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대표이미지

대회 개요

구 분 내용
행사명 제7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개최일 1966. 10. 22 ~ 24
개최지역 서울시
개최장소 남산야외음악당
참가종목 (참여인원) 22개 종목
주최 공보부

참가종목 정보 및 수상

일반부

참여팀 지역 종목명 참여단체 분야 단체상 개인상/공로상
전라북도 농악 농악 대통령상
경상북도 차전놀이 민속놀이 국무총리상
경기도 양주산대놀이 민속극 문공부장관상 개인상 (박상환)
충청북도 농악 농악 문공부장관상
제주도 세경놀이 민속놀이 문공부장관상
전라남도 강강술래 민속놀이 공로상
함경남도 북청사자놀음 민속극 공로상
황해도 봉산탈춤 민속극 장려상
서울시 송파산대놀이 민속극 장려상
경상남도 고성오광대 민속극 장려상
충청남도 은산별신굿 민속놀이 장려상 공로상 (이오복)
강원도 춘성수레싸움 민속놀이 장려상
평안남도 항두계놀이 민속놀이 장려상 공로상 (김정연)
경상남도 농악 농악 개인상 (문백윤)
함경남도 민속놀이 민속놀이 개인상 (김수석)
부산시 부산야류 민속극 공로상 (박덕업)
경상북도 상주모내기 민요
경상북도 하회가면극 민속극
경상북도 농악 농악
제주도 해녀놀이 민속놀이
황해도 민속놀이 민속놀이
황해도 불꽃놀이 민속놀이

개요

제7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는 1966년 10월 22일부터 24일까지 중앙청 옆에서 행사를 시작하고, 본격적인 경연대회는 남산의 야외음악당에서 개최하였다. 모두 15개 시도에서 24개 종목이 참여하면서 삼일간의 열띤 경연이 이루어졌다. 이 대회에서 중요한 변화가 있었는데 대규모의 연인원이 참가함으로써 규모를 확장하고 놀이를 하는 대동화하는 특징이 구현된 대회이다. 경연대회의 풍요로움과 다채로움의 대동놀이적 성격을 부각하는 일이 새삼스럽게 모색되었다.

참가종목

민속놀이 부문에서 대규모의 인원이 동원되는 놀이 등이 새롭게 발굴되고 기획됨으로써 민속놀이의 가치를 부각하는 놀이가 벌어졌다. 그렇게 하는데 있어서 새로운 종목의 발굴 역시 이러한 각도에서 이루어졌다. 가령 <안동차전놀이>와 <춘성수계싸움>이나 <항두게놀이>와 같은 자료 발굴은 대규모의 인원을 동원하면서 민속놀이의 흥겨움과 신명을 강조하는 놀이였음을 강조하고 있다.

의의

제7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는 기왕에 참여하여 경연을 하던 부문에서 일정하게 전환을 모색하던 대회였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해서 당시의 언론에서는 긍정적인 평가를 하면서도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그것은 속화론이다. 대중적인 관점의 확대를 꾀하기 위해서 많은 인원이 동원되는 것은 불가피한 일이지만, 문제는 속화의 과정을 통해서 지나치게 본질적인 면모가 위협받는 점에 경계를 하고 있다.
대규모 인원의 민속놀이가 참가되는 것은 의의가 있지만 과연 이러한 민속놀이의 경연이 어떠한 의의가 있는지 조심스러운 비판과 전망도 함께 있었던 대회이다. 물론 전통적인 분야의 민속예술경연이 위협받은 것은 아니다. 아울러서 고장의 명예를 강조함으로써 참가한 단체의 당국자들이 새롭게 경쟁하게 된 것도 평가할 만한 사안이다.

자료출처

  • 출처 : 『한국의 민속예술 50년사』
  • 발행연도 : 2009.12.31
  • 발행 : 제50회 한국민속예술축제 추진위원회

사진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