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 정보
광주지산농악(2019,광주시)
종목 개요
구 분 | 내 용 |
---|---|
참여대회 | 제60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26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
참여지역 | 광주시 |
분야 | 농악 |
참여단체 | 지산농악보존회 |
수상(단체상) | 최우수상 (국무총리상) |
종목소개
‘광주지산농악’은 남도의 젖줄인 영산강 상류 새암 들녘에 있는 마을 ‘지산’에서 전해 내려오는 농악을 재현한 것이며, 걸립굿, 두래굿, 마당밟이 같은 집단노동과 함께 굿으로 사용되면서 그 전통의 맥을 이어왔다. 광주지산농악의 특징을 간략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굿머리를 장식하는 오채질굿은 2소박과 3소박이 어우러지는 혼합박으로 구성되어 미묘한 맛과 변화를 준다. 이 고장 전통 농악의 백미라 할 수 있다. 둘째, 가락이 비교적 한가로운 듯한 흐름의 연주로 시작해 흥을 돋우면서 점차 빨라지는 등 가락을 조였다 풀었다 하는 긴장과 이완이 잘 표현되어 있으며, 벙어리가락을 많이 사용한다. 셋째, 상쇠와 쇠꾼, 장구잽이들이 교대로 연주하는 짝드름이 발달했다. 넷째, 흐름새가 다채롭고, 다양한 가락을 구성하며, 쇠가락과 춤사위 발달로 윗놀이보다 아랫놀이에 치중해 장구가락이 매우 발달하는 등 북 놀이와 고깔소고가 잘 발달해 있고, 개인놀이가 뛰어나다. 다양하며 느린 가락을 부드럽게 변화를 주면서 경쾌한 박자감으로 신명을 살리며 끝을 맺는 ‘기경결해’ 구성을 갖는다. 다섯째, 치배의 복색이 화려하며, 고깔 소고놀이는 다른 지역 농악에서 볼 수 없는 다양하고 구성진 몸짓과 발놀음으로 보는 사람의 시선을 집중시키며, 특히 지금은 사라져가는 고깔소고가 잘 전승되고 있다.
입장굿 연행 순서: 굿머리 내는가락(일채(난타)) → 일채 → 음매갱(1) → 일채 → 이채 → 음매갱(2) → 일채 → 된삼채 → 음매갱(3) → 일채 → 입장 → 인사굿
첫째 마당 - 질굿마당 오채질굿은 2분박과 3분박을 병행하는 혼합 박자로 반시계방향으로 도는 오채질굿과 시계방향으로 도는 된오채질굿(자진오채질굿)이 있다. 연행 순서: 오채질굿 → 된오채질굿 → 갖은일채굿(풍류굿) → 늦은벙어리삼채 → 벙어리삼채 → 된벙어리삼채 → 된삼채 → 음매갱 → 일채가락
둘째 마당 - 오방진마당 오방진[五方陳]의 ‘오방’은 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동·서·남·북·중앙 다섯 방향에 진을 치는 것을 형상화해, 덕석몰기로 진을 쌓아 연주하다 가락을 난타로 털어서 앉는다. 늦은 삼채가락으로 풀고 나와 자진허허굿을 치며, 좌·우·진·퇴(좌우치기, 연봉치기), 지심매기, 곡심심기, 두줄치기, 좌우진퇴, 외줄백이를하고 원진을 하다, 쇠와 장구가 구정놀이를 한 다음 반삼채, 매도지가락으로 맺는다.
셋째 마당 - 허허굿마당
넷째 마당 - 개인놀이 개인놀이 대형인 ‘ㄷ’자진으로 서서 치배들의 기량을 한껏 보여주는 마무리 마당이다. 잡색놀이, 소고놀이, 북놀이, 쇠놀이 설장구놀이, 열두발 상모로 마무리하고, 인사굿을 한 다음 휘몰이로 퇴장을 한다.
이렇게 광주지산농악은 호남우도농악의 특징을 올곧이 전승하면서도, 이 고장 특유의 독특한 가락과 놀이를 발달시킨 호남 지역 최고의 농악이라 할 수 있다.
문화재 지정 현황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농악 (2014.11등재)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동영상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