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강술래(2013청소년,전라남도)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54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20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참여지역 전라남도
분야 민속놀이
참여단체 진도실업고등학교
수상(단체상) 대상 (대통령상)
수상(개인상) 지도상 (박병익, 문화체육관광주장관)

종목소개

‘강강술래’는 주로 전라남도 진도와 해남 지역에서 원시종합예술로 전승하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여성 군무며, 국가무형문화재 제8호로 지정되었다.

선창자의 소리에 따라 연희를 하는 모든 사람이 후창을 하며, 손에 손을 잡고 둥근 원을 만들며 놀이와 함께 춤을 추는 원무로, 소리장단, 놀이, 춤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소리장단에는 긴강강술래, 중강강술래, 자즌강강술래가 있으며, 놀이로는 남생이놀이, 고사리꺾기, 청어엮기, 기와밟기, 꼬리따기, 덕석말이, 문지기놀이, 수건찾기, 봉사놀이 등 다양한 형태가 전승되고 있다. 또한 놀이마다 독특한 몸짓과 손짓으로 흥겨움을 표현한다. 그 순서와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입장 명기를 앞세운 연희자들이 소리꾼의 장단에 맞춰 움직이면서 원을 만들고, 명기는 네 모통이에 선다. 연희자들은 긴강강술래 장단으로 시작 인사를 하고, 이어 긴강강술래와 중강강술래, 자즌강강술래의 장단에 맞춰 둥근 원을 그리며 원무를 한다.

  2. 남생이놀이 남생이놀이는 원무와 원무 사이에 있는 소리꾼의 자진머리 장단에 맞춰, 선두를 기준으로 홀수는 바깥쪽에서, 짝수는 안쪽에서 서로 마주 보며 춤을 춘다.

  3. 어엉타령 어엉타령 장단에 맞춰 한 원을 만들어 춤추던 연희자 중에서 무희 6명이 원 안으로 들어와 춤을 추다가 제 위치에 선다.

  4. 청어엮기, 고사리꺾기 연희자들은 자즌 강강술래의 장단에 맞춰 한 원에서 두 개의 원으로 나누고, 다시 4개의 원을 만든다. 그리고 청어엮기와 청어풀기를 한 다음, 다시 두 개의 원을 만들어 고사리꺾기를 한다.

  5. 밭갈이, 덕석펴기 연희자들은 덕석몰기라는 소리장단에 한 원으로 만들고, 각각 선두는 빠르게 나선형의 원을 만들다가, 덕석풀기라는 소리장단에 다시 반대 방향으로 풀고, 정방향의 한 원을 만든다.

  6. 덕석몰기, 덕석풀기 연희자들은 덕석몰기라는 소리장단에 한 원으로 만들고, 선두는 빠르게 나선형의 원을 만들다가, 덕석풀기라는 소리장단에 다시 반대 방향으로 풀고, 정방향의 한 원을 만든다.

  7. 자즌 강강술래 연희자들은 자즌 강강술래의 장단에 두 개의 겹원을 만들고, 밖의 원은 안 원과 반대 방향으로 뛴다. 그러다가 중간에 소리장단에 의해 각각의 원무는 반대 방향으로 뛰다가 한 원을 만든다.

  8. 바늘귀 꿰기 한 원으로 뛰던 연희자들은 ‘바늘귀 꿰기’라는 소리장단에 맞춰 한가운데를 중심으로 서로 방향을 달리해 두 줄을 만들었다가, 각각의 선두가 소리 장단에 맞춰 연희자들의 사이를 바느질하는 것처럼 뛰어 한 원을 만든다.

  9. 손발치기 연희자들은 “손발치기하세”라는 소리꾼의 선창에 모두 밖으로 향해 섰다가, 소리장단에 맞춰 처음에는 선두를 기준으로 홀수가 앞으로 2보 나오면서 춤추다 제자리로 들어가고, 두 번째는 짝수가 나와서 춤추다 제자리로 들어간다.

  10. 수건돌리기 연희자들은 소리꾼의 “수건돌리기하세”라는 선창에 원무하던 자리에 앉아 장단에 맞춰 춤추고, 술래는 수건놓기를 한다. 술래에게 붙잡힌 사람이 원 안으로 들어와 진도아리랑을 가창하면, 무희 6명이 나와 춤을 추고, 나머지 연희자들은 <진도아리랑>의 후렴을 함께 부른다.

  11. 자즌 강강술래 연희자들은 자즌 강강술래 장단에 한 원을 만들어 정방향으로 뛰다가, 선두를 따라 밖으로 뛰기를 한다.

  12. 기와밟기 연희자들은 밖으로 뛰기를 하다가, 소리꾼이 “어딧골 지완가”라는 소리장단을 하면, 선두가 본부석을 향해 한 줄로 늘어선다. 그러다 “지와 밟세”라는 구호에 놋다리를 만들고, 무동은 연희자들이 만든 놋다리에 올라서서 장단에 맞춰 춤을 추며 걷는다.

  13. 문지기놀이 기와밟기가 끝난 연희자 중에서 무동을 도왔던 두 명이 문을 만든다. 이때 연희자들은 놋다리 상태로 선두가 안내하는 방향으로 이끌리며, 선두는 “열쇠 없어 못 열겠네”라는 소리꾼의 소리에 문으로 들어가지 못하고 반대 방향으로 갔다가, 다시 반대 방향으로 와서 “열렸다”라는 소리에 문으로 들어갔다가 나오는 ‘∝’형으로 움직인다.

  14. 문쥐새끼, 꼬리따기 연희자들은 놋다리 형태를 유지하며 선두의 유도에 따라 움직이다가, “꼬리따세”라는 선창에 선두는 다시 후미를 잡으러 이리저리 돈다. “잡았네”라는 소리꾼의 소리장단에 선두는 무동을 목마 태우고 원을 만들며 돈다.

  15. 퇴장 연희자들은 중강강술래 장단에 맞춰 놋다리 상태를 풀고, 입장하면서 만들었던 원을 만들다가 긴강강술래의 소리장단에 퇴장인사를 한다.

  16. 어울놀이 연희자들은 “술래”라는 소리장단에 한가운데 작은 원을 만들고, 나머지는 선두가 유도하는 대로 따라간다. 이때 명기는 작은 원 안으로 들어와 춤을 추고, 연희자들 안에 있던 몇몇 무희들은 관객을 모셔 함께 강강술래에 참여해 춤을 출 수 있도록 한다. 그러다가 소리꾼의 장단에 선두는 한 줄로 늘어서서 출구를 향해 나간다.

    진도실업고등학교가 재현한 강강술래는 진도 청소년들만의 몸에 밴 전통적 완급의 율동미와 협동하는 모습을 중심으로 다양한 소리와 놀이와 춤으로 흥겨움을 표현했다. 또한 소리꾼들이 가창하는 소리가락은 진도의 토속적인 민요 가락이 가진 흥겨움과 애절함을 느낄 수 있었다. 뒤풀이 순서인 어울마당을 통해 관객과 함께 어울려, 우리 선조들의 낙천적이며 대동하는 모습을 엿볼 수 있었다.

문화재 지정 현황

-국가무형문화재 강강술래 (1966.02지정)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강강술래 (2009.09등재)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동영상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