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명골합두레놀이(2010,충청남도)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51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17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참여지역 충청남도
분야 민속놀이
참여단체 대명골합두레보존회
수상(단체상) 장려상 (공주시장상)

종목소개

충청남도 논산시 상월면 대명리의 대명골합두레놀이는 두레놀이의 막바지 행사인 두레먹이에 초점을 맞춘 논농사 민요와 민속놀이를 겸한 방식이다. 두레를 짜는 것, 실제로 논농사를 하면서 소리를 하는 것, 두레풍장을 연행하는 장면을 중심으로 일정하게 놀이를 전개하는 것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두레기를 내세우고 하는 ‘학고 맞추는’ 것을 비롯해 두레풍장을 할 때 현장에서 하는 소리와 농악의 조화를 본보기로 하는 특성도 있다. 기싸움을 벌인 형제의 두레 싸움까지 재현한 의미 있는 놀이였다.

내용

놀이하면서 소리를 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모를 찌며 가락에 맞춰 부르는 소리 무척 무척 뭉쳐노세 이논뱀이를 다 뭉쳐놓고 저논뱀이를 뭉쳐놓고 이논저논 다 뭉쳤으면 저논뱀이로 건너가서 뭉친모를 심어보세 무척 무척 뭉쳐노세 무척 무척 뭉쳐노세 무척 무척 뭉쳐노세 무척 무척 뭉쳐노세 무척 무척 뭉쳐노세
  2. 모심는소리 이논뱀이다 모를심어 장잎이 훨훨 영화로다 어허 - 어하하하, 어허허, 어 - 허하하하루상, 에헤디어 말굴레 같은 은가락지를 누구를 줄나다 날 같다주나 어허 - 어하하하, 어허허, 어 - 허하하하루상, 에헤디어 저달은 떠서 대장이되고 견우직녀는 후군이 된다 어허 - 어하하하, 어허허, 어 - 허하하하루상, 에헤디어 죽장망햐 단포자로 천리강산 드러간다 어허 - 어하하하, 어허허, 어 - 허하하하루상, 에헤디어 오동추야 달 밝은 밤에 임의 생각이 절로난다 어허 - 어하하하, 어허허, 어 - 허하하하루상, 에헤디어
  3. 자진 못소리 여보소 농부들 말 들어보소 상사소리가 나거들랑 쏘싹쏘싹 심어보세 우리가 살면 몇 백년사나 사러생전 부지런히하세 일락선산에 해는지고 월출동녘에 달솟아온다 어헐 널널 상사디야 어헐 널널 상사디야 어헐 널널 상사디야 어헐 널널 상사디야 어헐 널널 상사디야 어헐 널널 상사디야 어헐 널널 상사디야
  4. 호미거리 저 산너머다, 소첩을두고 밤길 걷기가, 망연도 하구나. 얼카 산이야 산천초목은, 푸르러서 좋은데, 우리네 인생은, 젊어서 좋다. 얼카 산이야 남문을 열고, 바라를치니, 계명사ퟌ너이, 다 밝아온다. 얼카 산이야
  5. 지심매는소리 왓나- 왓네- 아하헤 참나무 개상에, 아해 발바쳐놓고, 아해 닭잡고 술먹자 에헤야 헤야헤 아헤 어허디어 아헤 헤야헤 아헤 저거너 갈미봉, 아헤 비모라 드러온다, 아헤 우장을 하여라 에헤야 헤야헤 아헤 어허디어 아헤 헤야헤 아헤 부지런이 매고서, 아헤 백두산천지를, 아헤, 관광을 합시다 에헤야 헤야헤 아헤 어허디어 아헤 헤야헤 아헤 여 보소도련님, 아헤, 편아히 가세요, 아헤 오냐 춘향아 네 잘있거라 에헤야 헤야헤 아헤 어허디어 아헤 헤야헤 아헤 은하작교가, 아헤, 다무너졌으니, 아헤 건너갈 길이 망연도하여라 에헤야 헤야헤 아헤 어허디어 아헤 헤야헤 아헤
  6. 쌈소리 우야- 아- 아하- 헤 양쪽벼루는 쑥 올라가고, 함부루는 청처짐하라, 우야- 아- 아하- 헤 하절에는 노근방초요, 추절에는 추수로다. 우야- 아- 아하- 헤 산중에 귀물은 머루다래인데 우리네 귀물은 농사려구나, 우야- 아- 아하- 헤 전형적인 두레소리와 두레놀이를 경연용으로 꾸며서 나온 것이다. 그렇지만 놀이의 전개가 산만하고, 무대용으로 구성해 경연하는 순차적 전개가 원만하지 못했다. 경연의 중심인 소리꾼과 놀이꾼의 질서 정연한 예술성이 존재했는지, 소리, 놀이, 풍물 등이 조화롭게 구현되었는지에 대한 의문이 없지 않다. 원래의 민속 현장에서 나오는 고유의 전개 형태를 무대에서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것은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논농사소리와 방맹이소리가 겹쳐있어 그 분간이 되지 않은 점도 심각한 결함으로 보인다.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