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지원농악(2012청소년,경기도)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53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19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참여지역 경기도
분야 농악
참여단체 광주중앙고등학교
수상(단체상) 대상 (대통령상)

종목소개

‘광지원농악’은,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광지원리에서 농번기, 중추절, 정월대보름을 맞이해 마을의 풍년과 안녕, 마을 공동체 단합을 목적으로 하던 웃다리농악이다. 광주 지역에는 조선시대부터 남한산성 수어청에 파견된 재인청 소속 재인들이 많이 살면서 마을 두레패들과 함께 농악을 치던 것이 전문 연희적 농악으로서 그 명성이 높았다.

광지원농악에서는 농요 소리와 벅구놀이, 무동놀이를 특색으로 꼽는다. 판굿의 진풀이 중 당산벌림을 한 뒤에 치배, 무동, 벅구잽이들이 ‘ㄷ’자형으로 서고, 상쇠가 나와 벅구잽이들을 이끌고 노는데, 이 과정에서 벅구잽이와 상쇠가 서로 어울려 농사짓는 흉내를 내면서 춤사위를 한다. 벅구잽이들이 늘어서는 대형이나 상징적인 행렬이 모의 농경의례의 속성을 뚜렷하게 보여주며, 오방진, 가새벌림, 원좌우치기, 네줄백이 좌우치기 등 전체 대형의 변화가 무쌍한 것은 군사 진법에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광지원농악의 농요소리는 판굿 중에 쩍쩍이가 끝나고 찍었네 소리로 상쇠가 선소리를 내고 나머지 치배들이 후렴을 내는 형식이다. 무동의 깨끼춤, 쾌자춤, 쩍쩍이 춤 등의 원형이 잘 보존되어있다.

광지원농악을 전승하던 마을 고로들이 대부분 작고하시고, 단 몇 분만이 기억하고 있는 점을 안타깝게 여긴 광주시 광주문화원이 광지원리의 농악을 지원해 1997년도부터 복원·전승하고 있다.

광주중앙고등학교 학생들이 실연한 광지원농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1. 굿머리 등장 부분으로, 기수와 태평소 다음 쇠와 징수, 다음은 장구, 북, 소고, 피조리 순서로 입장한다. 이때 일체, 자진가락, 사채, 자진가락 순으로 진행한다.

  2. 인사굿 전 치배들이 입장해서 상쇠의 신호가락에 맞춰 다 같이 큰 원을 만든 후 옆 뛰기를 하다가 맺은 후 인사한다. 이때 덩덕궁이, 자진가락, 인사굿가락 순으로 진행한다.

  3. 돌림벅구 안쪽에는 소고잽이가 한 줄로 원을 만들고, 쇠, 징, 장고, 북잽이들과 피조리가 반시계방향으로 바깥 원을 만들어서 돈다. 소고잽이는 돌 때 허공잽이를 한다. 별채굿으로 시작해서 자진가락으로 넘어간다.

  4. 앞당산벌림 잽이들이 두 줄로 서고, 반대편에서 소고잽이는 한 줄을 만든다. 덩덩덩딱으로 시작해 여장놀이, 마당삼채를 친 후, 제자리연풍대와 벅구놀이 순으로 진행한다.

  5. 오방진 상쇠가 길군악 장단을 내면서 시작하는데, 농악대가 동·서·남·북·중앙 다섯 군데에서 차례로 방울진을 쌓는다. 중앙의 잽이들이 옆뛰기를 하고, 소고잽이들은 자반 뒤집기를 한다. 길군악 칠채로 시작해 육채, 마당삼채, 자진가락, 사채변형, 자진가락 순서로 진행한다.

  6. 가새벌림, 사통백이 악기잽이와 소고잽이, 피조리가 사각형을 만들어서 교차하는 대형을 이루는 가새벌림을 진행한 후, 넷으로 갈라서 작은 원을 만들고 각각 도는 사통백이를 진행한다. 별채굿 가락으로 시작해 자진가락, 덩덕궁이, 자진가락 순서로 진행한다.

  7. 좌우치기 잽이들이 큰 원을 만들어 오른쪽으로 한 발짝씩 세 발짝 띄우다가, 왼쪽으로 세 발짝, 앞과 뒤로 세 발짝씩 발을 떼며 움직이는 원 좌우치기를 한다. 이후 악기별로 줄을 맞춰 서서 네줄백이 좌우치기를 한다. 이때는 오른쪽, 왼쪽, 뒤, 앞의 순으로 진행한다. 가락은 잦은삼채로 시작해 일채를 치고, 앉은상, 자진가락, 잦은삼채, 덩덕궁이 순으로 진행한다.

  8. 쩍쩍이 앞치배와 소고·피조리가 각각 한 줄을 만들어 양쪽으로 나뉘었다가 뒤에서 만나 교차한 다음, 한 줄로 큰 원을 만든다. 쩍쩍이가락을 치며, 치배는 안쪽에 원을 만들고, 소고와 피조리는 바깥에 원을 만든다. 같은 대형으로 타형을 내어 소리를 내기도 한다. 그 후 안과 밖을 번갈아 보다가 소고잽이들과 치배들이 원을 교차한다. 옆뛰기를 돌다가 소고는 밀벅구를 하고, 치배와 피조리는 연풍대를 돈다. 가락은 쩍쩍이, 타령, 넘김장단, 자진가락 순으로 진행한다.

  9. 뒷당산벌림 벅구놀이, 쇠놀이, 무동놀이, 열두발상모 순으로 진행한다. 개인놀이가 주를 이룬다.

  10. 인사굿 중앙에서 잽이들이 옆뛰기를 하고, 소고잽이들은 자반 뒤집기를 한 후 퇴장한다. 가락은 덩덕궁이, 마당삼채, 자진가락, 인사굿 순으로 진행하며, 별채굿가락으로 퇴장해 휘모리가락으로 끝을 맺는다.

    광주중앙고등학교(구 광주종합고)는 학교에 광지원농악전수관을 따로 마련해 15년 이상 학생들이 광지원농악을 전문적으로 전승할 수 있도록 힘써왔다. 이처럼 적극적인 지원으로 학생들이 안정적으로 광지원농악을 전승하고, 적극적으로 농악을 학습할 수 있으며, 향후 자신의 진로를 결정하는 데도 크게 도움받고 있다. 광지원농악을 오랫동안 학습하면서 학생들이 지역 농악을 전승하고 보존하는 매우 중요한 사례로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문화재 지정 현황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농악 (2014.11등재)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동영상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