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초도문메나리농요(2003,강원도)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44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10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참여지역 강원도
분야 민요
수상(단체상) 문화체육부장관상(금상)
수상(개인상) 연기상 (오순석)

종목소개

유래

강원도 속초시 도문동 상도문리를 중심으로 전래되어온 농업 노동요를 바탕으로 연출한 종목이다. 도문동의 메나리는 소리의 유장함과 곡조 등으로 미루어 볼 때, 불교적 색채가 배어있는 범패소리와도 비슷한 유형이라고 여겨지는데, 이는 아마도 이 지역의 인근에 절이 많이 있어서 그 영향을 받은 것이 아닐까 한다.

구성

(1) 첫째마당(서낭굿) (2) 둘째마당(논삶는 소리) (3) 셋째마당(모심는 소리) (4) 넷째마당(김매는 소리) (5) 다섯째마당(질 먹기) (6) 여섯째마당(벼 베는 소리)

제44회 한국민속예술축제에 출품한 작품은 위의 6마당까지만 형상화하였으며, 일곱째 마당에 해당하는 황덕굿 등 이하 과정은 출연 시간 관계상 생략되었다.

내용

(1) 첫째 마당(서낭굿)_ 한해의 풍년을 빌기 위해서 정초가 되면 마을 삶들은 성황당에 모여 제사를 올린다. 이때 성황당에 모여 서낭굿을 치는데, 이를 작품화하여 신목과 서낭대를 농악대원들이 둥그렇게 원형을 그리며 감싼 후 절을 하는 것으로 표현하였다. (2) 둘째마당(논삶는 소리)_ 논삶는 소리는 흔히 소모는 소리로 알려져 있는데, 도문동에서는 주로 한스레로 농사를 지었다. 한스레는 소 두 마리가 끄는 스레인데, 보통은 일 잘 하는 소를 바른쪽에 세운다. 소 뒤에는 번지를 매달고 논을 간다. 논삶는 소리는 가창자에 따라 또 소를 모는 상황에 따라 다양한 소리가 나올 수 있다. 논을 갈고 삶으면서 한편으로는 모를 찐다. 이때 모를 찔 때도 또한 소리를 한다. (3) 셋째마당(모심는 소리)_ 논을 다 삶으면 곧바로 모를 심는다. 이때 ‘심어주게~’로 시작되는 모심는 소리를 흥겨운 가락에 맞춰 부르는데, 이 소리 외에도 아리랑, 어랑타령 등 다양한 소리가 모심을 때 불려졌다. 대체로 모심는 소리는 강릉, 양양, 평창 등지에서 불려지는 소리와 별다른 차이가 없다. 가락도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데, 신이 날 때에는 빠르게도 부르다가 또 오후 들어 힘이 들 때에는 천천히 부르기도 한다. (4) 넷째 마당(김매는 소리)_ 김매는 소리를 메나리라고 한다. 이 메나리는 삼척권과는 달리 영북지방의 특성을 잘 드러내는 소리로서 하루 중 시간의 흐름에 맞추어 가사가 변화하는 특징을 보인다. (5) 다섯째 마당(질 먹기)_ 농촌에서는 세벌 김을 매고 나면 마을 주민들이 하루 날짜를 정하여 잔치를 연다. 이것을 이 마을에서는 ‘질을 먹는다’라고 한다. (6) 여섯째 마당(벼 베는 소리)_ 한해 농사가 풍년이다. 농부들이 논에 나가 벼를 베면서 소리를 한다. 이 소리를 달리 ‘한단소리’라고도 한다.

문화재 지정 현황

-강원도 무형문화재 속초도문농요 (2007.02지정)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의 민속예술 50년사』
  • 발행연도 : 2009.12.31
  • 발행 : 제50회 한국민속예술축제 추진위원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