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 정보
거창일소리(2003,경상남도)
종목 개요
구 분 | 내 용 |
---|---|
참여대회 | 제44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10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
참여지역 | 경상남도 |
분야 | 민요 |
수상(단체상) | 대통령상 |
수상(개인상) | 지도상 (박종섭) |
종목소개
유래
거창지역에 전승되어 오고 있는 노동요를 바탕으로 재구성한 것이다.
특색
경상도 민요의 토리인 메나리조 가락의 특징을 훼손하지 않고 잘 보존하고 있으며, 오랜 세월을 통하여 전승되면서 이 지방 민중들의 의식세계를 진솔하게 표현하고 있고, 각 민요의 원형을 잘 보존하여 계승하고 있다.
구성
(1) 나무꾼소리 (2) 망깨소리 (3) 보리타작소리 (4) 모찌기소리 (5) 모심기소리 (6) 논매기소리 (7) 칭칭나네
내용
(1) 나무꾼소리_ 흔히 산융회, 어산영이라고도 하는데, 잘못된 사회나 잘못된 제도를 신랄하게 비판하고 밝은 세상을 지향하고자 하는 서민들의 염원이 함축되어 있다. (2) 망깨소리_ 농한기에 집을 지을 때, 집터를 다지거나 못둑을 쌓을 때, 둑을 다지면서 부르는 소리로 거창에서는 이 두 경우의 망깨소리가 모두 전승되고 있다. (3) 보리타작소리_ 보리타작은 매우 힘든 노동이므로 소리 말이 짧고 선후창으로 이루어지며, 고됨과 희망찬 삶에 대한 기대가 주 내용을 이루고 있다. (4) 모찌기소리_ 거창지역 모찌기소리는 다양한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선후창과 교환창이 함께 전승된다. 서로 번갈아 부르는 교환창은 모심기소리 가락에 붙여 부른다. (5) 모심기소리_ 교환창으로 소리 말이 밝고 건강하며, 해학과 풍자가 넘치는 것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6) 논매기소리_ 논매기는 아시매기, 두벌매기, 세벌매기가 있는데, 세벌매기가 가장 힘들고 고되다. 소리말도 해학과 풍자가 깃들여져 있으며, 임과의 사랑 등 다양한 내용의 선후창이다. (7) 칭칭나네_ 세벌 논매기가 끝나면 상머슴을 목말 태우고 부르는 소리로, 농악을 울리면서 논에서 마을로 돌아가게 된다. 주인은 음식을 푸짐히 내어놓고 일꾼들을 위로하며 놀이마당을 제공한다.
문화재 지정 현황
-경상남도 무형문화재 거창일소리 (2004.10지정)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의 민속예술 50년사』
- 발행연도 : 2009.12.31
- 발행 : 제50회 한국민속예술축제 추진위원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