웃다리농악(2012청소년,서울시)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53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19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참여지역 서울시
분야 농악
참여단체 세명컴퓨터고, 경기여자상업고등학교

종목소개

웃다리농악은 서울, 경기, 충청 지역에 전승되는 농악을 일컫는 지역적 분류 명칭이다. 현재도 보존되고 있는 대전 웃다리농악, 평택 농악, 천안 흥타령농악, 안성 남사당 농악 등 각 웃다리 지역패의 상쇠들은 1950년대 후반에 조직된 남사당패에 그 탯줄을 두고 지역의 특징을 반영해 현재에 전하고 있다. 따라서 서울 웃다리농악은 남사당패의 풍물적 요소들이 다수 가미되어 오무동이 더 화려하고, 판굿의 진풀이와 개인놀음을 더 다양하게 펼치는 특징이 있다.

서울 남사당 풍물놀이는 30여 가지의 판굿과 개인놀음, 무동놀이, 12발 상모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번 대회 출전 시에는 웃다리 전통을 유지하며, 세명컴퓨터고등학교와 경기여자상업고등학교 학생들이 서울 웃다리풍물 가운데 외돌림벅굿, 당산벌림, 칠채 오방진, 개인놀이, 설장구, 소고, 버나, 무동놀이, 열두발상모놀이 등을 진행했다.

서울 웃다리풍물의 전체 과장은 다음과 같다.

제1과장 ‘입장, 인사굿’ 판굿을 위해 일렬로 나간다. 징을 크게 세 번 친 후 원형을 만든 뒤 인사한다.

제2과장 ‘외돌림벅구’ 상쇠를 중심으로 잽이들이 2~3개의 원을 겹으로 만들며 휘모리를 친다. 벅구는 밖의 원에서 외상이나 양상을 치기도 한다.

제3과장 ‘당산벌림’ 삼채가락을 치면서 원을 풀어 잽이 한 줄, 벅구 한 줄, 무동 한 줄로 ‘ㄷ’자 대형을 갖춘다. 상쇠는 연타채를 치면서 중앙에서 놀다가 벅구 쪽으로 가서 논다.

제4과장 ‘칠채 오방진’ 상쇠의 칠채 머리가락에 따라 전 대원이 칠채를 치면서 동·서·남·북·중앙 진을 만든다. 풀 때는 시계방향으로 벙어리 칠채를 두 번 치면서 푼다.

제5과장 ‘새미놀이’

제6과장 ‘절굿대놀이’

제7과장 ‘십자걸이‘

제8과장 ’사통백이’

제9과장 ‘좌우치기‘

제10과장 ’쩍쩍이’

제11과장 ‘풍년굿’

제12과장 ‘고사리꺾기’

제13과장 ‘벅구판놀이’

제14과장 ‘개인놀이’ 무동놀이, 상쇠놀이, 따벅구, 설장구, 길놀이, 북놀이, 12긴채상놀이 등을 진행한다.

제15과장 ‘멍석말이’

제16과장 ‘인사굿’ 삼채가락을 치면서 원이 만들어지면 삼채가락을 맺고, 휘모리가락을 치고 맺은 다음 절가락을 친다.

제17과장 ‘퇴장’ 행진가락을 치고 큰 원을 풀어 나오면서 3~4줄로 만들어 퇴장한 다음, 휘모리가락을 빠르게 몰아치며 맺는다.

세명컴퓨터고등학교와 경기여자상업고등학교의 서울 웃다리농악은 남사당패의 영향을 받은 풍물놀이적 성격이 강하게 드러난 구성을 갖췄다. 특히 전 과정을 펼치는 것보다 웃다리농악의 대표적인 가락이 들어간 외돌림벅굿, 당산벌림, 칠채 오방진 등으로 놀이를 구성해, 참여자들 개인놀이로 기량을 뽐낼 수 있게 함으로써 연출의 독자성을 드러냈다.

문화재 지정 현황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농악 (2014.11등재)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