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제농악 판굿 및 도둑잽이굿(2012청소년,전라북도)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53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19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참여지역 전라북도
분야 농악
참여단체 김제시청소년농악단
수상(단체상) 장려상 (김천시장상)

종목소개

김제농악은 호남 지역에 전승되는 수많은 농악 중 하나다. 특히 김제의 평야 지대를 바탕으로 여러 마을에서 대동굿 형태로 전승되어온 농악이, 뛰어난 기량을 가진 명인들을 만나 예능적 면모를 갖춘 농악으로 발전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 김제농악은 우도농악으로서 가락이 풍성하고 판의 구성이 다양하며, 치배들과 잡색들이 한 데 어울려 흥을 돋우는 도둑잽이굿, 일광놀이 등 연희적인 요소를 갖추고 있다.

김제농악은 우도농악의 특징인 고깔을 쓰고 연희하므로 아랫놀음이 발달했다. 다른 지역에 비해서 쇠 놀이, 설장구 놀이가 두드러진 것을 특징으로 삼는다. 김제농악의 전통 형식은 당산제를 시작으로, 걸궁굿, 기맞이굿, 망월굿, 줄굿, 칠월칠석굿, 지심매기굿, 영풀베기, 주당매기, 무제굿, 노적굿, 기싸움, 술매기굿, 배굿, 보매기굿, 기타굿, 판굿으로 구성된다. 김제농악 판굿의 주된 가락은 풍류굿, 덩덕궁이, 오채질굿, 호호굿 등이다.

김제농악의 진행 절차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마당 농악대가 입장해 원형을 이룬 상태에서 오채질굿, 풍년굿, 양산도, 삼채굿 등을 진행한다.

둘째마당 오방진을 치면서 큰 원을 그리다가 오방진을 치면서 달팽이진을 만들었다가 풀기를 반복한 후, 다시 큰 원을 그리며 삼채, 빠른삼채, 매도지로 마무리한다.

셋째마당 원형을 이뤄 호호굿을 진행하다가 도둑잽이굿을 진행한다. 도둑잽이굿은 잡색의 수장인 포수가 상쇠의 꽹과리를 훔쳐 간 것을 다시 찾는 과정이다. 이때 상쇠와 치배들이 꽹과리를 찿아내기 위해 여러 놀이와 재담으로 진행하는데, 문복쟁이한테 가서 점을 치는 등의 장면이 특별하다. 도둑을 잡으면 다시 원형을 만들어 달어치기를 하다가 원형 크기 안에서 두 줄로 대열을 만들고 빠른삼채, 매도지로 셋째마당을 마무리한다.

개인놀이 꽹과리 부포놀이, 소고놀이, 설장구, 열두발상모 순으로 진행한다.

김제농악은 우도농악의 형식을 전승하는 농악으로, 판굿의 다양한 진풀이와 함께 뒷굿에 해당하는 도둑잽이를 전승하고 있어서 민속예술적 가치가 매우 높다. 특히 호남의 지역성을 잘 간직하면서 과거에 명성이 높았던 여러 치배가 존재해 예술적인 기량을 높였던 김제농악이 현재 김제시청소년농악단을 통해 전통적인 면모를 유지하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문화재 지정 현황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농악 (2014.11등재)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동영상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