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 정보
양양군 수동골 상여소리(2010,강원도)
종목 개요
구 분 | 내 용 |
---|---|
참여대회 | 제51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17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
참여지역 | 강원도 |
분야 | 민요 |
참여단체 | 입압리민속보존회 |
수상(단체상) | 대상 (대통령상) |
종목소개
강원도 양양군 현남면 화상천을 중심으로 형성된 입암리, 지경리, 상월천리, 하월천리, 임호정리, 원포리 등 6개 마을에서 전승되어 온 상여소리다. ‘수동골’이라는 지명은 없었지만, 여러 마을이 연합해 팀을 꾸리면서 물 수[水] 자와 마을 동[洞] 자로 그 이름을 지었다고 한다. 이 지역은 상두계인 밀양두에서 장례를 치르며 상여소리를 불렀는데, 특히 수동골 상여소리는 호상과 악상을 고려해서 선드래놀이를 하는 아량이 있다. 그리고 장례 절차마다 망자의 명복을 빌고 내세를 기원하는 내용을 담아 부른다. 선소리꾼의 메김소리를 받은 상두꾼들이 뒷소리를 부른다. 이 노래는 ‘드장날 밤' 망자가 곧 집을 떠나게 될 것을 아뢰는 초초소리를 시작으로, 짐을 신는다고 고하는 이초소리, 짐을 싣고 떠날 준비가 끝났다고 고하는 삼초소리, 상여를 메고 상주들과 집 앞에서 인사를 하는 하직소리, 외나무다리 건너기, 끊어진 다리 건너기, 회와 흙을 혼합하는 회다지는소리, 봉분을 다지는 달구지소리로 이어진다. 수동골은 산과 언덕길의 좁은 다리, 끊어진 다리 등 험한 지형을 지나야 하는 강원도 지역의 지리적 환경을 작품에서 모두 재현했다.
내용
느린하직소리 (받는소리) 나머 위 타불 (메기는소리) 찾아가세 찾아가세 천하명산을 찾아를 가세
하직소리 (받는소리) 나모 우여 (메기는소리) 이 사당에 하직하고 후사당에 재배하여 하직이로구나 하직이야 인간하직이 망극하다
운상하는소리 (받는소리) 어허 어어어허 어거리 넘차 어호 (메기는소리) 하늘 천에야 흐르는 물은 어느 내로나 흘러를 가고 우리네 인생이 가면은 다시 오기가 어렵도다 여보시오 청춘들아 이내 말씀을 들어를 보소 자손을 나서야 길러를 보니 부모 은공을 모를손가 부모야 은공을 갚자고 하니 어연간에 백발이로다 검은 머리가 백발이 되고 곱던 얼굴이 주름이 잡혀 귀는 먹어서 절벽이 되고 각시같이도 좋은 이가 허물며 우리네 인생 늙어서야 죽어를 지니 어정장터 공동묘지 북망산천을 찾아를 가네 원수 백발이 잠꽌이네 젊었을 적에나 봉양하소 어제 나절에 성턴 몸이 오날 나절에 병이나 들어 부르나니 어머니요 찾는 것이나 냉수로다 인삼에 녹용에 약을 쓴들 약효험이나 있을손가 부처님전에 발원을 하고 칠성님전에 공양한들(후략)
느린달회소리 (받는소리) 에헤호 달회여 (메기는소리)
자진달회소리 (받는소리) 아헤 달회야 (메기는소리) 명사십리 해당화야 꽃진다고 서러마라 명년이나 춘삼월에 너는 다시 피련마는 우리네 인생 한번가면 다시 오기가 어렵도다 북망산천 찾어갈제 어찌갈꼬 험한 험로 어찌 다시야 돌아오랴 이세상을 하직하니 숨도 차고 목도 마르고 이만저만 그만두세
느린달구소리 (받는소리) 에호 달구여 (메기는소리) 여러분에 일심받아서 만년집을 지어보세 달구질소리가 드높으면은야 이산 명기가 돌아온다
자진달구소리 (받는소리) 아허 달구야 (메기는소리) 여보시오 청춘들아 백발보고 웃지마라 어제 청춘 오날 백발 그 아니도 가련한가 삼각산 제일봉에 봉학이 춤을 추고 한강수 깊은 물은 원앙이 앉아 춤을 추고 달구질소리가 흥이나서 엉덩춤이 절로나네 대궐같은 내집을 두고 두꺼비같은 새끼를 두고 깊은 산중 외딴곳에 낙락장송을 울타리삼아 두견새를야 벗을 삼아 외로이 누웠으니 청량하기가 그지없다 목도 마르고 숨도차고 이만저만 그만두세
양양군수동골상여소리는 강원도의 험한 지형지물을 모두 재현하면서 고난도 상여 운상을 보여줬으며, 힘 있는 상여소리와 흥겨운 회다지 동작 등 기교는 없으나 예스럽고 소박한 멋이 있는 민속을 잘 보여주어 제51회 한국민속예술축제 최고상인 대통령상을 받는 쾌거를 이뤘다.
문화재 지정 현황
-강원도 무형문화재 양양 수동골상여소리 (2013.04지정)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