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금밤달애놀이(2012,전라남도)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53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19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참여지역 전라남도
분야 민속놀이
참여단체 비금밤달애보존회
수상(단체상) 은상 (경상북도지사상)

종목소개

밤달애는 장례식 전날 밤 동네 사람들이 상주를 위로하기 위해 초상집에 모여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면서 노는 놀이로, 다양한 민요로 구성되어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장례를 축제와 같이 치르는 전통이라 여러 가지 놀이와 연희가 들어 있다. 특히 남사당노래는 일정한 형식과 구성을 취하고 있는 것이 주목할 만하다. 그 순서와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마당어우르는 놀이 이름이 말하듯 연행 현장 분위기 조성을 위해 소고치고 노래를 부르며 노는 놀이다. 노래는 ‘12/8(♩.=43)’박으로 되어있다. 경서도 산타령에서도 소리를 시작하기 전 판소고 치는 것을 격식으로 삼는데, 소고를 들고 일렬로 늘어서 앞뒤로 오가며 뒷소리를 받아넘기며, 본격적인 소리판이 만들어지기 전의 절차로 이루어졌다고 한다.

  2. 주문가 주문가는 노랫말에 나오는 ‘당산’, ‘나무북방’ 같은 말이나 달거리 형식으로 된 사설 구성 등 주술적 기능과 연관이 있다. 그러나 남사당놀이의 오락 기능이 강조되면서 제의적 사설은 축소된 것으로 여긴다. 음악은 ‘12/8(♩.=77)’박과 ‘18/8’박이 혼재해 화려하고 세련된 느낌을 준다.

  3. 거사·사당놀이 거사와 사당으로 꾸민 두 패가 마주 보고 서서 교환창 방식으로 노래를 주고받으며 소고춤을 추는 놀이다. 사당이 노래를 하면서 나오면 거사가 뒤로 물러서고, 거사가 소고치고 노래하면서 나오면 사당이 물러서면서 노는 형태를 보인다.

  4. 매화타령 매화타령은 후렴에 나오는 ‘매화’라는 말에서 따온 이름이다. 선후창 형식으로 되어있으나, 선입후제창으로 많이 부른다. ‘12/8(♩.=80)’박을 기본으로 한다.

  5. 잡가 매화타령 후에는 상두꾼들이 빈 상여를 메고 마당을 도는 상여놀이를 한다. 잡가는 매화타령 이후 부르는 여흥 노래로, 여러 타령류를 총칭한 것이다. 따라서 엄밀하게 말하면 남사당노래는 아닌 셈이다. 개미타령, 다리타령, 신세타령, 단지타령, 시누타령, 이타령, 장모타령 등이 주로 불리는데, 여흥 목적에 걸맞게 해학과 과장된 상황 묘사 등이 주를 이룬다.

    밤달애놀이는 망자의 혼을 달래는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의례로, 마을 사람들이 호상을 당한 상가를 위해 밤을 새우며 치르는 것이 큰 특징이다. 오랜 전통의 연원에 바탕을 두고 현재까지 전승되는 공동체적 유대 의식을 기반으로 한 장례 풍속인 점이 남다르다고 할 수 있겠다.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동영상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