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뫼북춤(2014청소년,대구시)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55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21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참여지역 대구시
분야 무용
참여단체 대구서부중학교
수상(단체상) 동상 (국립민속박물관장상)

종목소개

‘날뫼’는 비산[飛山]의 지명으로, ‘산이 날아간다는 의미를 지닌다. 날뫼라는 지명에는 다음과 같은 전설이 전한다. 옛날 금호강[琴湖江] 냇가에서 빨래를 하던 한 여인이 서쪽 하늘에서 요란한 풍악 소리가 나면서 산 모양의 구름이 날아오는 것을 보고, “동산이 떠 온다”라고 비명을 지르자, 날아오던 구름 산이 땅에 떨어져 동산이 되었다고 한다. 그 후 사람들은 이를 ‘날아온 산’이라 하여 ‘날뫼’라 부르게 되었다고 전한다.

날뫼북춤은 이 지역의 날뫼농악에서 비롯되었는데, 지역 백성의 신임을 얻었던 원님이 정사를 돌보다가 순직하자, 백성들이 원님의 혼령을 달래기 위해 제향 때마다 북을 울리면서 춤을 추었던 것에서 유래한 것이다.

날뫼북춤은 경상도 특유의 덧배기가락에 의한 춤사위와 남성적 기개가 넘치는 군무며, 매우 다양한 판들을 펼치는 데 그 내용과 과정이 비산농악과 흡사하다. 전체 12마당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과장 구성은 다음과 같다.

질굿 ‘길군악’ 질굿은 길굿으로, 풍물잡이들이 당산제나 가옥의 지신밝기를 하기 위해 행선지까지 가는 동안의 행군악을 말한다. 열림굿, 질굿, 길군악으로 구분한다.

첫째마당 ‘정적궁이’ 원진 대형으로 만들고 상쇠의 마무리 신호에 따라 원진 바깥쪽을 바라보며 관객들에게 인사한다.

둘째마당 ‘반짓굿’ 몸짓이나 행동 따위를 반으로 줄여서 한다는 ‘반[半]짓’에서 비롯된 말로, 달리 ‘마당굿 ’또는 '자반득이’라 부르기도 한다. 후반부에 연풍대, 앉을상, 북넘기 등 고난도의 북묘기를 연속으로 펼친다.

셋째마당 ‘엎어빼기’ 북넘기의 춤사위에서 비롯된 말로, ‘엎는 것’과 ‘빼는 것’을 합성한 말이다. 북넘기와 앉을상이 여러 번 반복되기 때문에 엎어빼기라고 한다. 북넘기와 앉을상을 연속으로 실시해 활달하고 현란한 춤사위를 선보인다.

넷째마당 ‘다드래기’ 이 마당은 일명 ‘버꾸놀음’이라고도 하며, 전체적으로 매우 빠르고 씩씩한 느낌을 준다. 강렬하고 웅장한 북소리와 함께 회오리바람처럼 빠르게 돌아가는 연풍대가 펼쳐진다.

다섯째마당 ‘물레돌기’ 북재비들이 원진의 바깥을 향해 옆으로 껑충껑충 뛰는 모습이 마치 물레가 도는 것처럼 보인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여섯째마당 ‘허허굿’ “허허” 라는 웃음소리에는 잡귀를 몰아냈으므로, 기분이 아주 좋다는 뜻이 담겨 있다. 양발을 번갈아 솟구쳐 뛰며 남성적인 씩씩한 기상을 뽐낸다.

일곱째마당 ‘오방진’ 동·서·남·북·중앙 다섯 방위에 화평과 강녕을 비는 춤판으로, 빠른 자진모리장단을 치며, 다섯 개의 원진을 만든 다음 다시 원진 대형으로 돌아간다.

여덟째마당 ‘모듬굿’ 서로 다른 장단을 모아 교차시켜 놓은 마당이다. 상쇠는 주로 자진모리장단과 사사구 장단을 서로 대비시켜 장단의 변화를 유도하며, 이 마당에는 다양한 장단과 춤사위가 들어 있다.

아홉째마당 ‘개인가락’ 다른 악기소리는 일절 내지 않고, 북소리만으로 진행한다. 왼발을 앞으로 낸 다음 허리를 약간 구부린 자세로 돌기도 하고, 북채를 360도 회전시키며 북테를 치는 등 매우 섬세하고 다양한 기법을 보여준다. 개인가락이 끝나면 모듬굿 일부를 재현한다.

열째마당 ‘살풀이굿, 굿거리’ 굿거리장단을 사용하며, 환희와 풍요를 상징하는 우렁찬 북소리와 함께 흥겨운 어깨춤을 추면서 여유로움과 중후한 멋을 표현한다.

열한째마당 ‘개인놀이’ 소수의 북재비들이 자신의 묘기를 펼쳐 보이는 마당이다. 살풀이굿의 마지막 부분에서 북재비들이 뒤로 물러난 후 기량이 뛰어난 3~4명 정도의 북재비가 가운데로 나와 각자 기량을 뽐낸다.

열두째마당 ‘덧배기굿’ 일명 ‘덧배기들놀이’라고도 한다. 북재비들은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장단에 맞춰 덩실덩실 어깨춤을 춘다. 어깨춤을 중심으로 한 이 순서에서 경상도의 멋이 가장 잘 드러난다고 할 수 있다.

인사굿 열두 마당이 모두 끝난 후 북재비들이 관객을 향해 마지막 인사를 한다.

날뫼북춤은 비산농악에 뿌리를 두고 있지만, 지역에서 신임을 얻었던 원님을 제사 지내는 유래도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경상도 지역 특유의 장단인 덧배기장단과 다드래기장단에 맞춰 독무와 군무가 다채롭게 펼쳐지는 것도 다른 지역의 북춤과의 차이라고 할 수 있다. 중학생들이 기능적으로 북춤을 익히는 것도 중요하지만, 북춤의 유래와 특징 등을 잘 익히는 것도 전승의 중요한 측면이다.

문화재 지정 현황

-대구광역시 무형문화재 날뫼북춤 (1984.07지정)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동영상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