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무등농악(2003,광주시)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44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10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참여지역 광주시
분야 농악
수상(단체상) 은상

종목소개

유래

광주 지역에 전승되어온 호남우도농악에 기반을 두고 있다. 광주는 광산과 나주평야로 이어지는 기름지고 넓은 들을 끼고 자리하고 있어, 예로부터 많은 농업의례와 더불어 호남우도농악의 전통도 그대로 전한다. 이주환, 최막동, 김오채 등 명인들의 맥은 김동언에게로 이어졌으며, 이 전통을 광주 무등 농악단이 계승하고 있는 것이다.

특색

호남우도농악의 바탕가락과 진법을 간직하면서도 나름대로 다양한 재창조를 보여주는 광주무등농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호남우도농악의 쇠가락과 진법을 그대로 계승하고 있으며, 특히 판굿놀이는 옛 모습 그대로 지닌 채 계승되고 있다. 둘째, 굿머리를 장식하는 “오채질굿”은 2박과 3박이 교차박으로 어우러져 오묘한 흥과 멋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셋째, “콩꺾자” 가락은 3분박 안에서 2분박을 연주함으로써 삼잇단음적 효과를 극대화시킨다. 넷째, 호남우도농악의 특징인 설장구놀이에는 가락의 섬세함과 다양성, 부드러우면서도 변화무쌍하게 맺고 끊는 춤사위가 어울려 있다. 다섯째, 잡색놀이는 타 지역과 다른 특성을 보인다. 여섯째, 전남의 서남지역에만 전승되고 있는 “담배씨 고깔”을 쓰고 연희한다. 일곱째, 연희자 모두가 진법에 따라 일사불란하게 대형을 이루면서 판을 짜고 풀어간다.

구성

(1) 일채 (2) 굿머리 (3) 징굿 (4) 오채질굿 (5) 된오채질굿 (6) 풍류 (7) 세마치 (8) 벙어리삼채 (9) 벙어리일채 (10) 된삼채 (11) 잦은일채 (12) 늦은 오방진 (13) 진오방진 (14) 늦은삼채 (15) 안팎엮음 (16) 매도지 (17) 진굿 (18) 12마치 (19) 허허굿 (20) 좌우치기 (21) 연봉치기 (22) 씨뿌리기 (23) 김매기 (24) 콩동지기 (25) 콩꺾자(용틀음) (26) 늦은삼채 (27) 가세치기 (28) 미지기 (29) 구정놀이 (30) 섞음굿

문화재 지정 현황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농악 (2014.11등재)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의 민속예술 50년사』
  • 발행연도 : 2009.12.31
  • 발행 : 제50회 한국민속예술축제 추진위원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