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인팔광대(2012,경상북도)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53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19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참여지역 경상북도
분야 민속극
참여단체 자인팔광대보존회
수상(단체상) 은상 (문화재청장상)

종목소개

자인팔광대는 경북 경산시 자인면에서 전승하는 민속가면극 (탈춤)으로서, 국가무형문화재 제44호 경산 자인단오제에 포함되어 연행된다. 신라시대부터 전승되어온 경산자인단오제에서는 한묘대제를 지내고 나면 마을의 수호신이신 한 장군의 뜻을 추모하며 여원무를 추고 배우잡희를 열게 되었는데 이 배우잡희가 바로 팔광대의 전신이며 이때 8명의 광대가 판을 벌여 팔광대라고 부르게 되었다. 다른 가면극과는 달리 광대들의 중간 등·퇴장이 없으며 8명의 광대가 다 같이 등장해 마당 구분 없이 극이 끝날 때까지 함께한다. 그 순서와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등장 자인팔광대 기가 앞장을 서고 태평소, 꽹과리, 징, 장구, 북 등 악사들과 양반, 후처, 본처, 말뚝이, 참봉, 곱사, 줄광대, 무당 순으로 일렬로 갈 지(之)를 그리며 덧배기나 굿거리장단에 춤을 추면서 놀이판으로 등장해 원을 만든다(8명의 광대는 반시계방향으로 원을 그리며 춤을 추고 악사들은 원 바깥에 일렬로 앉아서 반주함).

  2. 양반 말뚝이 마당 8명의 광대가 원이 이루어지면 원 한가운데 있는 술독으로 가서 제각기 술을 한 잔 마시고 탈을 쓴 후 다시 원을 그리며 춤을 추다가 양반의 “쉬~” 소리에 춤을 멈추고, 양반과 말뚝이는 원 중앙에서 서로 재담을 주고받다가 다시 원을 그리며 춤을 추는 것을 반복한다.

  3. 본처 후처마당 본처를 제외한 모든 광대는 원의 선상에서 춤을 추고 본처는 양반을 원 안에서 이리저리 찾아다닌다(즉흥으로 원 안을 벗어나 객석으로 이동해 양반을 찾기도 함). 양반이 “쉬~” 하면 모든 배역은 제자리에 앉고 말뚝이와 양반, 본처 후처가 원 안에서 연기한다. 말뚝이가 후처와 양반을 중매하고 후처와 양반이 놀아나는 것을 본처에게 고자질하고, 본처가 바가지를 배에 넣고 임신한 체하며 양반과 실랑이를 벌이다 양반을 발로 차 죽게 하며, 당황한 본처는 양반을 살리기 위해 참봉과 무당을 불러 굿을 통해 양반을 살린다. 다시 살아난 양반은 본처에게 절을 하며 사죄하고 다시 화목한 가정을 꾸린다(모든 연기는 원 안에서 이루어짐).

  4. 줄광대 마당 본처 후처마당이 끝나면 양반이 말뚝이를 불러 원 안에 줄광대가 탈 줄을 깔게 하고 줄을 양쪽에서 잡아당겨 팽팽하게 땅줄을 만든다. 줄광대는 줄 위에서 줄을 타며 재담을 하고 곱사는 줄광대의 흉내를 내며 원 안에서 춤을 추며 말뚝이는 원 안에서 북을 치며 흥을 돋운다.

  5. 뒤풀이 줄광대 마당이 끝나면 양반이 “필필이 강산이 화사적 하니 도천 갓변에 굿단이 났다. 우리 한바탕 노자~" 하면 일동 “좋다 좋다 쿵마 캥캥 호로록 삐쭉” 하며 불림을 하고 춤을 춘다. 이때 바깥에 앉아 있던 악사들 모두가 원 안으로 들어와 한바탕 놀다가 입장할 때와 같이 일렬로 춤을 추며 퇴장한다.

    자인팔광대는 대체로 갈등·화해의 구조를 보인다는 특징이 있다. 그런데 그 과정이 매끄럽게 전개되지 못한다. 양반과 말뚝이의 화해는 일방적이고 봉합된 측면이 있으며, 양반 처첩 관계는 결합, 갈등, 분리, 화해의 과정이 다소 인위적이고 억지스러운 면이 있다. 한편으론 기존의 다른 지역 가면극과 달리 철저히 유언 중심으로 진행된 점은 독특한 면모라고 할 수 있다.

문화재 지정 현황

-국가무형문화재 경상자인단오제 (1971.03지정)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동영상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