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천용천제(2015,전라남도)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56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22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참여지역 전라남도
분야 민속놀이
참여단체 향토민속문화보존회
수상(단체상) 장려상 (평택시장상)

종목소개

‘현천용천제’는 전라남도 여수시 소라면 현천마을에서 행하는 용천제를 재현한 경연작이다. 현천마을의 현천은 ‘물이 귀하다’란 의미로 붙여진 지명이다. 현천마을은 산에 둘러싸여 있는데, 그 가운데 가장 높은 산인 국사봉은 영험하기로 유명하다. 국사봉 천제단에는 고려 때부터 감무가 제를 올렸다고 한다. 이 산 중턱에는 가뭄이 와도 마르지 않는 용천이 있다. 매년 정월대보름이면 용천에서 풍년과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는 용천제를 지냈다고 한다. 용천제를 지낸 후에는 용천수를 큰 샘으로 끌어오는 의식을 행한다.

현천용천제는 솟대세우기, 용물 달아오기, 샘고사, 대보름줄다리기, 지신밟기 순으로 구성된다. 주민들이 모여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고, 마을의 액운을 막기 위해 솟대를 세운다. 솟대를 세워 액막이를 한 후에는 놀이판을 진행한다. 솟대를 세운 후에는 용천샘의 물을 달아오는 행위를 한다. 이때는 모의로 용물을 달아오는 행위를 하며, 용천 샘에서 물을 끌어오는 것을 허락받는다. 용천샘에서 달아온 물은 마을의 큰 샘으로 이어진다. 용천샘은 가뭄이 와도 마르지 않기 때문에 큰 샘도 마르지 않게 해달라고 고사를 지낸다. 이를 통해, 마을의 물이 마르지 않고 풍년이 되도록 기원한다. 샘고사가 끝나면 주민들은 편을 나눠 줄다리기를 한다. 줄다리기를 통해 마을의 화합을 다진다. 그리고 농악을 치면서 지신밟기를 하며, 마을의 번영과 어르신들의 무병장수를 빈다. 이렇게 마을 전체가 어우러져 신명을 푼다.

전라남도의 현천용천제는 지역 특수성에 기반해 창작한 작품이다. 현천마을 용천제에 대한 유래와 특징이 뚜렷해 이를 공연 형식으로 구성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전체적인 구성의 통일성에는 아쉬움이 있다. 정월대보름의 다른 풍습을 함께 구성해 전체적인 의미와 전통성을 흐리게 되었다. 마을의 용천제에 집중해 구성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동영상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