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계동 상여소리(2014,광주시)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55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21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참여지역 광주시
분야 민요
참여단체 굿마당남도문화연구회
수상(단체상) 동상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이사장상)

종목소개

월계동 상여소리는 광주광역시 월계동에 전승하는 장례의식요다. 육지 상여소리의 전형으로, 출상 전날 밤 빈 상여를 놀리면서 부르는 삼경소리, 출상일 상여가 나가기 직전 고인의 명복을 빌며 부르는 발인 축원소리, 상여 머리를 마을로 향하고 부르는 하직소리, 상두꾼이 상여를 장지까지 메고 운반하면서 부르는 출상소리, 다리를 건너면서 하는 소리, 산에 오르면서 하는 소리 등으로 구성된다. 느린 가락, 중모리, 중중모리 등 다양한 장단으로 구성된다. 가사 내용은 유․불․도가 습합된 축원이 주를 이루며, 운상 과정에 따른 지시, 망인의 생애와 당부, 그리고 유족과 주민들의 송별 내용 등이 남도 사투리와 함께 즉흥으로 불린다. 요즘은 장례를 치를 때 상여를 이용하는 경우가 드물고, 대부분 영구차로 운상하며, 묘를 쓸 때도 불도저를 동원하므로 전통적인 장례 모습과 상여소리를 접하는 것은 어렵다. 제55회 한국민속예술축제에 새롭게 발굴·재현한 월계동 상여소리는 남도의 일생의례와 예술 전통 내력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남다른 의미가 있다.

월계 상여소리는 발인축 읽는 소리, 발인소(느린관암보살소리), 운상소리(너화넘소리), 외나무 다리를 건너는 소리(자진어널소리), 산에 오르면서 하는 소리(어이가리소리)로 구성된다.

  1. 발인축 읽는 소리 발인제를 지내면서 축을 읽는 소리다. 박자 없이 음영한다. 영이기가 왕즉유택 제진견례 열결종천

  2. 발인소리 - 느린관암보살소리 상여를 멘 채 3회 반복하고 일어나면서 하는 소리다. 메기는소리는 읽어나가듯이 읊고, 받는소리는 길게 늘여 빼서 부른다. 메기는소리는 박자가 불규칙하지만, 받는소리는 많은 사람이 함께 부르기 때문에 느린 3소박 4박자에 맞다. (받는소리) 관아~아~아 보오~허~보살 (메기는소리) 북망산천이 멀다더니 동네앞산이 북망산천. 이제가면 언제오실까 오시는 날이나 일러를 주시소. 사람이 살며는 몇 백 년이나 사드냔 말이냐. 죽음에 이르러 남녀노소가 없구나. 서른 두 명 유대꾼은 운상을 하여 보세.

  3. 운상소리 - 너화넘소리 상두꾼이 상여를 장지까지 메고 운반하며 하는 소리다. 중모리장단에 맞으며, 1장단을 메기고 1장단을 받는다. ‘미솔라도레’의 메나리토리를 사용해 거뜬거뜬한 느낌을 준다. (받는소리) 어~허~ 어허허 에헤야 어허허 너엄 차 어~ 화 넘 (메기는소리) 인제 가시면 언제나 오실라요 오마는 날이나 일러주오 동방 화개 춘풍시에 꽃이 피거든 오실라요 비류직하 삼천척허니 의시 은하 낙구천 일세 만산 호랑이 술주정 허고 물가 가재는 사두걸음 치네 말은 가자고 네 굽을 치는 데 임은 붙들고 아니 놓네 부귀영화 받던 복락 오늘 날로 가이 없네 천당인가 극락인가 열산 고해 기중이라 인간 칠십 고래 희라 고인이 먼저 일렀어라 잘 있거라 잘 있거라 고향 산천아 잘 있거라 북망산천이 머~다더니 앞 산이 북망 일세 무심 허네 무심 허네 저승사자님도 무심 허네 황천에 무일~점 허니 오늘 밤은 어디서 날까 차문 주점이 하처 재요 목동이 요지 행화촌이라 오동잎 너울거리는 밝은 달밤에 화답가를 하려는가

  4. 외나무 다리를 건너는 소리 - 자진어널소리 상두꾼들이 상여를 메고 외나무 다리를 건너면서 부르는 소리다. 중중모리장단에 맞으며, 긴박하고 위급한 상황에 잘 어울린다. 박자가 빠른 것은 발을 옮기는 호흡이 맞아야 하기 때문이다. (받는소리) 어~너얼 어하~ 널 (메기는소리) 올라간다 올라간다 준령태산을 올라간다 무정세월 여류하야 인생 일장춘몽이라 황천길이 멀다 더니 건너 앞산이 황천이네 애들 쓰네 애들 쓰네 유대군들 애들 쓰네 오늘 날은 여기서 놀고 내일 날은 어디서 놀까 옷고름 끝에는 옥단초요 댕기 끝에는 백단초라 천정 세월은 인정수요 춘만 건곤은 복만가라 잠든 나를 깨우지 말고 가시는 임을 붙잡아 주게 내년 욧때 춘삼월에 꽃피고 잎 피면 다시 옴세 못 가겠네 못 가겠네 노수가 없어서 못 가겠네 이산 저산 고사리 꺾어 선영 공대 하여 보세 너도 죽어 이길 이요 나도 죽어 이길 이다 밤은 적적 삼경인디 어느 친구 날 찾는가? 차문 주점 하처재요 목동이 요지 행화촌이라

  5. 산에 오르면서 하는 소리 - 어이가리소리 산에 오르는 마지막 노래로, 애조를 섞어 부르는 소리다. 너화넘소리와 같은 중모리장단이지만, ‘미라시도’의 육자배기토리를 사용해 슬프고 애절한 느낌이 강하다. (받는소리) 어~허 허~어 허~너허 어이가리 너엄 너화너 (메기는소리) 울지마라 울지마라 느그 울면 나 못간다 저승길이 멀다더니 죽고 나니 저승이로구나 연화대교 가십시다 신선대로 가십시다 영이기가 하였으니 가실 곳은 유택이요 칠산 바다에 어선이 뜨고 월출산봉에 달이 솟네 갈 때 보고 올 때 보고 두 번 보면 정 붙는다 야월 공산 깊은 밤에 저 두견새 울음 운다 바람아 퉁탱 부지 마라 추풍낙엽이 다 떨어진다 새벽 서리 찬바람에 울고 가는 저 기러기야

광주광역시는 급격한 도시화로 인해 민속문화의 전승이 어려워진 곳이다. 때문에 근래에는 주로 농악 분광주광역시는 급격한 도시화로 민속문화 전승이 어려워진 곳이다. 그 때문에 근래에는 주로 농악 분야에서 출전하는 경우가 많았고, 민요에서 간혹 농요가 나온 바도 있다. 그런 상황에서 제55회 한국민속예술축제에 상여소리로 출전한 것은 매우 반가운 일이다. 이제는 보기 어려워진 상여소리 일습을 모두 찾아내 구성한 점도 높이 살 만하다. 월계동 상여소리는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이사장상인 동상을 수상했다.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동영상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