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양파대놀이(2010,충청북도)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51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17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참여지역 충청북도
분야 민속놀이
참여단체 봉양파대놀이보존회
수상(단체상) 장려상 (공주시장상)

종목소개

충청북도 제천시 봉양읍 일대에서는 가을철 곡식이 한창 무르익어 갈 때 논밭으로 몰려드는 새를 쫓기 위해 파대[破帶]를 만들어 사용했다. 파대는 일종의 채찍과 비슷한 것으로. 짚을 꼬아 만든 줄 끝에 삼이나 말총, 짐승 가죽 따위를 묶어서 제작하는데, 이를 손에 쥐고 휘둘러 치면 그 끝이 휘감겨 총소리와 같은 소리가 나서 새를 쫓기에 좋은 기구가 된다. 이러한 행위를 제천지역에서는 ‘태기치기’ 또는 ‘태기친다’고 했다. 봉양파대놀이는 크게 두 가지 주제로 나뉜다. 제1부에서는 파대놀이가 전승되고 있는 세 곳의 마을 세 곳에 대한 개관과 파대의 유래 및 제작 방법을 서술하고, 파대놀이의 특성과 활용 방안을 제시하는 등 파대놀이에 관한 전반적인 사항을 다룬다. 제2부에서는 제천의 민속놀이를 소개한다. 파대를 사용하기 시작한 정확한 연도는 알 수 없지만, 제천시 봉양지역을 비롯해 충청북도 북부지역과 강원도 및 경상도 일부 등 태백산맥에 근접해 있는 지역서 오래전부터 사용했다. 제천시에서는 파대를 1940년대에서 1960년대까지 계속 사용했다. 그러나 이후부터 점차 자취를 감추고 제천시 봉양읍 구곡리, 마곡리 일대에서만 일부 전승이 되어 왔다.

내용

봉양파대놀이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1. 입장 파대놀이 깃발을 앞세우고 파대꾼, 농악팀, 아낙네, 소녀, 참새, 지게꾼, 양반 등이 입장한다. 이때 농악은 머리를 자르게 되는 소녀들의 안타까움을 전하기 위해 느린 가락으로 연출되며, 점차 빠르게 진행되면서 농악팀은 퇴장한다. 입장한 파대꾼들은 원 대형을 만들고, 그 안쪽에서 소녀 3명과 양반 2명이 머리 자를 준비를 한다. 촌장이 큰소리로 “오늘 파대놀이에는 굴탄리 김 서방을 수장으로 정했으니 잘 자르시게” 하면서 파대 한 개를 건네면 김 서방은 넙죽 엎드려 절을 하고 파대를 받는다.
  2. 머리자르기 전년도 대동계에서 선발된 소녀 3명은 마을에서 정해준 금기사항을 지켜가며 잘 관리한 머리카락을 자른다. 양반과 촌장은 파대틀기에서 사용하기 위해 슬피 우는 소녀의 머리를 가위로 자른다. 머리를 자르는 동안 선소리꾼은 구성진 소리로 슬피 우는 소녀를 달래고 위로한다.

    우지마라 우지마라 애기들아, 머리는 혼줄인 것을 내 어찌 모르겠느냐 마는 우지마라 우지마라 풍년농사를 위해 내 눈물로써 자르노니 우지마라 우지마라 마을에서는 너희들의 헌신을 반드시 기억하도록 신신당부 할지니 우지마라 우지마라 산천초목이 보고 있으니 모두 알 것이지마는 우지마라 우지마라 집사는 대동계보에 기록하여 후대에 전하라 우지마라 우지마라 우지마라 애기들아

소녀가 머리를 자르고 난 뒤 고깔모자를 쓰고 양반들의 위로를 받으며 퇴장하면 파대를 만든다.

  1. 파대틀기 각각 4~5명으로 5개 조를 구성해 한 명이 중심을 잡고 나머지 사람들이 선소리꾼의 흥겨운 가락에 맞춰 소녀의 자른 머리카락을 넣고 파대를 틀기 시작한다.

