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도선소리산타령(2010,황해도)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51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17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참여지역 황해도
분야 민요
참여단체 서도산타령보존회
수상(단체상) 금상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

종목소개

서도선소리산타령은 서도입창을 말하며, <놀량사거리>, <앞산타령>, <뒷산타령>, <경발림> 등으로 구성된다. 사당패라고 불리던 유랑예인집단의 공연 종목이었으며, 여러 사당이 소고를 들고 노래를 부르면 장구를 맨 모갑이가 반주하는 형태로 공연을 했다.

내용

  1. 놀량사거리 에라디여 어허야 요홀 네로구나 녹양[錄楊]에 벋은 길로 북향산[北香山] 쑥 들어도 간다 에헤에헤이에- 어허야 요홀 네로구나 춘수[春水]는 낙락[落落] 기러기 나니 훨훨 낙락장송이 와자지끈 딱 부러졌다. 마들가지 남아 지화자자 좋을씨구나, 지화자자 좋을씨구나 얼씨구나 좋다 말 들어도 보아라 인간을 하직[下直]하고 청산[靑山]을 쑥 들어도 간다. 에헤에헤이에- 어허야 요홀 네로구나. 황혼 아니 거리검쳐 잡고 성황당 숭벅궁새 한 마리 낙에 앉고, 또 한 마리 땅에 앉아 네가 어디메로 가자느냐, 네가 어디메로 가자느냐, 네가 어디메로 가자느냐. 이 산 넘어가도 거리숭벅궁새야, 저 산 넘어가도 거리숭벅궁새야, 에- 어린 양자[糧資] 고운 태도, 눈에 암암[暗暗]하고 귀에 쟁쟁(쟁쟁). 비나이다 비나이다 비나니로구나, 소원성취로 비나니로구나. 에- 나 헤 요홀 네로구나.

  2. 앞산타령 나네노 니하나 에헤에 에헤에 노오 나에게 헤에요 산하지로구나 천 관악산[冠岳山] 염불암[念佛庵]은 연주대[戀主臺]요 도봉불성[道峯佛性] 삼막[三幕]으로 에헤 둘렀다. 에헤 에헤로 지히 이히이 지로구나 말을 네야 나아헤에로 산이로구나

  3. 뒷산타령 나지아 산이로구나 에- 두견아 에- 어허야 지구에- 에도 산이로구나. 여초목[與草木]이 동남풍에 거리숭벅궁 우는 소리 장부[丈夫] 요내 열촌의 간장을 다 녹여 낸다 나뭇잎만 똑똑똑 떨어져도 한병[漢兵]인가 의심하고 새만 좌르르르 날아들어도 자룡[子龍]의 삼지창[三枝槍]만 여겨 의심한다 갈까 보다 말까 보다 임을 따라 갈까 보다 자룡이 월강[越江]하던 청총마[靑총馬] 비껴 타고 이내 일신[一身]이라도 한양을 따라갈까나 에라 놓아라 나 못 놓겠구나 에라 놓아라 나 못 놓겠네 엄지 장[長]가락이 다물어 빠지고 새끼손가락이 삼동에 나는 데 에- 어머니 아시면 매맞겠네 짜장 깊은 정을 생각하면 죽으면 죽었지 나는 못 놓겠다

  4. 경발림(景四거리) 중원지변방[中原之邊方]이요 일세[日勢]는 요란한데 삼산반락[三山半落]에 청천외[靑天外]요 이수중분[二水中分]에 백로주[白鷺洲]란다 어디로 가자고 날만 졸라 어디로 가자고 지그렁직신 날만 조리조리 졸졸이 따라 안성[安城]에 청룡[靑龍] 가잔다 수락산[水落山] 폭포수[瀑布水]요 둥구재며 만리재라 약잠재며 누에 머리 용산[龍山]삼개로 에라 다 둘렀단다 연산[蓮山]의 김 덕선[金德善]이 수원의 북문[北門]지어 나라의 공신[功臣]되어 수성옥이 와류감투 꽉 눌러 쓰고 어주[御酒] 삼배[三盃] 마신 후에 앞에는 모 흥갑[牟興甲]이 권 삼득[權三得]이 송 홍록[宋興祿]에 신 만엽[申萬葉]으로 쌍화동[雙花童]세고 어전[御前] 풍악을 꽝꽝 치면서 장안[長安] 대로상으로 가진 신래[新來]만 청한다.

    선소리산타령은 서도의 대표적인 공연예술이다. 사당패의 공연물이었다는 점에서 민속의 성격은 약하지만, 음악적인 난이도가 높아 전승이 쉽지 않은 종목이다. 지금은 접하기 어려운 서도 문화로, 한국민속예술축제가 이러한 문화의 전승에 조금이나마 이바지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 작품은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인 금상을 수상했다.

문화재 지정 현황

-국가무형문화재 선소리산타령 (1968.04지정)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