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을농악(2016청소년,경상북도)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57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23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참여지역 경상북도
분야 농악
참여단체 오상고등학교
수상(단체상) 금상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

종목소개

구미 무을(선산)농악의 발원지는 구미의 북서쪽에 있는 수다사[水多寺]다. 지금으로부터 약 300여 년 전 수다사에 있던 스님 정재진(법명 미상)이 풍물가락을 만들어 인근 마을으로 전파했고, 후에 정재진의 쇠가락을 구미시 무을면 오가리에 사는 이군선이 집대성한 것이 지금까지 전승된 것이다.

무을농악은 진굿으로도 불리는데, 이는 전형적인 전투 농악으로, 북 가락이 웅장하고 장쾌하고, 소고놀음이 발달하며, 예술성이 뛰어나고, 힘차고 박진감이 넘치며, 다양한 진을 빠르게 구연하기 때문이다. ᄄᆞ라서 전투적인 동작들이 돋보이며, 북놀이와 소고놀이는 판굿의 백미다.

오상고등학교는 1997년 무을농악 전수학교 지정 이래 지속해서 무을농악을 전승하고 있으며, 경북 지역 고등농악의 강호팀 중 하나로 유명세를 타고 있다. 또한 지속적인 전수 활동으로 농악 전공을 진로로 선택하는 졸업생이 다수 있다.

구미농악단이 전승하고 있는 무을농악을 오상고등학교 학생들이 전승하면서 놀이를 구성해 제23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에 출전했다. 그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질굿(행진곡, 인사굿) 농악에서 행진할 때 쓰이는 가락으로, 길군악이라고 한다.

  2. 마당닦이 3분의 3박이며 경쾌하고 씩씩한 장단이다.

  3. 정적궁 상쇠와 종쇠가 원진을 그리며 이동해 빠른 장단으로 논다.

  4. 도드래기(엎어빼기, 덮어빼기) 도드래기는 별신굿을 할 때 집집이 지신밟기를 하며 치던 가락으로, 판안다드래기, 영산다드래기 등에도 쓰인다.

  5. 품앗이굿 전 인원이 원을 그리며 돌고, 한가운데에 상쇠와 종쇠가 서로 가락을 주고받는다.

  6. 영풍굿 품앗이가 끝나고 쇠의 가락이 바뀌면 연풍대를 하며, 소고는 가락에 따라 앉았다 일어서기를 반복하며 기세를 자랑한다. 가락에 맞춰 각자 옆으로 뛰면서 춤춘다.

  7. 허허굿 허허굿은 전투굿의 일종으로 자기 장비에 이상이 없음을 알리는 장단과 신호로 이어진다. 가락에 맞춰 “허허” 하는 구령을 하며 신호한다.

  8. 기러기굿(너랑나랑 둘이돌기) 기러기굿에서 악기잽이들이 양팔을 벌려 색띠를 쥐고 옆뛰기를 한다. 너랑나랑 둘이돌기 다음에 판굿으로 넘어가는데, 중간에 둘이돌기를 하면서 연결한다.

  9. 판굿(마당굿) 판굿은 마당굿이라고도 한다. 악기잽이마다 상쇠 지휘에 따라 각기 원진을 그리면서 오방진을 치고, 기량을 펼친다.

  10. 채굿(수박치기) 소고잽이들이 한가운데로 나와 춤을 추며 여러 가지 동작을 한다. 춤을 추다 제자리를 빙빙 돌기도 하며, 쪼그리고 앉아 땅바닥을 가볍게 치기도 한다.

  11. 진굿(진풀이) 군사굿 형태의 격렬한 진풀이가 특징인 놀이로, 마치 적을 포위하고 격전을 벌이는 모습과도 같아 역동적이고 신명이 난다. 정저굿 장단에서 시작해 똘똘말이로 감을 때 격렬한 장단을 친다. 끝날 무렵에는 상쇠의 술령수와 장의 신호에 따라 정저굿 가락을 치면서 푼다.

  12. 덧배기 격렬하게 몰아친 후 느리면서도 흥겨운 덧배기로 이어져 새로운 분위기로 몰아간다.

    오상고등학교에서 무을농악의 전통을 잇고 있는 것은 경상북도 지역문화에 대한 지속적 전승을 위해 매우 중요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무을농악은 지역적 특색이 분명하고 역사적 명분이 분명한 만큼, 오상고등학교 학생들이 그 특징을 제대로 전승해 보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다.

문화재 지정 현황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구미 무을농악 (2017.01지정)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농악 (2014.11등재)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동영상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