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 정보
동래지신밟기(2010,부산시)
종목 개요
구 분 | 내 용 |
---|---|
참여대회 | 제51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17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
참여지역 | 부산시 |
분야 | 민속놀이 |
참여단체 | 부산민속예술보존회 |
수상(단체상) | 은상 (충청남도지사상) |
종목소개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4호인 동래지신밟기는 동래구 온천동에서 정월 초부터 보름까지 연행되는 민속놀이다. 지신밟기는 예로부터 전국 각지에서 주로 정초에 행하던 것으로, 지역마다 그 규모와 내용에 차이가 있으나, 우리나라의 민간신앙을 토대로 한 마을굿이라는 점은 같다. 동래지신밟기는 성읍국가 시기 동래지방에 거칠산국이 성립되고 나서부터 연행되던 축원 농악무에서 발전했다. 현재 연행되고 있는 형태는 새로운 예능이 발흥하던 조선 후기에 양반의 타락상을 풍자한 내용을 저변에 깔면서 전해 오던 지신밟기에 좀 더 재미있는 극적 상황을 설정해 놀이화한 결과물이다. 동래 지역에서 ‘걸립’ 또는 ‘지신밟기한다’, ‘덕뵈기친다’ 등으로 부르는 것을 보면 이른바 제의적 성격의 놀이라고 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마을과 가정의 무사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는 벽사초복[辟邪招福]과 안택축원[安宅祝願]의 뜻이 담겨 있다.
내용
음력 섣달 중에 악기, 의상, 도구 등을 준비하고, 이듬해 정월 초 2, 3일경부터 시작해 대보름 전에 마친다. 등장인물은 기수, 사대부, 팔대부, 김생원 내외, 촌로, 촌녀, 포수, 하동, 각시(탈을 씀), 큰어미, 꼴머슴 등이며, 꽹과리, 징, 장고, 북, 소고호적 등의 악기를 사용한다. 진행 과정은 다음과 같다.
주산 지신풀이 주산신께 지신밟기함을 고해 신력을 얻는 굿이다.
당산 지신밟기
주산에 이어 풍물잡이들이 잦은모리장단을 울리면 잡색들은 허튼춤을 추며 당산풀이를 한다.우물 지신풀이
마을의 공동우물에 가서 지신을 푼다.가정집 지신풀이 우물 지신풀이를 마치고 “×선생댁으로 갑시다.” 하며 그곳으로 향한다. 맨 먼저 마당풀이로 시작해, 대청놀이, 큰방·성주풀이, 각방 치장풀이, 조왕·샘·장독·도장(곳간)·마구간·뒷간·삽짝 지신풀이를 하고 주신[酒神]풀이로 마친다.
동래지신밟기는 마을과 각 가정의 안녕 및 풍농을 기원하고 재액을 쫓는 의례적 성격을 보이며. 단순한 놀이를 넘어 마을의 정초 분위기를 쇄신해 축제 분위기로 전환하는 일정한 기능을 가진 대동놀이다. 동래지신밟기의 특징은 복식에서도 나타난다. 일반 농악대가 착용하는 채복[彩服] 대신 주로 바지와 저고리에다 쾌자 또는 두루마기를 입으며, 채복 띠를 두르지 않고 머리에는 농악대의 전립 대신 고깔을 쓰는데, 이는 한량의 풍채를 본뜬 것이다.
풍물놀이나 버꾸놀이(법고놀이)보다는 춤을 위주로 한다. 1970년 12월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현재 부산민속예술보존협회에서 전승하고 있다.
문화재 지정 현황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동래지신밟기 (1977.11지정)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