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오광대(2015청소년,경상남도)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56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22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참여지역 경상남도
분야 민속극
참여단체 칠성중학교
수상(단체상) 신명상 (축제추진위원장)

종목소개

‘고성오광대’는 경상남도 고성에 전승되는 가면극 고성오광대놀이를 기반으로 한 작품으로, 탈을 쓰고 태평소·북·장구·꽹과리·징 등의 음악 반주에 맞춰 춤을 추며 대사를 주고받는 연희[演戱]라고 할 수 있다. 고성오광대는 전체가 하나의 줄거리로 연결된 연희가 아니라, 주제가 다르고 오락성이 강한 몇 개의 과장이 결합된 형태를 보인다. 연행 순서는 다음과 같다.

제1과장 ‘문둥북춤’ 문등광대가 소고를 들고 굿거리장단에 맞춰 북춤을 춘다. 문동이의 복색은 헝겊을 짜깁기한 윗도리를 입고, 허리에 바가지와 신 한 짝을 메고, 다리에는 붉은 천을 매고, 버선에 짚신을 신고 있다. 북춤을 추고 난 뒤에는 덧배기장단에 맞춰 퇴장한다.

제2과장 ‘오광대’ 원양반, 청제양반, 적제양반, 백제양반, 흑제양반, 홍백양반, 종가도령, 말뚝이 등 총 8명의 광대가 등장해 춤을 준다. 덧배기장단에 양반이 춤을 추면, 말뚝이가 등장해 양반을 조롱한다. 도령은 제멋대로 돌아다니며 바보 행세를 한다.

제3과장 ‘비비’ 무엇이든 다 잡아먹는 비비가 등장한다. 비비는 몸은 사람이나 머리는 괴물의 형상을 하고 있다, 비비가 나타나면 양반들은 겁을 먹고 도망친다. 비비는 춤을 추며 등장해 양반을 닥치는 대로 잡아먹는다.

제4과장 ‘승무’ 중이 여성을 희롱하는 내용이 이어진다. 중이 제자각시(기생)를 유인하기 위해 춤을 추면서 접근하고, 제자각시도 요염한 춤을 추며 맞장구를 친다. 굿거리장단에 맞춰 중과 각시 두 명이 등장해서 한 데 모여 음란한 춤을 추고 퇴장한다.

제5과장 ‘저밀주(제밀주)’ 큰어미가 작은어미(첩)와 영감을 두고 싸우다 죽는 내용이다. 작은어미놀음이라고도 한다. 시골양반이 집을 나가 첩을 얻어 살면서 돌아오지 않자, 큰어미가 팔도강산을 헤매다 첩과 놀고 있는 영감을 만나게 된다. 이때 작은어미가 출산이 임박하자 황봉사가 경문을 읽어주고 아들을 순산한다. 그 아이를 큰어미가 품에 안자 작은어미가 말리면서 서로 다투게 된다. 아이를 두고 실랑이를 하다가 그만 아이가 땅에 떨어져 죽게 된다. 이에 분개한 작은어미가 큰어미를 때려 죽게 만든다.

고성오광대는 현재 정형화된 고성오광대놀이의 일부를 연행한 것으로, 각 과장을 압축적으로 보여줬다. 경연 특성상 시간 제약을 받게 되는데, 정해진 시간 안에 각 과장의 핵심이 잘 드러났는지는 의문이다. 완성도 높은 원작을 짧은 경연작으로 재현하는 것에 큰 어려움이 있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문화재 지정 현황

-국가무형문화재 고성오광대 (1964.12지정)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동영상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