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천춘사새신(2012,대전시)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53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19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참여지역 대전시
분야 민속놀이
참여단체 대전서구문화원
수상(단체상) 아리랑상 (한국민속예술축제추진위원장상)

종목소개

대전의 중심을 흐르는 갑천[甲川] 유역에서 행해졌던 신굿(새신[賽神])이다. 이 고장에 사는 마을 주민들의 안가태평[安家泰平]과 국태민안[國泰民安]을 함께 기원하는 행사보제[行事報祭] 민속신앙놀이다. 갑천팔경 중 제1경인 춘사새신은 봄철, 즉 춘분날로부터 다섯째 무일[戊日]에 갑천을 사이에 두고 양쪽 강기슭에서 토지신과 용왕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민속놀이로 구성한 작품이다.

놀이는 여섯 마당으로 나뉘는데, 첫째 마당이 만년골과 용골 마을 사람들의 당산제로 시작되고, 둘째 마당은 다음 날 아침 동구굿으로, 셋째 마당은 오곡건립(1장 마당굿, 2장 조왕굿, 3장 샘굿)으로, 넷째 마당은 무격[巫覡]들의 신굿(하백굿)으로, 다섯째 마당은 두 마을의 합수굿으로 만년골마을과 용골마을 사람들이 하나로 화합하며, 여섯째 마당에서 두 마을이 아쉬운 석별을 하며 뒤풀이를 잇는다. 그 순서와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전일당산제 춘사새신 전날 밤, 마을 사람들이 당산에 모여 제를 지내는데, 그동안 금기를 지켰던 제관이 주관해 자정쯤 주요 남성들만 당산에 모여 마을의 안녕과 새신을 위해 제를 지낸다. 제관이 기수(햇불)들과 함께 마을을 한 바퀴 돌아 당산에 이르는데, 매년 새신을 잘 치르게 해달라는 바람을 비는 의식이다.

  2. 동구굿 춘사새신 날 아침 해가 뜨면, 마을 입구에서 나팔수(태평소)가 삼초하면 아침을 먹고 새신 드리는 첫 순서로, 풍물패들은 복장과 악기를 챙겨 동청마당에 모여든다. 풍물패가 다 모이면 상쇠를 중심으로 풍물을 시작한다. 마을 사람들(남정네, 아낙네, 무동)은 기수 주변에 모여 마음을 모으고, 마을 사람들이 다 모이면 풍물패가 앞장서서 중앙 마당으로 간다.

  3. 오곡건립 - 1장: 마당굿, 2장: 조왕굿, 3장: 샘굿 풍물패 앞에서 마당쇠가 전곡[錢穀] 자루를 가지고 동네 사람들에게 다 같이 건립에 참여하자고 소리치면 화답하며 함께 건립[乾粒]에 참여한다. 차례로 마당굿, 조왕굿, 샘굿을 한다.

  4. 하백굿 갑천변에 두 마을의 대열이 도착하면 촌장 지시에 따라 장막을 치고 하백굿 준비를 한다. 장막을 다 치면 기수들이 각 마을 촌장을 중심으로 둘러선다. 촌장이 주문을 왼다. 이어 상쇠가 소리를 받으며 꽹과리 신호에 따라 풍물패가 장단을 치며 강변을 세 번 돈다. 그러는 동안 아낙네들은 제상을 차린다. 제상 준비가 끝나면 풍물패와 아낙네는 인사 가락에 맞춰 갑천을 향해 세 번 절한다. 자연스럽게 만신이 나와 강변을 향해 용왕굿을 한다. 용왕굿이 끝나면 본격적인 합수굿을 들어가기 위한 놀이가 한판 벌어진다.

  5. 합수굿 하백굿이 끝나면 갑천에 다리를 놓아 양쪽 마을이 합수한다. 다리 중간에서 거북이를 띄워 풍년을 기약하고 형님 마을도 정한다. 춘사새신이 잘되어 흥겹게 놀고 음식을 나눠 먹고, 술판, 난장판 등 신명껏 한바탕 놀면서 자연스레 두 마을이 하나의 원을 이루며 돈다. 다리를 건너온 마을 사람들이 다 건너갈 때까지 맞은편은 일렬로 서서 배웅해 준다.

  6. 뒤풀이, 퇴장 두 마을 각각 자기 공동마을에 도착해 마을 사람끼리 무동을 선두로 원형으로 하나 되어 모았다 풀었다 반복하며 신명 나게 논다. 그러다가 강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는 대형을 하고 상대방 마을과 덕담을 주고받는다. 풍물패 상쇠의 신호에 따라 상대마을의 대형을 마주 보며 앞으로 갔다 뒤로 갔다를 세 번 반복한 후, 인사굿을 하고 서로 손을 흔들며 마을로 향한다(퇴장한다).

    춘사새신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제례 민속신앙놀이 중 하나다. 특히 송몽인의 시집 《금암집》 속 〈춘사새신〉을 복원 재현한 것에 큰 의의가 있으며, 여전히 큰 굿의 형태로 남아있는 점도 매우 특별하다.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동영상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