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두계놀이(2013,평안남도)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54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20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참여지역 평안남도
분야 민속놀이
참여단체 평남향두계놀이보존회
수상(단체상) 대상 (대통령상)
수상(개인상) 지도상 (유지숙)

종목소개

한반도 북부 지방인 평안도 청천강 건답직파 지역에는 ‘황두’라는 독특한 명칭이 있다. 이는 불교에서 비롯한 것으로, 향촌공동체 조직이 된 ‘향도’ 또는 향도품어리 등의 ‘향도’를 평안도 방언으로 ‘항두’ 또는 ‘황두’로 발음한다. 향두계놀이는 소리가 주가 되고 춤과 몸짓이 곁들여져 음악에 맞춰 어우러지는 놀이 형식의 종합 민속연희다.

그 순서와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1장 ‘입장’ 입장 후 자당 중앙에서 한바탕 논 후, 소리꾼과 농악대는 절구통 뒤편으로, 농부와 아낙네는 논으로 간다. - 보리타작 마당: 기수와 아낙네들은 자기 위치로 가는 동안 농부들이 ‘타작소리’, ‘방아타령’을 부르며 보리타작을 한다.

제2장 ‘모내기’ - 모심기 준비과정: 보리타작 후, 논 앞에서 한판 놀고, 논으로 가 모찌기를 준비한다. - 모찌기 및 모심기: 삿갓과 도롱이를 논두렁 뒷마당에 벗어둔 후 못자리에 ‘U’자형으로 선다. 모찌기 소리에 맞춰 모를 찐다(이북 지역은 이모작을 하지 않고, 볍씨를 직접 뿌려 벼농사를 짓기도 함). 모를 다 심으면, “다 심었네!” 하면서 논두렁으로 이동해 논두렁 밟기를 준비한다. - 논두렁 밟기: 모심기가 끝나면 농부들은 두 줄로 각각 나뉘어 논두렁을 타고 앞쪽으로 춤추면서 빠르게 이동하고, 적당히 뒤섞여 춤춘다. 상농부 지시에 따라 허리에 뒷짐을 지고 논두렁 밟기를 하며, 뒤쪽 마당으로 이동한다.

제3장 ‘김매기’ - 초벌 논매기: 농부들은 호미를 들고 일자로 선다. “다 베었네” 하고 일어서서 뒷마당 아낙네들과 새참을 먹으러 간다. 새참, 가래질소리와 쑥 연기 피우기 쑥화로가 논으로 나와 곤충을 쫓고 병충해 예방 두레농악을 치고 논다. - 만벌(세벌) 논매기: 농부들은 우장을 입고 삿갓을 쓰고 논으로 들어간다. “다 매었네” 하면 다 함께 흥겹게 춤춘다. 풍년 기원 두레놀이 및 퇴장으로 신명 나는 두레놀이로 끝난다.

향두계놀이는 평안도의 지역성을 갖는 두레소리 또는 두레놀이인데, 소리에서는 요성(떠는소리), 들청(높은소리), 가성(속소리), 비성(콧소리) 등을 구사해야 하고, 무엇보다 북한 지역 방언을 구사하는 대사가 북한 연희의 고유성을 갖게 한다는 점에서 특별하다.

문화재 지정 현황

-평안남도 무형문화재 평안도 향두계놀이 (2009.08지정)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동영상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