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만경 외애밋들 들노래(2022,전라북도)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63회 한국민속예술제
참여지역 전라북도
분야 민요
참여단체 김만경외밋들노래보존회
수상(단체상) 전승상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이사장상)

종목소개

종목명 해설

김만경 외애밋들 금(김)만경(金萬頃), 금같이 풍요로운 들판이라고 해서 너른 김제평야와 만경평야가 펼쳐진 김제시 만경읍을 부르는 애칭이다. 만경읍은 논두렁이 만 개라는 뜻에서 ‘만경’이라는 이름을 갖게 됐다고 한다. 이곳 사람들은 김제나 김만평야를 설명할 때 ‘징게맹갱 외애(에)밋들’ 혹은 ‘징게맹개 외배미들’이라고 부른다. ‘징게맹갱’은 김제 만경을 뜻하고, ‘외애밋들(외배미들)’은 이 (논)배미 저 (논)배미 할 것 없이 모두 하나로 툭 트여 있어 너른 들판을 이룬다는 의미다. 즉, ‘징게맹갱 외애밋들’은 ‘김제 만경의 너른 벌판’이라는 뜻이다.

들노래 논농사를 짓는 어느 지역에나 농부들은 고된 노동을 덜어내고 서로 힘을 북돋기 위해 노래를 불렀다. 이를 ‘들노래’라고 통칭하는데, 농부나 부녀자들이 주로 모심기나 논매기를 하며 행했다. 전국 곳곳의 지역마다 특색이 깃들어 있는 들노래가 전해진다.

정보

지역 전라북도 종목 민요 인원 63명 단체 김만경외애밋들노래보존회 지정 해당 없음

본문

호남평야의 중심지 김제는 광대한 규모의 벌판을 자랑한다. 전라북도 중서부의 대표 곡창지대이자, 매년 가을 지평선축제를 열 정도로 땅과 하늘이 맞닿은 풍경이 아름다운 지역. 이곳은 삼한 때부터 쌀농사가 시작돼, 백제 때는 ‘벼의 고을’이라는 뜻으로 벽골 혹은 볏골이라 불렸다고 전해진다. 비록 현재는 여주나 이천 쌀이 널리 알려졌지만, 김제 만경평야 ‘전라도 옥백미’의 명성은 여전히 자자하다. 언뜻 보기에 무슨 의미인지 파악하기 어려운 ‘김만경 외애밋들’이란 김제 만경의 너른 들판을 부르는, 애정 담긴 말인 셈이다. ‘외애밋들 들노래’ 혹은 ‘금만경 들노래’라 전해지는 이 종목은 만경평야를 배경으로 한 농요이자 농사일에 관련한 민속놀이다. 삼국 시대에 만들어진 우리나라 최초의 저수지인 벽골제를 배경으로 벽골제 쌍룡놀이·월촌입석(전라북도 민속문화재)에서 벌어지는 입석줄다리기 등이 전해지고 있는데, 이 중에서도 외애밋들 들노래에는 직접 농사를 지으며 불리던 노래가 구전으로 남아 있다. 농부들이 일하며 부르던 노동요를 일컫는 ‘들노래’는 지역마다 비슷하면서도 각자 특색과 개성을 지닌 채 전승되고 있다. ‘모찌는노래’ ‘모심기노래’ ‘논매기노래’ 등 몇 가지 노래로 구성되고, 장면 사이에는 농사짓는 모습을 재현하는 것이 공통점이라 할 수 있다. 김만경 외애밋들 들노래는 시대가 지나면서 점차 그 고유의 가락과 놀이가 사라졌으나 1990년대 후반 만경읍 대동리와 장산리에 전해지던 농요를 채록하면서 복원 및 보존이 진행됐다. 비록 체계적인 악보로 기록된 노래는 전해지지 않지만, 농부와 풍물패가 주거니 받거니 소리를 이어가는 모습은 그 시절 우리의 일 풍경이 어떠했는지 상상하게 한다. 김만경 외애밋들 들노래는 10여 개의 장면과 소리로 구성된다. 집터를잡는노래를 시작으로 달구질노래, 집들이노래, 액맥이노래, 논꾸미는노래, 모심는노래, 지심매는노래, 두 번째 지심매는노래, 만두리노래, 장원질노래, 벼베는노래, 등짐노래, 계상질노래, 타조(타작)노래 등이 있으며, 연행되는 무대에 따라 장면 구성을 달리해 공연 시간을 조정하고 있다. 모찌는노래, 논매기노래처럼 들노래를 구성하는 일반적인 노래보다는 김만경 외애밋들 들노래에서만 감상 가능한 장면을 관심 있게 볼 필요가 있다. 논꾸미는노래, 장원질노래, 벼베는노래, 계상질노래, 방아찧는노래 등 다섯 장면은 다른 지역에서 흔히 들을 수 없는 노래이니 놓치지 말 것.

과장 구성

  1. 입장 모든 참여자가 악기와 도구를 들고 기수를 따라 원을 그리며 입장한다. 가운데에 설치된 당산나무에 인사를 올린다.
  2. 논꾸미는노래 농부들이 괭이를 들고 주위를 돌며 논을 꾸미는 장면.
  3. 모심는노래 나란히 서서 모를 심으며 농부가를 부른다. “여 여어허 여어허 여~~루 상 사 뒤 여/이 논뱀이어다 모를 심으니 장잎이 펄 펄 영화로구나/이마우에 흐르는 땀은 방울방울 열매맺고/풍년이 왔네 풍년이 왔구나 김만경 들판에 풍년이 왔네/여화 여루 상사뒤여/여기도 꽂고 저기도 꽂도 헐방없이 꽂아주세/나렸다네 나~~렸다네 전라어사가 나렸다네/떠들어온다 떠들어온다 점심밥이 떠들어 온다”
  4. 지심매는노래 모심는노래를 마치면, 김매기를 하며 지심매는노래를 부른다.
  5. 만두리노래 김매기를 마무리하면서 만두리노래를 부른 뒤 무등을 태우고 원형으로 전진한다.
  6. 장원질노래 무등을 태우고 원형으로 전진하면서 장원질노래를 부른다. 이후 아낙네가 모여 있는 곳으로 이동해 새참을 먹고 풍물을 치고, 씨름도 한바탕 하며 논다.
  7. 벼베는 노래 벼를 베는 모습을 흉내 내며 노래를 계속한다.
  8. 방아찧는소리 한쪽에서는 벼를 훑고, 옆에서는 도리깨로 타작한다. 노래를 부르며 방아 찧기까지 이어진다.
  9. 마무리 모든 장면을 마무리하고 나면 풍물패가 신나게 풍악을 울린다. 전원이 원진을 만들어 인사하고, 신나게 퇴장한다.

자료출처

  • 출처 : 『제63회 한국민속예술제』 백서
  • 발행일 : 2022년 10월 26일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