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안화천농악(2016청소년,경상남도)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57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23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참여지역 경상남도
분야 농악
참여단체 양덕중학교
수상(단체상) 장려상 (전주시장상)

종목소개

‘함안화천농악’은 경상남도 함안군 칠북면 화천마을에 전하는 마을 농악이다. 화천마을은 들에 능수양버들이 울창하게 늘어서 있어 ‘유정리’라고도 부른다. 함안화천농악은 지신밟기와 풍년굿에 중점을 두고 있으므로, 풍농, 안택 축원기원에서 그 유래를 찾을 수 있다. 농경 민족으로서 풍농을 하늘에 비는 것은 최상의 의식으로, 천신에게 바치는 가무가 밤낮을 가리지 않고 연일 이어졌다. 함안화천농악의 연희 시기는 정초, 5월 단오, 7월 백중, 9월 그믐날, 10월 초하루, 12월 보름날로, 마을 사람들이 정성을 들이고 당산나무 주위에서 농악을 연행했다. 지신밟기 메구를 칠 때는 흥이 많은 마을 장정 남녀들이 참여해 사대부, 팔대부, 포수 등으로 가장해 흥겨운 놀이판을 벌였다. 함안화천농악은 이렇게 세시풍속의 하나로 마을 사람들을 하나로 화합하는 중심체 역할을 했으며, 1945년 8·15 광복 후 농악단을 조직을 통해 현재까지 전승이 이어지고 있다.

함안화천농악은 기수, 치배, 잡색으로 구성되며, 치배는 악기에 따라 호적, 쇠, 징, 북, 장고, 소고, 법고로 구분된다. 잡색은 다양한 춤과 진법, 연기를 함께하며, 잽이와 구경꾼들을 연결해 굿판을 좀 더 풍요롭고 다채롭게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한다. 대포수, 양반, 중춤쟁이, 가장녀(각시), 하동, 농부춤쟁이, 양반, 중춤쟁이가 희극적 성격으로 등장한다. 기수는 영기, 용당기, 표지키, 농기로, 이들은 깃발을 든다.

양덕중학교 학생들이 실연한 함안화천농악의 구성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어부름굿 공연에 앞서 덧배기 장단, 영산 다드래기 장단을 치며 준비하는 과정이다.

  2. 길굿 영기, 용당기, 표지기, 농기를 앞세우고, 상쇠 이하 전 단원이 덧배기 장단에 맞춰 1열로 행진하는 놀이굿이다.

  3. 살풀이굿 살풀이장단에 맞춰 원형으로 돌면서 춤을 춘다.

  4. 덧배기굿 덧배기 장단에 맞춰 선잽이와 앉은잽이로 나뉘어 움직인다.

  5. 사방오토지신굿 사방의 지신에게 제를 지내는 것이며, 사방오토 지신굿은 모두 다섯 개의 원을 만든다.

  6. 팔진치기굿 상쇠를 선두로 덕석말이처럼 작은 원을 만들었다가 다시 푼다.

  7. 진놀이굿 상쇠의 신호에 따라 두 줄치기로 11자를 만든다.

  8. 고사리꺾기굿 상쇠의 신호에 따라 부쇠, 중쇠가 같은 줄에 있는 치배들을 악기별로 원으로 감아 차례로 돌아 나온다.

  9. 영산다드래기굿 신령에게 비는 가장 빠른 쇠 장단으로 구성된 놀이굿이다.

  10. 호호굿 호호가락에 맞춰 전원이 원형으로 돌며 ‘호호’를 제창하면서 쉬어가는 굿이다.

  11. 풍년농사기원굿, 개인놀이굿 풍년을 기원하면서 씨뿌리기, 모내기, 김매기, 벼베기, 벼타작, 볏짚모으기 등 농사 과정을 나타내는 놀이굿이다. 개인놀이굿은 ‘ㄷ’자 대형에서 각자의 기량을 나타내는 개인 장기자랑 펼친다.

  12. 마침굿 마침으로 모든 연행이 끝나고 제자리로 돌아간다.

    양덕중학교의 함안화천농악은 화천마을에서 전통적으로 내려온 마을 농악의 형태를 그대로 잘 보여줬다. 이렇게 지역성과 전통성을 잘 갖춘 농악을 양덕중학교 풍물패 두드림에서 전승하고 있다. 학생들이 방과 후 활동과 동아리 캠프 등을 통해 적극적인 전승 활동을 펼침으로써 지역 전통문화에 대한 자긍심을 향상하는 데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다.

문화재 지정 현황

-경상남도 무형문화재 함안 화천농악 (1991.12지정)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농악 (2014.11등재)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동영상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