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 정보
고양들소리(2007,경기도)
종목 개요
구 분 | 내 용 |
---|---|
참여대회 | 제48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14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
참여지역 | 경기도 |
분야 | 민요 |
수상(단체상) | 금상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 |
종목소개
유래
경기 고양시에 전승되어 오고 있는 두레농요를 바탕으로 재구성한 것이다. 고양시 가와지(현 성저마을)에서 출토된 볍씨가 약 4,500여 년 전의 것이라는 학계의 연구로 볼 때, 고양들소리는 이 지역의 두레패에 의해 오랜 농경사회의 실체처럼 자연스레 전승되어 온 것이라 추측된다. 이 농요는 고양군 백석리와 식사리에서 수백 년 전승되어 내려오던 소리를 지역의 소리꾼이 재발굴한 소리다. 백석리에서 장선환의 농요와 최형식의 고양두레12채풍물가락을 최기복 이 전승받았고, 식사리에서 이천봉의 농요를 이금만이 전승 받았다.
특색
고양들소리는 ‘넬넬넬 상사도야’같이 경기 적인 특색이 가미된 노래들이 주종을 이루며, 솔 선법 음계가 주가 된다. 고양들소리는 돔베치기(삼청기러기 날아가는 형상)로 김을 매며 부르는 논김소리가 특히 발달하였고, 종류가 다양하며, 토착 선소리꾼에 의해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는 특색이 있다. 논김소리로는 긴소리, 양산도, 방아타령, 떳다소리, 노로타령, 홑오리소리, 상사도야, 새쫓는소리(훨훨이), 몸돌소리를 부르는데 이렇듯 다양한 논김소리는 유구한 역사를 지닌 경기북부 두레문화의 실체를 보여주는 근거가 된다. 고양들소리와 풍물가락은 경기 중에서도 더욱 경기적인 중부 경기 민요권을 대표하는 논맴소리 지대의 것이라 일컬을 수 있다.
구성 및 내용
고양들소리 속의 농요로는 쌍가래질 소리와 모찌는소리, 모심는 열소리, 고양형 논김양산도, 고양형 헤이리류와 솨소리, 사두소리, 방아타령, 상사류, 우야소리, 몸돌류및 솔선법의 산타령류와 용두레소리, 어허리 오호불등이 있다. 그 외 의식요와 노동요로 상여소리, 회방아소리, 지경소리, 차져소리 등이 있다. 제48회 한국민속예술축제에 참가한 <고양들소리>는 고양 지역 전통 두레12채풍물 길군악으로 입장을 하여, 전체 다섯마당의 구성에 따라 진행된다.
(1) 첫째마당_ 농사의 시작을 알리는 ‘보멕이 쌍가래질소리’ (2) 둘째마당_ 천수답에 물을 대기 위한 ‘용두레질소리’ (3) 셋째마당_ 모를 찌는 ‘쪘네소리’ (4) 넷째마당_ 모내기 작업 중의 ‘열소리와 잦은열소리’ (5) 다섯째마당_ 본격적인 두레소리에 해당하는 ‘논김소리’를 부르고, 호미꽂이로 대동놀이의 대미를 장식한다.
자료출처
- 출처 : 『한국의 민속예술 50년사』
- 발행연도 : 2009.12.31
- 발행 : 제50회 한국민속예술축제 추진위원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