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 정보
새왓이기는소리(2004,제주도)
종목 개요
구 분 | 내 용 |
---|---|
참여대회 | 제45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11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
참여지역 | 제주도 |
분야 | 민요 |
수상(단체상) | 동상 |
종목소개
유래
제주 지역에서 띠밭을 개간하며 불렀던 노래를 중심으로 작품화한 것이다. 제주는 화산회토의 땅으로 일찍이 논농사보다는 밭농사가 발달했다. 특히 척박한 땅을 일구고 개간하며 피나 조, 밀 등의 농사를 지었으며, 이때 불리는 민요는 원시성과 토속성을 띤다. 서귀포시 예래동 사람들도 해발 4~5백 미터의 고지대에 올라가 목장밭을 개척하고 농사를 지었으며, 그때 부르던 농업노동요는 현재까지 전승되고 있다. 이 지역에서는 새왓(띠밭)을 일구어 땅을 개간하여 첫해에는 팥이나 피를 갈고, 한해를 묵힌 이듬해부터는 메밀을 경작하는데, 이 띠밭을 ‘때밭’이라고도 한다. 띠밭을 일굴 때는 우선 따비를 이용하여 띠를 일구거나, 혹은 황소 두 마리를 하나의 쟁기에 종이나 횡으로 매고서 ‘저릿쉐 밭갈이’를 한다. 이 저릿쉐 밭갈이를 하는 이유는 땅이 새뿌리로 덮여 탄탄하게 굳어있어서 하나의 소로는 힘에 부치기 때문이다. 이처럼 두 개의 소를 이용하여 새왓을 가는 것을 ‘저리왓 간다’라고 한다.
구성
(1) 밭가는 소리 (2) 따비질 소리 (3) 곰베질소리 (4) 도깨질소리
내용
(1) 밭가는 소리_ 저릿쉐를 이용하여 밭을 갈면서 짐승에게 동작을 지시하듯 부른다. (2) 따비질 소리_ 따비로 땅을 일구면서 힘을 모으기 위해 부른다. (3) 곰베질소리_ 흙덩어리를 곰베로 두드리면서 부른다. (4) 도깨질소리_ 수확 후 도리깨를 이용하여 곡물을 얻는다.
자료출처
- 출처 : 『한국의 민속예술 50년사』
- 발행연도 : 2009.12.31
- 발행 : 제50회 한국민속예술축제 추진위원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