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구월일석 춘경걸궁(2016청소년,제주도)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57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23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참여지역 제주도
분야 민속놀이
참여단체 한림고등학교
수상(단체상) 은상 (전북도지사상)
수상(개인상) 연기상 (김지형,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

종목소개

‘메구월일석춘경걸궁’은 제주도 입춘굿의 거리굿과 탈굿놀이를 바탕으로 풍물패 공연과 민요가 어우러진 작품이다. 입춘굿을 춘경[春耕] 또는 입춘춘경[立春春耕]이라고도 하는데, 이 굿을 노는 것을 ‘춘경[春耕]친다’고 한다. 제주도 입춘굿은 모관황수, 정의황수, 대정황수라고 하는 무당을 대표하는 세 황수가 제주 목관아에 모여야 한다. 메구월일석춘경걸궁은 황수기를 들고 읍성 안을 도는 메구월일석 거리굿, 관덕정마당에서 펼치는 입춘탈굿놀이를 거쳐 풍농을 기원하는 것으로 마무리된다.

메구월일석춘경걸궁은 입장, 낭쉐ᄏᆞ사, 거리굿, 탈굿놀이, 파장굿, 퇴장 순으로 진행한다. 입장을 하면 도황수, 대정황수, 정의황수를 중심으로 걸궁패가 낭쉐[木牛] 앞에 서서 ‘낭쉐ᄏᆞ사’라는 제주도 목우제를 올린다. 낭쉐ᄏᆞ사가 끝나면 황수기를 선두로 해 제주읍성의 성문을 돌면서 거리굿을 펼친다. 각 성문에 도착하면 새해의 액을 내쫓는 ‘올래ᄏᆞ시’를 걸궁 형태로 진행한다. 거리굿이 진행되는 동안 횡수들은 주민들이 가져온 보리 이삭으로 점을 치는 ‘보리 고고리점’을 진행한다.

이어서 탈굿놀이를 진행한다. 호장들의 ‘밧갈이’, 농부의 ‘씨드림’, 사농바치와 새의 ‘방액놀이’, 몰사와 호장들의 ‘담배 참권청’을 노래와 재담을 엮어가며 진행한다. 탈굿놀이가 끝나면 황수, 걸궁패, 탈굿놀이패가 어우러져 판굿을 놀고 서우젯소리로 이어간다.

메구월일석춘경걸궁은 제주도 지역의 무속의례를 취합해 새롭게 꾸민 경연작이다. 무속의례를 전통으로 삼아 다양한 구성을 통해 공연 형태로 꾸린 점에서 상당한 가치가 있다. 그것에 풍물패와 민요가 어우러져 전체적으로 완성도 높은 무대 공연을 선보였다. 제주도의 여러 민속을 한 공연을 통해서 보여준 점에서 전체 구성이 뛰어나다고 할 수 있다.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동영상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