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안도다리굿(2015,평안북도)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56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22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참여지역 평안북도
분야 의례
참여단체 평안도다리굿보존회
수상(단체상) 금상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

종목소개

평안도다리굿은 오래전부터 평안도 지방에서 전승되는 사령[死靈]굿으로, 망자[亡者]의 한을 강신무[降神巫]를 통해 풀고, 이승의 미련을 떨친 채 저승에 편히 안주하기를 비는 굿이다. 다리굿은 살아 있을 때 하면 장수할 뿐만 아니라, 죽은 후에도 좋은 곳으로 갈 수 있다고 해 부유한 집안에서는 나이든 노인을 위해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산다리굿’이라 칭한다. 다리굿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것은 조상다리, 사자다리, 망자다리, 수왕다리 등으로 불리는 ‘다릿발’이다. 일곱 자, 일곱 치 길이의 삼베와 무명천(근래에는 소창을 사용함)을 준비해 놓고 대무당이 굿소리를 하면서 다릿발을 오가며 망자가 좋은 곳으로 가도록 인도한다. 다리굿에서 부르는 무가는 ‘산염불’, ‘비나수’, ‘푸념’ 등을 사용한다.

평안도다리굿으로 실현한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입장 무녀와 그 일행이 입장해서 굿을 할 준비를 한다. 상주가 제를 올리는 등의 절차를 진행하면 무녀가 굿을 시작한다.

  2. 사방문 열기 무녀가 넋상 앞으로 이동해 긴염불과 잦은염불로 청배한 후 법구춤을 춘다.

  3. 배따라기 무녀 중 한 사람이 다리(베)를 가르고 넋두리를 한 후, 다른 무녀들이 등장해서 각각 다리를 돌며 법구춤을 춘다. 이때 사자가 뒤에서 왔다 갔다 하며 진행을 방해하는 움직임을 취한다.

  4. 마무리 굿이 끝나면 마무리를 하고, ‘지장보살’을 염불하며 무녀를 따라 퇴장한다.

    평안도다리굿은 죽은 자의 넋을 달래고 천도하는 의례로서 종교적 성격이 있다. 북한 지역의 대표적인 민속문화로 일찍이 학문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은 종목이다. 전형적인 다리굿의 면모를 잘 전승할 수 있도록 민속 전체에 대한 정리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는 보존회의 노력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문화재 지정 현황

-평안북도 무형문화재 평안도 다리굿 (2007.10지정)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동영상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