    들어간다 얼레야~ 땡겨라~얼레야 틀어라~얼레야 돌리고~얼레야 곧추서고 얼레야 감아쥐고 얼레야 뒤로밀어 얼레야 흔들어 잡아 얼레야 얽어잡고 얼레야 세워돌아 얼레야 마무리짓고 얼레야

  2. 파대다듬기 볏짚으로 만들어진 파대를 매끄럽게 다듬는 과정으로, 선소리꾼의 선창과 후렴으로 이어진다.

    어레야 다듬이 정월에는 새끼 꼬아라 얼레야 다듬이 이월에는 가마니 짜고 얼레야 다듬이 삼월이면 짚신 삼아서 얼레야 다듬이 사월이니 장석 말아라 얼레야 다듬이 오월이로다 자리깔고 얼레야 다듬이 유월이요 도롱이 얹고 얼레야 다듬이 칠월칠석에 파대틀고 얼레야 다듬이 팔월이면 멍석메고야 얼레야 다듬이 구월이면 삼태기 묶어 얼레야 다듬이 시월이면 이엉잇고서 얼레야 다듬이 동짓달손 용구새 놓고 얼레야 다듬이 섣달에는 한숨 지세나

  3. 축원 잘 만들어진 파대의 끝을 모두 수장에게 건네준다. 수장은 모든 파대를 한곳에 모아 잡고 한 해 동안 농사를 잘 거두기 위한 축원문을 낭독하는데, 이때 모든 이가 원 대형을 구성해 강강술래와 같은 동작을 하며 후렴을 따라 부른다.

    얼레야 얼레 선남 선녀 청춘을 잘라만든 이 파대는 얼레야 얼레 우리 마을의 액운을 파대에 실어 보내고 얼레야 얼레 산천의 온갖 날 것들을 마을에서 내 몰아 얼레야 얼레 풍년농사로 천석만석 곳간을 채워 얼레야 얼레 옥이야 금이야 키운 자식들 시잡장가 보내고 얼레야 얼레 부모님 공양에 효자되고 마을에 화평들어 얼레야 얼레 삼천리 방방곡곡에 천둥처럼 번지리라~얼레야

  4. 축이기 - 고르기 - 분칠하기 수장이 “축이세, 고르세, 분칠하세”를 선창하면 원형으로 만든 대열을 따라가며 짚으로 만든 파대를 물속에 담그고 수분 유지를 위해 항아리에 파대 끝을 담그는 과정, 파대를 땅바닥에 길게 내려치며 고르게 펴는 작업, 그리고 맑고 큰 소리를 내기 위해 파대 끝에 찹쌀가루를 묻히는 일련의 과정이다.

  5. 새참먹기 파대를 틀어 만들고 축원을 하기까지 과정을 마무리하는 단계에서 한 번 쉬어 가며 새참을 먹는 시간으로, 이때 참새 떼와 새참 아낙네가 함께 원 대형으로 돌아와 ‘고시레’를 하는 농촌 풍경과 날짐승에 대한 푸념을 볼 수 있다.

  6. 파대치기 아무리 푸념을 해도 날짐승이 날아가지 않자, 선파대가 일어나 날짐승을 쫓아내자고 의견을 제시하며 크게 “훠이” 외치면 원 대형을 구성한 파대꾼들이 파도타기 형식으로 한 명씩 돌아가며 파대를 친다. 이때 참새가 모두 도망가는 모습을 취하며, 이어서 아랫마을과 윗마을의 파대치기 시합을 위해 일자 대형을 구성하고 큰 소리가 나도록 파대를 친다.

  7. 풍년기원 날짐승을 모두 쫓아내고 풍년을 기원하는 화합의 장을 만들어 모두 함께 흥겨운 놀이마당을 펼치며 농악대와 함께 어우러짐을 연출하면서 파대놀이는 끝이 난다.

    봉양파대놀이는 봉양읍, 넓게는 제천 지역 일대에서 행해온 파대 풍습을 널리 알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비록 지금은 전승이 단절되었지만, 그 기억마저 단절되기 전에 찾아 기록해 놓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더불어 제천 지역 놀이 관련 조사 기록은 놀이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