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구월일석 춘경걸궁(2017청소년,제주도)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58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24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참여지역 제주도
분야 의례
참여단체 한림고등학교
수상(단체상) 신명상 (축제추진위원장)

종목소개

전국에 분포하는 풍물 중 하나인 제주도의 걸궁은 우리나라 서남해안 일대의 걸궁과 비슷한 모습을 보이면서도, 특유의 주술성을 바탕으로 연극적인 면모를 보이는 연희로 발전해왔다. 또한 당굿이라는 전통 무속의례를 기반으로 한 풍물굿이 덧씌워진 근현대 민속이다. 근대적인 형태의 걸궁이 유입되기 이전 본래 제주도의 당굿에서는 ‘거리굿’, ‘거릿제’, ‘거리도청제’ 등으로 부르는 걸궁과 유사한 의례가 존재했는데, 이러한 거리굿을 입춘굿의 거리굿과 연계한 형식으로 정리한 것이 한림고등학교 학생들이 제24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에서 선보인 ‘메구월일석 춘경걸궁’이다.

예로부터 제주도에는 모관황수, 정의황수, 대정황수 등 무당을 대표하는 황수가 셋이 있었는데, 제주목관아에서 이들을 중심으로 입춘일에 굿을 펼친 것이 ‘입춘굿’이다. 입춘굿은 새봄을 맞아 도민들이 함께 벌였던 제주도의 고을굿으로, 세 명의 황수를 상징하는 황수기가 모여 읍성 안을 순회하는 ‘메구월일석 거리굿’, 관덕정마당에서 펼치는 ‘입춘 탈굿놀이’, 풍농을 기원하며 벌이는 ‘입춘굿’ 등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한림고등학교 학생들이 실연한 메구월일석 춘경걸궁의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입장 낭쉐를 비롯한 장치와 소품을 마당에 배치하고, 기수를 앞세운 전 출연진이 입장해 관중에게 인사한다.

  2. 낭쉐ᄏᆞ사 도황수와 대정황수, 정의황수를 중심으로 걸궁패가 낭쉐[木牛] 앞에 둘러서서 간단한 낭쉐사(목우제)를 올린다.

  3. 거리굿 황수기를 앞세운 행렬이 제주읍성 동문, 서문, 남문을 순회하며 거리굿을 펼친다. 각성문에 다다를 때마다 새해 액을 내쫓는 ‘올래 시’를 걸궁으로 진행하고, 그 사이사이에 황수들이 주민들이 들고나온 보리 이삭을 살펴보는 ‘보리 고고리점’을 친다.

  4. 탈굿놀이 호장들의 ‘밧갈이’, 농부의 ‘씨드림’, 사농바치와 새의 ‘방액놀이’, 몰사와 호장들의 ‘담배 참권청’을 노래와 재담을 엮어가며 차례로 펼친다.

  5. 파장굿 황수, 걸궁패, 탈굿놀이패가 어울려 판굿과 서우젯소리를 이어간다.

  6. 퇴장 입장할 때처럼 기수를 앞세우고, 모든 출연진이 신명 나게 퇴장하며 관중에게 인사한다.

    한림고등학교 학생들이 꾸민 ‘메구월일석 춘경걸궁’은 제주도의 전통 걸궁의 원형을 찾아 학생들이 접근하기 쉬운 형태로 재구성한 것이다. 지역에서도 점차 사라져 그 원형을 파악하기가 쉽지 않았음에도 학생과 지도자가 함께 찾아 만든 결과물이라 유의미하다. 일정한 연행물이라는 의미가 있으나, 전통성과 원형성에 대한 보완은 더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동영상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