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 정보
고창우도농악(2010청소년,전라북도)
종목 개요
구 분 | 내 용 |
---|---|
참여대회 | 제51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17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
참여지역 | 전라북도 |
분야 | 농악 |
참여단체 | 고창성송초등학교 |
수상(단체상) | 장려상 (공주시장상) |
수상(개인상) | 지도자상 (김지인,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 |
종목소개
’고창농악‘은 우도농악을 대표하는 농악 중 ’영무장농악‘으로 불리는 농악 가운데 하나다. 영무장농악은 영광, 고창, 장성, 함평 등지에 발달한 농악을 일컫는다. 호남우도농악 가운데서도 아랫녘 농악은 좀 느리고 웃녘으로 갈수록 점점 빨라지는데, 그 중간에 있는 영광, 무장(고창) 지방은 간이 적당하다고 평한다. 판굿, 매굿, 풍장굿, 당산굿, 문굿, 샘굿 등 다양한 굿을 포함하며, 가락과 발림이 화려한 춤과 놀이가 발달해 있다.
고창농악의 가장 큰 특징은 쇠가락과 장구가락, 고깔소고춤, 잡색놀이에서 찾을 수 있다. 풍성하면서도 음악적 색깔이 짙어서 가락과 발림의 조화가 잘 이루어져 있다. 굿거리가락에 맞춰 몸짓하는 소고춤은 소고잽이의 멋이 제대로 드러난다. 또한 반굿거리와 된굿거리의 다양한 동작은 ‘꾸리북’이라고 하는 동작과 어우러져 고깔소고의 멋을 잘 보여준다.
1800년대 후반부터 그 명맥을 이어온 인물들이 확인되며, 해방 전후에 활발하게 활동한 이들이 고창농악의 현재 모습을 만들었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 완성된 형태는 1980년대를 거쳐 고창농악단이 형성되면서 지금까지 전승되고 있으므로, 역사와 전통이 살아있는 민속이라 할 수 있다.
현재는 우도농악보존회를 통해 고창농악의 전승이 꽃을 피우고 있다. 이 가운데 어린이와 청소년에 대한 농악교육이 체계적으로 진행되는 과정을 성송초등학교의 사례로 확인할 수 있다.
문화재 지정 현황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고창농악 (2000.07지정)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농악 (2014.11등재)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