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산 연풍농악(2017청소년,충청북도)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58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24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참여지역 충청북도
분야 농악
참여단체 괴산오성중학교
수상(단체상) 장려상 (김해시장상)

종목소개

연풍농악은 충북 괴산군 연풍면 원풍리 신풍마을에서 전해 내려오는 전통적인 두레 농악이다. 본래 정초에 걸립굿, 여름에는 두레굿, 백중날에는 머슴굿 등 여러 형태의 농악이 전해 내려오고 있었다. 괴산군 연풍면은 괴산읍보다는 백두대간을 경계로 경북의 문경시와 더 가까워 문경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전하는 말에 따르면 이화령 고개를 넘어 문경의 양반집에 노역을 하러 갔던 사람이 문경지역의 농악을 보고 괴산의 농악을 만들어서 즐기게 되었다고 한다.

괴산군 연풍농악은 다른 지방에 비해 종류는 많지 않지만, 한가락 한가락의 변주가 매우 다양하며 같은 가락이라도 연주 속도 또한 비교적 빠른 편이다. 가락의 가짓수가 많지 않아서 새끼 꼬기나 쓰레 놀이 등 전문 연희패의 풍물놀이에서 볼수 없는 산골 마을 순박한 농경 사회 모습이 있다. 판굿에서 사용되는 가락은 삼채장단, 굿거리장단, 자진 가락, 두마치장단, 칠채 장단 등이 연주된다.

연풍농악의 전체 연행 과정은 판열기, 인사굿, 돌림벅구, 태극기, 칠채 멍석말이, 춤장단, 삼패놀이, 원 좌우치기, 네줄좌우치기, 새끼꼬기, 쟁기놀이, 쓰레놀이, 사통베기, 개인놀음, 멍석말이 순으로 진행된다.

오성중학교 학생들이 진행한 괴산 연풍농악의 구성을 확인하면 다음과 같다.

  1. 판 열기 놀이판에 들어가기 전 간단하게 가락을 쳐서 놀이의 시작을 알리는 것으로, 상쇠의 신호에 일채 장단을 연주하고 두마치장단을 연주한다.

  2. 갈지자진 갈지[之]자 형식으로 악기를 연주하며, 입장 후 반시계방향으로 큰 원을 그리며 돌고, 제자리에 서서 자진가락을 연주한다.

  3. 돌림벅구 인사 후 장단에 맞춰 버꾸들이 안으로 들어가 원을 만들고, 두마치를 연주하고, 옆뛰기를 한다.

  4. 태극진 삼채장단을 연주하며 태극 모양을 만든 후, 상쇠의 신호에 맞춰 모두가 앉고, 상쇠의 태극기라고 선창 후 모두 함께 복창한다.

  5. 칠채 멍석말이 칠채를 치며 멍석을 말듯이 반시계방향으로 감아 들어간다 좌·우·중앙 세 번 반복한다. 중앙에서 멍석을 말 때 육채 장단과 두마치장단을 연주하며 옆뛰기를 한다.

  6. 춤장단 멍석말이가 끝난 후 상쇠의 신호에 맞춰 악기를 턴 후, 굿거리장단을 연주하며 춤을 추고, 삼채장단을 연주하며 원을 만든다.

  7. 삼패놀이 큰 원을 돌다가 상쇠의 신호에 맞춰 악기가 원 하나, 벅구가 원 하나, 무동들이 원 하나를 만든다.

  8. 원 좌.우치기 큰 원을 만든 후, 동·서·남·북 방향으로 이동하며 악기를 친다.

  9. 네줄 좌우치기 네 줄로 서서 동·서·남·북 방향으로 이동하며 악기를 친다.

  10. 새끼꼬기 두 줄로 정력한 뒤, 앞쪽에서부터 마치 새끼를 꼬는 모양으로 지그재그 형식으로 사이사이를 빠져나오며 연주한다.

  11. 쟁기놀이 버꾸와 피조리가 짝을 이뤄 소가 쟁기질하는 것을 묘사한 놀이를 한다.

  12. 쓰레놀이 ‘口’자 대형을 만든 후, 상쇠의 신호에 맞춰 사이사이로 교차하며 쓰레질하는 것을 묘사하는 놀이를 한다.

  13. 사통베기 악기마다 작은 원을 동·서·남·북 방향으로 만든 후, 상쇠의 신호에 맞춰 옆뛰기를 하고, 상쇠가 풀어나가 큰 원을 만든다.

  14. 개인놀음 상쇠놀음 후 꽹과리장단에 맞춰 열두발놀이를 한다.

  15. 멍석말이 열두발놀이가 끝날 때쯤 열두발을 중심으로 각 악기가 멍석말이한 후, 상쇠의 신호에 맞춰 옆뛰기를 하고 맺은 후 인사굿을 연주하고 마친다.

    괴산 연풍농악은 괴산군 연풍면 일대에 전승되고, 문경 지역의 농악과 연계성을 가지면서 형성된 것으로 그 유래를 밝히고 있다. 즉 지역 특색을 갖춘 웃다리농악이다. 오성중학교 ‘아우꿈’ 풍물반에서는농악마저 변화는 현대 사회에서 지역 민속을 지키기 위해 지역의 민속놀이를 학습하고 전승하는 데 큰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이러한 노력은 학생들이 지역문화에 대한 자긍심을 갖고, 스스로 창의성을 기르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지역 민속 전승을 위해 청소년과 기성세대의 공동작업이 계속되어 문화 소통으로 이어질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문화재 지정 현황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농악 (2014.11등재)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동영상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