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웃다리충청풍장(2013청소년,충청남도)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54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20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참여지역 충청남도
분야 농악
참여단체 공주생명과학고등학교
수상(단체상) 금상 (교육부장관상)
수상(개인상) 연기상 (심현정, 문화체육관광주장관)

종목소개

웃다리농악은 우리나라 중부에 해당하는 충청도, 경기도, 강원도 일부 지역에 전승되는 농악을 일컫는 용어다. 대전·공주 지역의 웃다리농악은 충청·경기 지역의 농악 가운데 지금도 연희되고 있는 대표적인 농악이라 할 수 있다. 이 웃다리농악은 한때 전승이 끊어질 위기에 처해있었으나, 중앙농악회에서 운영한 ‘대전웃다리농악대’를 통해 연행된 농악이 송순갑 어른에 의해 정리되면서 현재에 이르고 있다.

‘공주웃다리충정풍장’은 걸립농악으로, 남사당패의 영향을 받아 화려한 가락을 구사하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36박 칠채가락’을 으뜸으로 삼는데, 경쾌하고 다양한 겹가락을 고르게 써서 화려하면서도 강한 맛을 자아낸다. 쇠가락의 가림새가 분명하며, 암쇠와 수쇠의 다채로운 가락과 함께 장구의 간결하면서도 흥겨운 홑장단을 가미해 신명 나는 분위기를 만들어 낸다.

이렇게 다양한 형식으로 펼쳐지는 공주웃다리충청풍장의 판재는 새미와 벅구의 개인 기량이 우수해, 보는 이들에게 가슴 좋은 감동을 선사한다. 또한 벅구놀이와 개인놀이는 다른 지역에선 볼 수 없는 것들로, 풍물놀이의 꽃이라 할 수 있는 무동과 열두발이 등장한다. 나비꽃놀음 등 변화무쌍하면서 신명 났던 판을 마무리 짓고, 행진가락을 치며 큰 원을 풀어 나오면서 퇴장한다.

공주웃다리충청풍장의 연행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인사굿 상쇠의 삼채가락에 맞춰 원형을 만들고 인사한다.

  2. 외돌림벅구 상쇠는 된삼채가락을, 잽이들은 휘모리를 치는 동안, 벅구는 자반뒤집기를 한다.

  3. 당산벌림 삼채가락을 치며 원을 풀어 당산벌림 대형을 갖춘다. 상쇠가 중앙에서 놀다가 벅구 앞으로 이동해서 휘모리로 양상을 돌린다. 벅구가 Z자 방향으로 이동, 잽이와 마주 보며 번개상으로 맺는다.

  4. 칠채 오방진 상쇠의 칠채 머리가락에 따라 전 대원이 칠채를 치며, 남북 중앙진을 만든다.

  5. 새미놀이 상쇠의 삼채에 맞춰 새미들이 땅짚기춤을 춘다.

  6. 절굿대놀이 당산벌림 대형에서 상쇠의 가락에 맞춰서 전진하고 제자리에서 놀이삼채가락에 맞춰 앉고 서기를 2회 반복한다. 삼채가락으로 외줄백이 대형을 만들어서 앉고 서기를 2회 반복하고, 쌍줄로 만들어서 앉고 서기 2회 반복, 쌍줄백이 원형으로 다시 돌아나간 다음 외줄로 나간다.

  7. 십자걸이 삼채가락으로 당산대형을 풀어 반원을 그리며, 일렬로 대형을 정리한 후 벅구와 잽이가 십자대형을 만든 다음, 제자리에서 휘모리가락으로 맺는다.

  8. 사통백이 십자대형에서 동·서·남·북 4개의 원을 만들고 반시계방향으로 돌며 태극선을 따라 원을 만든다.

  9. 좌우치기 원을 만든 다음 상쇠의 신호로 좌우치기(우삼보-좌삼보-앞삼보-뒤삼보)를 한다.

  10. 쩍쩍이 삼채가락을 치면서 반시계방향으로 돌다가 삼채를 맺고 쩍쩍이 가락을 친다.

  11. 풍년굿 굿거리 가락에 맞춰 춤을 추다가 굿거리를 맺고, 상쇠의 신호로 한가운데를 보며 앉는다.

  12. 고사리꺾기 시계방향으로 놀이 삼채를 치면서 잽이를 태극선 형식으로 따고 나오다가 수벅구부터 삼채가락으로 바꾸고 일렬종대형을 만든다.

  13. 도둑잽이굿 일렬종대형에서 삼채가락-휘모리가락으로 맺어서, 벅구와 무동이 우측으로 일보 나오기를 반복하고, 다시 삼채가락으로 벅구와 잽이가 두 줄을 만들어서 돌아 나온다. 상쇠의 신호가락으로 전체가 사방으로 흩어지고 개인놀음이 이어진다.

  14. 벅구판굿놀이 원을 만들어서 된삼채가락에 벅구가 잽이 안쪽에서 작은 원을 만들고 상쇠는 휘모리가락에서 짝쇠가락으로 넘긴다. 이때 벅구가 옆어배기, 제자리 연풍대, 양상, 솟음벅구 엎장치기를 한다.

  15. 멍석말이 상쇠가 삼채가락에 이어 된삼채가락을 치면서, 겹원을 만든다.

  16. 인사굿 삼채가락으로 큰 원을 만들어지면 휘모리로 맺어서, 절가락으로 마무리한다.

    공주생명과학고등학교(전 공주농고)는 1970년대 후반부터 충청도 웃다리농악을 집중적으로 전승하기 시작해 오늘날까지 40년 가까이 명맥을 이어오고 있는 대표적인 전수학교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많은 지역에서 1970년대 후반부터 농업고등학교 등의 학생들에게 농악을 전수해 민속의 뿌리를 이어가는 움직임이 있었는데, 공주농고 역시 이러한 사례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이처럼 청소년들을 통해 지역 농악 전승의 길을 꾸준히 모색하는 것은 매우 뜻깊은 노력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노력으로 공주생명과학고등학교는 주요 대회에서 여러 차례 수상하며 노력의 결실을 이어가고 있다.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동영상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