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염전밭갈이놀이(2013,인천시)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54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20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참여지역 인천시
분야 민속놀이
참여단체 인천염전일놀이보존회
수상(단체상) 장려상 (단양군수상)

종목소개

인천염전밭갈이놀이는 문헌 《각사등록[各司謄錄]》의 기록을 토대로, 인천 서곶에서 바닷물을 퍼올려 염밭에 넣었다가 염도가 높아진 다음 가마솥에 조려 생산하던 재래식 사염법을 사용한 소금 생산 과정을 민속놀이로 재현한 것이다. 그 순서와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드는마당 놀이 깃발을 앞세우고 무든 놀이꾼들이 연모를 메거나 이고 등장한 후, 관중에게 인사하고 농악에 맞춰 한바탕 앞놀이를 한다.

  2. 염밭갈이마당 각종 쟁기를 들고나와 염밭을 간다. 이는 바닷물을 넣기 위한 준비 작업이며, 골고루 바닷물이 스며들어 간기가 배도록 밭을 간다. 소를 몰고 쟁기질을 하고, 쇠스랑을 들고 밭을 골고루 편 다음 써레질을 한다. 써레질이 끝나면 아낙들이 호미를 들고 밭을 맨다.

<염밭가리 노래>

어기어차 어기어차 밭가리 하세 어기어차 어기어차 차산에 새로다 (메기꾼이 초창[初唱]을 세 번 연거푸 부른다.) 어기어차

(받음) 차산에 새로다 (메김) 어찌나 하니 일시에 놓고 어기어차 밭가리 하세 (받음) 차산에 새로다 (메김) 강경 활에 감돌아 든다 어기어차 차산에 새로다 (받음) 차산에 새로다 (메김) 박연 하니 띠눈 입구 어기어차 밭가리 하세 (받음) 밭가리 하세 (메김) 홍단 입에 나 돌아든다 어기어차 차산에 새로다 (받음) 밭가리 하세 (받음) 차산에 새로다

(메김) 평택 같이 흘러가는 물이라도 밭가리 하세 (받음) 차산에 새로다 (메김) 간데 족족 정들여 놓고 어기어차 밭가리 하세 (받음) 밭가리 하세 (메김) 아까운 청춘 다 늙었구랴 어기어차 차산에 새로다 (받음) 차산에 새로다 (메김) 아서라 말어라 괄세를 마소 어기어차 밭가리나 하세 (밭음) 밭가리나 하세 (메김) 언제나 또다시 만나서 어기어차 차산에 새로다 (받음) 차산에 새로다 (메김) 영 틀렸구 다 틀렸구랴 어기어차 차산에 새로다 (받음) 차산에 새로다 (메김) 아서요 말어요 그리를 말어요 어기어차 밭가리 하세 (받음) 밭가리 하세 (메김) 정류장 같이 떠날까요 어기어차 차산에 새로다 (받음) 차산에 새로다

  1. 물푸기소리 염밭 뒤에 흐르는 바닷물을 쯔레(‘용탕’이라고도 함) 두레박을 가지고 바닷물을 퍼 올린다.

<물푸기 노래> 하나요 (하나로구나) 한평생 좋은 세월 어디다가 다 버리구

둘이요 (둘이로구나) 두손이 젓갈이 되도록 소금섬을 부여잡았네

셋이요 (셋이로구나) 섰으나 앉았으나 생각하면 장탄식이요

넷이요 (넷이로구나) 네놈에 꾐이냐 내놈에 우둔이냐

다섯이요 (다섯이로구나) 다소간에 식솔들을 떼어놓구

여섯이요 (여섯이로구나) 염밭에 찾아들어 이 고생이 웬말이냐

일곱이요 (일곱이로구나) 일가친척 보고지고 일가친척 보고지고

여덟이요 (여덟이로구나) 팔팔한 세얼이 반여든이 되었구나

아홉이요 (아홉이로구나) 구만리 같은 우리청춘 허송세월 하지말구

열이요 (열이로구나) 열심히 일을하여 만금쥐고 귀`향하세

  1. 자염마당 소금을 만드는 전 과정을 종합적으로 묘사한다. 물푸기와 염밭 손질, 그리고 염정[鹽井]에 간기벤 흙과 바닷물을 운반 및 투입한다. 웅덩이에 염도가 높아진 바닷물을 퍼다가 솥에 붓고 불을 때서 소금을 조려 만드는 과정을 연출한다. 소금장수들이 소금나기를 기다리는 동안 투전놀이를 한다. 소리꾼은 염정에 염꽃을 나를 때 열두 달 상사거리를 부른다. 후창은 없다.

  2. 소금내기마당 드디어 소금이 완성될 환희의 순간이다. “소금 낫다”라는 소리에 투전을 멈추고 소금장수들이 몰려든다. 염부들의 수불림 소리에 맞춰 소금이 팔리고, 소금 장수가 부르는 애환이 서린 소금장수의 노래가 흥미로움의 절정에 이른다. 소금을 다 팔면 모두 모여 춤을 추면서 마무리한다.

<소금장수의 노래> 어제장에 천량이요 오늘장에두 천량이요 한달육장 매장해두 수천량씩 재수있소 소금장사 소금장사 간곳마다 짭짤하네 싸게파는 소금이요 인심좋은 소금이요 상감님에 숙수나인 소금없인 다틀리구 사대부집 산해진미 소금없인 속절없소 일년양식 저갈에두 소금없인 다틀려요 오사리육젓 추젓 동백젓, 이름많은 새우젓에 조개젓이며, 어리굴젓 증아젓에 곤쟁이젓 홍합젓이며 꼴두기젓에 황새기젓 밴댕이젓네 창난젓 명란젓이며 소라젓에 갈치젓이 이소금이 없다보면 이세상에 생겼을까 반년봉사 평생양식 건건치는 어떠한가 배추김치 나박지에 석박지며 깍두기요 외소박이 꼬틀배기 채김치에 것절이며 동치미는 어떠한가 소금없이 된다든다 장모시겐들 소금없이 집안가풍 이을손가 막된장에 간장이요 고추장에 청국장이요

  1. 뒤풀이 오랜 공정 끈에 소금을 생산한 기쁨의 한마당을 펼치며, 화합의 장으로 막을 내린다.

    소금 채취 방법을 그대로 재현한 염전밭가는소리는 그 자체로 매우 긴요한 의의를 지닌다. 염전밭가는소리는 소금 생산 방식이 획일화된 공법인 천일 염법에서는 발견되지 않고 예전의 자염법 성립 과정에서 형성되는 소리라는 점에서 전통 있는 염전 노동요라고 할 수 있다.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동영상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