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와야골거북놀이(2014,경기도)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55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21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참여지역 경기도
분야 민속놀이
참여단체 평택거북놀이보존회
수상(단체상) 은상 (강원도지사상)

종목소개

‘평택와야골거북놀이’는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노와리의 옛 지명인 ‘와야골’에서 전승되던 거북놀이를 중심으로 구성된 경연작이다. 거북놀이는 경기도와 충청도에서 추석에 행해진 놀이인데 대개 내륙에서 행해졌는데, 평택만은 해안지역이라는 특징이 있다. 거북놀이는 마을 청소년들이 추석에 성묘를 다녀온 후 수수대로 거북이를 만들어 마을을 돌아다니면서 하던 놀이로, 동네의 잡귀를 쫓고 마을의 무병장수와 풍년을 기원했다고 한다. 거북놀이는 경기도와 충청도 등 주로 내륙에서 추석에 행했는데, 평택은 해안지역이라 주목할 만하다. 평택와야골거북놀이는 큰 거북이 형상으로 대장거북을 만들고, 참가자가 새끼거북이가 되어 함께 놀이를 진행한다는 특징이 있다. 수숫잎을 따서 5각형의 형태로 거북 등을 꾸미고, 거북잽이 네 명이 이를 들고 돌아다닌다. 새끼거북은 수숫잎을 엮어 모자, 상의, 하의를 각각 만든다. 이를 양 어깨에 두르는데, 치마 형태로 허리에 두르고, 고깔 형태로 엮어 머리에 쓴다. 수수옷을 엮을 때 소리꾼은 엮는 소리를 한다.

평택와야골거북놀이는 장승굿, 문굿, 대청굿 ,터주굿, 우물굿, 조왕굿, 마당굿, 마을판굿 순서로 진행한다. 경연에서는 길놀이, 문 들어가기, 우물돌기, 터주빌기, 정지고사, 마당놀이, 거북뒷놀이, 마당뒷놀이 순으로 진행했다. 길놀이는 농기, 영기, 용기가 앞서고 그 뒤를 대장거북, 새끼거북, 농악대, 동네 주민이 따라가는 형식으로, 농악대가 덩덕궁이 가락을 치면서 이동한다. 방문할 집에 당도하면 대문 앞에서 소리를 한다. 이 소리에 집주인이 나와 절을 하는 등 거북을 정중하게 맞이한다. 이후 농악을 치면서 대문을 지나 마당에 들어간다. 마당에 들어서면 먼저 우물을 향한다. 마당을 한 바퀴 돌고 거북이와 농악대는 우물을 향해 선다. 우물에서 용왕에게 물의 풍요를 기원하는 사설을 왼다. 장독대 앞으로 이동한 후, 새끼거북들은 대장거북을 중심으로 춤을 추며 돌고, 수장거북은 떡메를 치는 시늉을 하며 비손을 한다. 일부는 두레박을 떠서 물로 목을 축이면서 놀이를 계속한다. 장독 터주가리 주위에서 터주신에게 기원을 하고, 여자 집주인은 장독 위에 정화수를 놓고 비손을 한다. 정지(부엌)으로 이동 후에는 조왕굿을 하는데, 평택와야골거북놀이에서는 이를 ‘조왕고사’ 또는 ‘정지고사’로 부르며, 비나리를 하는 특징이 있다. 고사가 끝난 후에는 연극적인 행위가 이어진다. 거북들이 동네 주민들이 함께 어울려 춤을 추며 놀다가 갑자기 배고픔을 호소하며 쓰러지는데, 이때 집주인은 술과 음식을 가지고 나와야만 한다. 주인집이 마련해준 술과 음식을 대접받은 거북들은 다시 일어나 집안과 마을에 무병장수와 풍년을 빌어주며, 음식을 먹고 기운을 차린 후 농악 가락에 맞춰 다시 춤을 추며 신명을 풀어낸다. 한바탕 놀이가 끝나면 집주인에게 감사 인사를 한 후 다시 놀이기, 대장거북, 새끼거북이, 농악대, 마을 주민 순으로 대문을 나온다. 이때 농악대는 돌림법고 가락을 치며 흥겹게 이동을 한다.

평택와야골거북놀이는 세시 절기에 맞춰 진행했던 놀이를 재현했다. 수숫옷을 만드는 과정부터 거북놀이의 전체 절차가 선명하게 드러났으며, 대장거북과 새끼거북을 포함한 구성원의 이동은 물론, 집안에서 이뤄진 행위가 순차적으로 잘 나타났다. 이 과정에서 조왕굿을 통해 비나리를 하는 지역과는 다른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고사소리에 산세풀이, 액살풀이, 삼재살풀이, 호구역살풀이, 장사풀이, 농사풀이, 성주풀이, 달거리 액막이 타령, 뒷명불 등과 같이 다양한 소리가 있음을 확인했다. 경연 특성상 시간 제약으로 이를 다 구연하지는 못했지만, 그 실체는 나타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거북들이 배고파 쓰러지고, 집주인이 배고픔을 달래주는 희극적인 장면을 재현했으므로, 수준 높은 공연이었다고 할 수 있다.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동영상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