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제농악과 도둑잽이굿(2014청소년,전라북도)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55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21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참여지역 전라북도
분야 농악
참여단체 김제시청소년농악단(덕암정보고등학교)
수상(단체상) 장려상 (정선군수)
수상(개인상) 연기상 (박도현,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종목소개

김제농악은 호남 지역에 전승되는 수많은 농악 중 하나다. 특히 김제의 평야 지대를 바탕으로 여러 마을에서 대동굿 형태로 전승되어온 농악이, 뛰어난 기량을 가진 명인들을 만나 예능적 면모를 갖춘 농악으로 발전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 김제농악은 우도농악으로서 가락이 풍성하고 판의 구성이 다양하며, 치배들과 잡색들이 한 데 어울려 흥을 돋우는 도둑잽이굿, 일광놀이 등 연희적인 요소를 갖추고 있다.

김제농악은 우도농악의 특징인 고깔을 쓰고 연희하므로 아랫놀음이 발달했다. 다른 지역에 비해서 쇠 놀이, 설장구 놀이가 두드러진 것을 특징으로 삼는다. 김제농악의 전통 형식은 당산제를 시작으로, 걸궁굿, 기맞이굿, 망월굿, 줄굿, 칠월칠석굿, 지심매기굿, 영풀베기, 주당매기, 무제굿, 노적굿, 기싸움, 술매기굿, 배굿, 보매기굿, 기타굿, 판굿으로 구성된다.

김제농악 판굿의 주된 가락은 풍류굿, 덩덕궁이, 오채질굿, 호호굿 등이 있으며, 여기에 도둑잽이굿을 더해 연행의 재미를 돋우고 있다.

김제농악의 진행 절차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내드림굿 판굿을 연희하는 장소에 들어가기 전에 모여서 내드림굿을 친다.

입장 입장굿을 치면서 원형을 만들어 판굿을 시작한다.

첫째마당 오채질굿을 시작으로 다양한 김제농악 가락을 치면서 첫째마당을 연희한다.

둘째마당 오방진굿을 시작으로 진오방진굿을 치면서 여러 개의 작은 원형을 만들다 다시 큰 원으로 해서 마무리한다.

셋째마당 호호굿을 치면서 원형을 만든다.

도둑잽이굿 셋째마당 중간쯤에 도둑잽이굿을 통해 연극적인 요소를 가미해 흥을 돋운다. 도둑잽이굿이 끝나면 다시 원형을 만들어 마무리한다.

개인놀이 쇠놀이, 설장구놀이, 고깔소고놀이, 열두발상모놀이등 개인놀이를 연희한다. 놀이를 끝내고 다시 원형을 만들어 전체 판굿을 마무리한다.

김제농악은 우도농악의 전형을 따르고 있다. 판굿의 다양한 진풀이와 함께 뒷굿에 해당하는 도둑잽이를 전승하고 있어서 민속예술적 가치가 매우 높다. 특히 호남의 지역성을 잘 간직하면서 과거에 명성이 높았던 여러 치배가 존재해 예술적인 기량을 높였던 김제농악이 현재 덕암정보고등학교 학생들로 구성된 김제시청소년농악단을 통해 전통적인 면모를 유지하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지속적인 농악 학습을 통해 김제농악의 전통적인 맥을 이어갈 수 있는 중요한 연결고리로서 김제시청소년농악단의 역할이 매우 크다고 하겠다.

문화재 지정 현황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김제농악 (1996.03지정)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농악 (2014.11등재)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동영상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