놀이‘까지 포함해 구성했다.

  1. 보리타작소리 보리타작할 때는 5~10명이 함께 일을 하는데, 목도리께(선창자)가 먼저 두드리면서 소리를 하면 나머지 사람들이 한꺼번에 두드린다. 도리깨로 타작을 하는 '보리타작마당'이 중심이 되며, 그 주변에서 타작을 돕는 비질, 갈퀴(까꾸리)질, 탈곡이 덜 된 보리를 손으로 훑어내서 키질하는 날보리 훑기, 탈곡이 된 보리를 모아 알을 가려내는 보리 대라기. 시어머니와 사는 가난한 새댁을 가정한 '개상질 타작'으로 구성된다. 시작할 때는 ‘오헤야’로 받다가 속도가 빨라지면서 ‘에화’로 받는소리가 바뀐다. (받는소리) 오헤야 (메기는소리) 잘도헌다 다잘허고 우리 농부 다잘하네

  2. 모찌기소리 (메기는소리) 살랑 살랑 모쪄서 놓고 저 건네 방천에 쉬러나 가세 (받는소리) 살랑 살랑 모쪄서 놓고 저 건네 방천에 쉬러나 가세 (메기는소리) 드러내자 드러서 내자 이 못자리로 드러서 내자 (받는소리) 드러내자 드러서 내자 이 못자리로 드러서 내자 (메기는소리) 에와 내자 에와서 내자 (받는소리) 이 못자리로 에와서 내자

<자진모찌는소리> (메기는소리) 조리자 조리자 이 못자리로 조리자 (받는소리) 조리장사 딸인가 조리기도참 잘한다 (메기는소리) 조리자 조리자 이 못자리로 조리자 (받는소리) 조리장사 딸인가 조리기도참 잘한다

  1. 모심기소리 - 정자소리 경남 지역에서 교환창 방식으로 부르는 정자소리 계열이다. 아침소리, 점심소리, 오후소리로 나뉜다. (메기는소리) 물꼬 장창 날어놓고 주인 한량 어데로 갔노 (받는소리) 문에 전복야 들고 저건네 가겄네 (메기는소리) 모야 모야 노랑모야 니원제 커서 열매열래 (받는소리) 이달 크고 저달 크고 칠팔월에는 열매열래

<자진모심는소리> (메기는소리) 더디다 더디다 우리 점심이 더디다 뭐한다고 더디노 (받는소리) 숟가락 밥마늘 세느라고 더디다 (메기는소리) 더디다 더디다 우리 점심이 더디다 뭐한다고 더디노 (받는소리) 나무접시 열두줄 딲느라고 더디다 (메기는소리) 더디다 더디다 우리 점심이 더디다 뭐한다고 더디노 (받는소리) 다 같이 젓갈을 세니라고 더디다

  1. 논두렁밟기 모심기를 위해 논에 물을 가두고 써레질을 할 수 있도록 논두렁을 밟는다.

  2. 아시(초벌) 논매기 - 상사소리 첫 번째 논매기를 ‘아시매기’라고 한다. 이때 상사소리를 부르는 데 몸을 숙여 논바닥을 저으면서 천천히 풀을 뽑아낸다. (받는소리) 상사 이 디이이여허 (메기는소리) 거룩하신 조물주를 인생 마련하여 돌아가신 신농씨는 높은 데는 밭을 두고 이렁 저렁 다매었다

  3. 새참

  4. 만논매기소리 ‘만논매기’는 마지막 논매기라는 뜻이다. 마지막에는 풍년을 축하하는 ‘칭칭이소리’를 노래한다. (받는소리) 상사 디이이여허 (메기는소리) 여보소 농부야 말들어 이논 배미를 얼른 매고 놈 놀 적에 나도 나고 나 날 적에 놈도 나고 다 같이도 낳건마는 우리 농부 불쌍하다 덥고 더운 삼복시절 오뉴월에 삼복시절 새끼 백발은 농촌에 씨고 인간 백발은 쓸데가 없네 얼릉 매고 집에 가서 반가운건 애기도령 얼릉 안고 어려갈제 사람하고 똑같은 님 이렁저렁 다매었다

  5. 함안거북줄당기기놀이 농악 연주로 홍이 고조되면 각 마을의 거북이가 나와 줄당기기 놀이를 한다. 거북이는 양쪽에 둥글게 매듭을 지은 줄을 목에 걸고 두 다리 사이로 줄을 빼내 엎드린 자세를 취한 후 좌우로 크게 태극 모양으로 움직이며 힘을 겨룬다. 승패가 갈리면 이긴 거북을 지게 작대기에 태우고 한 바퀴 돌며 놀이를 맺는다.

    보리타작을 실감 나게 재현했고, 논농사소리 중 모찌는소리와 모심는소리는 여자들의 소리로, 논매는소리는 남자들의 소리로 과거의 모습을 잘 보여줬다. 또한 농악 연주와 거북줄당기기놀이, 새참 때의 짚불피우기와 씨름 등 여러 민속문화를 다채롭게 엮었다. 함안농요는 제53회 한국민속예술축제에서 최고상인 대통령상을 수상했다.

문화재 지정 현황

-경상남도 무형문화재 함안농요 (2016.09지정)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동영상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